DOI QR코드

DOI QR Code

Validation of a Scale Smart Media Mediation for Young Children's Parents

유아기 부모 스마트미디어 중재 척도 타당화 연구

  • Received : 2022.12.15
  • Accepted : 2023.02.09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a scale which could measure the correct mediation behavior of parents for their children's smart media use. Method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514 parents of 5-year-old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sp. Results: First, in the primary validation process, a total of 19 items and five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secondary validation process, we found that the scale model satisfies the goodness-of-fit evaluation criteria and is vali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newly constructed parents smart media mediation scale in early childhood emerged as a valid and reliable sca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parents pursue 'active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 and 'supervision', and avoid 'co-viewing', and 'technical restrictions', the more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mart media usage capabilities. Third, the total score of smart media mediation for young children's parents was found to significantly differentiate young children's smart media overdependence, and self-regula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al smart media mediation scale for young children's parents was composed of 19 items, with five factors: 'co-viewing', 'instructive mediation', 'technical restrictions', 'active mediation', and 'supervision'.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숙, 이경님 (2001).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4), 115-132.
  2. 강은진 (2021). 아동권리측면에서 바라본 유아 미디어 이용과 교육. 육아정책포럼, 69, 15-22.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 관계부처 (2022). 제 5차 (지능정보서비스의 건전한 활용을 위한)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 예방 및 해소 기본계획(2022~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ww.iapc.or.kr 에서 2022년 12월 2일 인출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2021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ww.iapc.or.kr에서 2022년 10월 30일 인출
  5. 김경철, 오아름 (2014). 자기통제력 검사 도구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34(2), 185-206.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2.009
  6. 김나리, 김정민, 전정은 (2019).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의도적 통제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이중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0(4), 95-107. https://doi.org/10.5723/kjcs.2019.40.4.95
  7.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https://doi.org/10.15284/kjhd.2015.22.1.77
  8. 김민희 (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3-15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33
  9. 김은지 (2020).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자기효능감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지도와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시간의 이중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8(4), 59-79. https://doi.org/10.7466/JFBL.2020.38.4.59
  10. 김은지, 전귀연 (2020).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지와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이용 지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 ch, 58(1), 13-29. https://doi.org/10.6115/fer.2020.002
  11. 김은진 (2021). '유튜브 육아'연구: 육아 과정에서 어머니의 유튜브 이용과 통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5(3), 41-85. https://doi.org/10.47020/JLC.2021.08.25.3.41
  12. 김효정, 이희선 (2015). 어머니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5(4), 113-134.
  13. 박라진 (2016). 유아의 실행기능 및 부모중재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인서, 백영민 (2021). 어린이 미디어 이용에 관한 부모 중재효과 연구: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복합설문분석. 한국언론학보, 65(6), 5-46. https://doi.org/10.20879/kjjcs.2021.65.6.001
  15. 박혜선, 김형모 (2016).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3), 498-51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498
  16. 서우석 (2021). 코로나19와 디지털 여가활동의 변화. 통계개발원 편, 한국의 사회동향 2021 통계청(pp. 237-245). 통계청 통계개발원
  17. 설경옥, 문혁준 (201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교사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187-210. https://doi.org/10.22155/JFECE.25.2.187.210
  18. 손영미, 신규리 (2021). 코로나 19 시기, 유아 및 초등학생 자녀를 둔 워킹맘의 여가 경험에 대한현상학적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3), 259-273. https://doi.org/10.26446/kjlrp.2021.9.45.3.259
  19. 안정임 (2008). 인터넷 이용 중재유형과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2(6), 230-266.
  20. 양옥승, 김정림, 양유진 (2020).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발달과 교육. 양서원.
  21. 윤보람 (2020). 어머니의 미디어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윤장우 (2013).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도래 및 발전 방향. 방송공학회지, 18(1), 10-22.
  23. 이숙정, 전소현 (2010).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24(6), 289-322.
  24.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5. 이종은, 김지윤, 박은혜, 강현아 (2017).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63-179.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6.163
  26. 이창호 (2021). 초등학생 부모의 자녀 미디어이용에 대한 중재방식.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41-259.
  27. 이창호, 장석준 (2022). 어린이의 유튜브 및 게임이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중재요인 분석: 미취학아동 및 취학아동 (초등저학년) 비교. 어린이미디어연구, 21(1), 197-213. https://doi.org/10.21183/kjcm.2022.03.21.1.197
  28. 이채진, 이영신 (2021).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매개 효과. 인성교육연구, 6(2), 169-193. https://doi.org/10.46227/JCER.6.2.9
  29. 장지우, 김선희 (202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미디어 방임적 중재 및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6), 1-19.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6.001
  30. 조연하, 배진아 (2010).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가정 내 미디어 이용중재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13), 37-74.
  31. 최아라, 조윤미, 류현강 (202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스마트기기 과의존 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43(2), 111-123. https://doi.org/10.5723/kjcs.2022.43.2.111
  32. 최양미, 김보현, 임지영, 이은영 (2021). 부모중재 특성이 유아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465-483.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2.465
  33. 최이숙, 김반야 (2021).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 육아 도우미':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 담론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8), 515-525. https://doi.org/10.5392/JKCA.2021.21.08.515
  34.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35.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www.kpf.or.kr에서2022년 10월 11일 인출
  3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정보문화포럼 정책연구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NIA). www.iapc.or.kr 에서 2022년 2월 15일 인출
  37.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38. Burroughs, B. (2017). YouTube Kids: The App Economy and Mobile Parenting. Social Media + Society, 3(2), 1-8. https://doi.org/10.1177/2056305117707189
  39. Bybee, C. R., Robinson, D., & Turow, J. (1982). Determinants of parental guidance of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for a special subgroup: Mass media scholar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26(3), 697-710. https://doi.org/10.1080/08838158209364038
  40. Chen, L., & Shi, J. (2019). Reducing harm from media: A meta-analysis of parental mediation.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96(1), 173-193. https://doi.org/10.1177/1077699018754908
  41. Cohen, D. D., Voss, C., Taylor, M., Delextrat, A., Ogunleye, A. A., & Sandercock, G. (2011). Ten-year secular changes in muscular fitness in English children. Acta Paediatrica, 100(10), 175-177. https://doi.org/10.1111/j.1651-2227.2011.02318.x
  42.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43.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https://doi.org/10.1037/0022-006x.47.6.1020
  44. Livingstone, S., & Helsper, E. J. (2008).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2(4), 581-599.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396
  45. Nathanson, A. I. (2001). Parent and child perspectives on the presence and meaning of parental television medi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5(2), 201-22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502_1
  46. Nathanson, A. I., & Yang, M. S. (2003). The effects of mediation content and form on children's responses to violent televis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9(1), 111-134. https://doi.org/10.1111/j.1468-2958.2003.tb00833.x
  47. Nikken, P., & Jansz, J. (2006).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videogame playing: A comparison of the reports by parents and children.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31(2), 181-202. https://doi.org/10.1080/17439880600756803
  48. Nikken, P., & Jansz, J. (2014). Developing scales to measure parental mediation of young children's internet use.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39(2), 250-266. https://doi.org/10.1080/17439884.2013.782038
  49. Nikken, P., & Schols, M. (2015). How and why parents guide the media use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11), 3423-3435. https://doi.org/10.1007/s10826-015-0144-4
  50.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Hill.
  51. Sigman, A. (2009). Well connected? The biological implications of 'social networking'. Biologist, 56(1), 14-20.
  52. Sigman, A. (2012). The impact of screen media on children: a Eurovision for parliament.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hood in Europe, 3, 88-121.
  53. UN: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2021, March). General Comment No. 25 (2021) on Children's Rights in Relation to the Digital Environment. Retrieved Desember 4, 2022 from https://www.ohchr.org/en/documents/general-comments-and-recommendations/general-comment-no-25-2021-childrens-rights-relation
  54. Valkenburg, P. M., Krcmar, M., Peeters, A. L., & Marseille, N. M. (1999). Developing a scale to assess three styles of television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 "restrictive mediation" and "social coview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3(1), 52-66. https://doi.org/10.1080/08838159909364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