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each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초등학교 장애학생 수학 문장제 문제 국내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2.11.24
  • Accepted : 2023.01.02
  • Published : 2023.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intervention studies, which utilized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on teach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valuate each of their methodological rigor. The researchers reviewed all studies from 2000 to 2022 that involved teach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2 studies was included for a final analysis.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by researchers for about 30-40 minutes per sess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chema-based instruction,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and technology-based instruction were used as intervention methods, and explicit instruction was mostly used in conjunction with them.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s found that none of research articles met quality indicators for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according to Cook et al. (2015). Limita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수학교과에서 단순히 수학적 개념을 습득하는 것보다 수학과 관련된 문제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맥락적 문제해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제 문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에서 2022년까지 발행된 단일대상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탐구한 논문 최종 12편을 선정하여 참여학생 특성, 중재 환경, 중재 방법 및 교수전략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학습장애, 자폐성장애, 지적장애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애 유형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중재는 대부분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고, 1회기 당 30~40분 정도로 중재가 제공되었다.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문장제 문제 중재 방법으로 도식 기반 교수, 인지-초인지 전략 교수,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명시적 교수를 함께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12편의 단일대상연구가 방법론적으로 타당하게 실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Council of Exceptional Children에서 제시한 질적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문장제 문제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2022년도 창원대학교 자율연구과제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임

References

  1. 고혜정, 김동일(2014).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 인지상태 진단: 규칙장 모형의 적용. 특수교육학연구, 48(4), 247-273. 
  2. 교육부(2015).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3. 교육부(2022).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강윤지(2022).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에 대한 실제적 맥락 관점에서의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C 초등수학교육, 25(4), 297-312. 
  5. 구슬이, 신진숙(2019). 수정된 도식기반전략교수가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1(3), 141-166.  https://doi.org/10.21075/KACSN.2019.21.3.141
  6. 김동일, 고혜정, 조영희(2014).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중재 효과 분석-다층메타분석의 적용. 특수교육, 13(3), 387-408. 
  7. 김병룡(2016).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 수준 분석-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53-370. 
  8. 김서령, 박만구(2021). 다전략 수학 문제해결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수학교육, 24(4), 175-187. 
  9. 김소연, 김수영(2015).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및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유아의 연령, 언어능력, 연산능력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35(1), 113-134.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1.005
  10. 김영표, 신현기(2008). 장애학생의 수학적 문장제 문제해결에 관한 교수방법의 중재 효과: 메타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1), 413~437. 
  11. 김채린(2022). 소수의 나눗셈에서 도식을 활용한 식 만들기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2), 133-153. 
  12. 김홍겸(2020).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수학교육, 59(1), 31-45. 
  13. 노승림, 김은경(2011). 직접교수를 적용한 도식기반전략 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장제 문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7(4), 359-388. 
  14. 박애란, 김애화(2010). 도식을 활용한 표상전략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7(2), 10-122. 
  15. 서은지, 김은경, 노승림(2016). 도식화전략 교수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8(3), 243-268.  https://doi.org/10.21075/KACSN.2016.18.3.243
  16. 서정은, 정주영(2012). 인지-초인지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교수 프로그램이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해결 수행능력.태도.귀인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7(3), 93-119. 
  17. 손승현, 고승희 (2007). 특수아동 대상 수학문장제 문제연구 동향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9(1), 157-171.  https://doi.org/10.21075/KACSN.2007.9.1.157
  18. 승예린, 옥민욱(2021). 국내외 장애학생 대상 도식기반교수 및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 분석. 학습장애연구, 18(3), 69-98. 
  19. 신미경, 채수정, 정평강(2018). 학습장애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전략교수 효과: 단일 대상연구 메타분석. 학습장애연구, 15(3), 203-230. 
  20. 신현정, 최승숙(2021). 그림 그리기 표상 기반의 인지-초인지 전략 교수가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4(2), 1-21.  https://doi.org/10.24005/SECI.2021.14.2.1
  21. 오영열(2013).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적용 필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483-501. 
  22. 윤금설, 김애화(2021). 구체물-반구체물-추상화 단계를 활용한 도식 기반(schema-based) 문제해결전략 교수가 초등학교 6학년 수학학습부진학생의 비와 비율(백분율) 문장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583-611. 
  23. 이성용(2019).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발달장애연구, 23(2), 97-116. 
  24. 이은숙, 김봉세(2020).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1063-1081. 
  25. 이진옥, 김수연, 이영연(2010). 수학 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 능력 증진을 위한 숫자 바꾸기와 구조 바꾸기 전략의 효과 비교. 학습장애연구, 7(1), 157-176. 
  26. 전윤희, 장경윤(2013). 학습장애 또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7(4), 139-163. 
  27. 정성건, 박만구(2010).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15-335. 
  28. 조은혜, 홍성두(2018). 초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중재연구 동향분석. 교육연구, 71, 133-154.  https://doi.org/10.17253/SWUERI.2018.71..007
  29. 최미진, 김유리(2021).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CEC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4(3), 1-22.  https://doi.org/10.24005/SECI.2021.14.3.1
  30. 최진성, 신진숙(2011).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의 오류유형 및 관계분석. 지적장애연구, 13(2), 201-220. 
  31. 최진성, 신진숙(2012). 다중표상을 활용한 인지.메타인지전략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 오류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297-319.  https://doi.org/10.21075/KACSN.2012.14.3.297
  32. 최진혁, 김일수, 박재국(2015).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4), 403-423. 
  33. 하정숙(2015). 수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를 강조한 수학 문장제 해결 전략의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9(4), 51-71. 
  34. 홍점숙, 방명애(2014). 도식기반 전략교수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0(3), 203-226. 
  35. 황현미, 방정숙(2009). 수학 문제 해결과정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초등수학교육, 12(2), 81-97. 
  36. Browder, D. M., Spooner, F., Ahlgrim-Delzell, L., Harris, A., & Wakeman, S. (2008). A meta-analysis on teaching mathematics to 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74(4), 407-432. doi:10.1177/001440290807400401. 
  37. Claesens, A., & Engel, M. (2013). How important is where you start? Early mathematics knowledge and later school success. Teachers College Record, 115(6), 1-29.  https://doi.org/10.1177/016146811311500603
  38. Clausen, A. M., Tapp, M. C., Pennington, R. C., Spooner, F., & Teasdell, A. (2021). A systematic review of modified schema-based instruction for teaching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to solve mathematical word problem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46(2), 94-107. doi:10.1177/15407969211007561 
  39. Cook, B. G., Buysse, V., Klingner, J., Landrum, T. J., McWilliam, R. A., Tankersley, M., & Test, D. W. (2015). CEC's standards for classifying the evidence base of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6(4), 220-234. doi:10.1177/0741932514557271 
  40. Gast, D. L., & Ledford, J. R. (2014). Single case research methodology. Routledge. 
  41. Geary, D. C., Hoard, M., Nugent, L. K., & Bailey, D. H. (2012). Mathematical cognition deficits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persistent low achievement: A five-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1), 206-223. doi:10.1037/a0025398 
  42. Hudson, M. E., Rivera, C. J., & Grady, M. M. (2018). Research on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Has anything changed?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43(1), 38-53. doi:10.1177/1540796918756601 
  43. Jitendra, A. K. (2007). Solving math word problems: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ing shcema-based instruction. TX: PRO-ED 
  44. Jitendra, A. K., Hoff, K. (1996).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word-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9(4), 422-431. doi:10.1177/002221949602900410 
  45. Jitendra, A. K., Nelson, G., Pulles, S. M., Kiss, A. J., & Houseworth, J. (2016). Is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f problems an evidence-based strategy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difficulties? Exceptional Children, 83, 8-25. doi:10.1177/0014402915625062 
  46. Kratochwill, T. R., Hitchcock, J. H., Horner, R. H., Levin, J. R., Odom, S. L., Rindsckopf, D. M., ... Shadish, W. R. (2013). Single-case intervention research design standard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4, 26-38.  https://doi.org/10.1177/0741932512452794
  47. Lein, A. E., Jitendra, A. K., & Harwell, M. R. (2020).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or mathematics difficulties: A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2(7), 1388-1408. doi:10.1037/edu0000453 
  48. Migliore, A., Timmons, J., Butterworth, J., & Lugas, J. (2012). Predictors of employment and post-secondary education of youth with autism.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55(3), 176-184. doi:10.1177/0034355212438943 
  49. Meichenbaum, D. H., & Goodman, J. (1971). Training impulsive children to talk to themselves: A means of developing self-contro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77(2), 115-126  https://doi.org/10.1037/h0030773
  50. Montague, M. (1992).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 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5(4), 230-248.  https://doi.org/10.1177/002221949202500404
  51. Parmar, R. S., Cawley, J. F., Frazita R. R. (1996). Word problem solving by students with and without mild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62(5), 415-429.  https://doi.org/10.1177/001440299606200503
  52. Peltier, C., & Vannest, K. J. (2017). A meta-analysis of schema instruction on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7(5), 899-920.  https://doi.org/10.3102/0034654317720163
  53. Powell, S. R. (2011). Solving word problems using schemas: A review of the literature.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26(2), 94-108.  https://doi.org/10.1111/j.1540-5826.2011.00329.x
  54. Polya, G. (2004).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Rockwell, S. B., Griffin, C. C., & Jones, H. A. (2011). Schema based strategy instruction in mathematics and the wor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f a student with autism.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26, 87-95. doi:10.1177/1088357611405039 
  56. Root, J. R., & Browder, D. M. (2019). Algebraic problem solv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y. Exceptionality, 27(2), 118-132. doi:10.1080/09362835.2017.1394304 
  57. Root, J. R., Ingelin, B., & Cox, S. K. (2021). Teaching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o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best-evidence synthesis. Education and Training in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56(4), 420-436. 
  58. Spooner, F., Root, J., Saunders, A. F., & Browder, D. M. (2019). An updated evidence-based practice review on teaching mathematics to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40(3), 150-165. doi:10.1077/0741932517751055 
  59. Van Luit, J. E. H., & Toll, S. W. M. (2018). Associative cognitive factors of math problems in student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yscalculia. Frontiers in Psychology, 9, Article 1907. doi:10.3389/fpsyg.2018.01907 
  60. Xin, Y. P., & Jitendra, A. K. (2016). The effects of instruction in sol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2(4), 207-225. doi:10.1177/002246699903200402 
  61. Zheng, X., Flynn, L. J., & Swanson, H. L. (2012). Experimental intervention studies on word problem solving and math disabilities: A selec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36(2), 97-111. doi:10.1177/0731948712444277 
  62. Zhang, S., Wang, J., & Flores, R. (2021). Using schema-based diagrams to represent and solve word problems: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nd demonstration. Action in Teacher Education, 43(1), 20-36.  https://doi.org/10.1080/01626620.2020.1726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