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ntended Competency in Authoriz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검정 초등 수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의도된 역량 분석: 창의·융합 역량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10.11
  • Accepted : 2022.11.22
  • Published : 2023.01.31

Abstract

One of major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i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which equip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us,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onverging ideas has been emphasiz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current study, we analyzed authorized textbook series to examine how each curriculum material addresses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he foci of the analysis were creativity (originality, fluency, flexibility, elaboration) and convergence (intrinsic connection, extrinsic connec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national textbook which wa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between the national textbook and the authorized textbooks. We found the tasks that focused on fluency were the most frequent type regarding creativity and the tasks that connected with everyday life situations (extrinsic connection) were prevalent across the three textbook series. We provided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ir implementation.

수학과 목표인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수학교과를 통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신장할 것을 강조하여 왔다.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되어 활용 중인 검정교과서에서 나타나는 창의·융합 역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천재교과서(박)과 아이스크림을 선택하여 창의·융합의 하위요소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또한, 국정에서 검정으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15 개정에 따른 국정 교과서도 함께 같은 분석 준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부적인 비율에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세 가지 교과용 도서에서 창의성 중 유창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융합은 외적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과 실행 과정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도 대구교육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향임(2019).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적 연결성을 강조한 과제 개발 사례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 (2), 85-104.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3. 교육부(2020a). 수학 3-1. 비상교육.
  4. 교육부(2020b). 수학익힘 3-1. 비상교육.
  5. 교육부(2020c). 수학 3-2. 비상교육.
  6. 교육부(2020d). 수학익힘 3-2. 비상교육.
  7. 교육부(2020e). 수학 4-1. 비상교육.
  8. 교육부(2020f). 수학익힘 4-1. 비상교육.
  9. 교육부(2020g). 수학 4-2. 비상교육.
  10. 교육부(2020h). 수학익힘 4-2. 비상교육.
  11. 김동희, 김민경(2016). 초등학생의 창의.융합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초등 수학 비 (非)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8(3), 541-569.
  12. 김민경, 이지영(2017). 체화된 인지와 창의.융합적 관점에서의 수학 수업의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47-271.
  13. 김성경(2021). 수학 교과 역량의 구현 양상 분석: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9(1), 121-153.
  14. 김수철(2019). 수학교과역량의 초등학교 교과서 적용 실태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4), 55-67.
  15. 김정원(2017). 수학의 내적 연결성을 강조한 5 학년 분수 나눗셈과 소수 나눗셈 수업의 실행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7(3), 351-373.
  16. 김정원, 방정숙, 황지남(2020). 초등학교 5-6 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 분석. 수학교육, 59(2), 147-166.
  17. 김진호(2006).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란 관점에서 초등수학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분석. 교육학논총, 27(2), 57-75.
  18. 김진호(2014).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 수학교과서에 내재된 문제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93-504.
  19. 김진호(2016).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란 관점에서 초등수학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분석. 교육학논총, 27(2), 57-75.
  20. 김진호(2021). 학생들이 즐거운 수학교실 : 1학년 2학기 연산 수업. 교육과학사.
  21. 김상룡(2001). 7차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연구, 24, 71-84.
  22.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연구보고서 BD15120005.
  23. 박교식(1996). 우리 나라 초등학교의 수학 교수.학습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특징. 수학교육학연구, 6(2), 99-113.
  24. 박교식(2016).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내용과 관련한 문제점 분석. 학교수학, 18(1), 1-14.
  25. 방정숙(2002). 수학교사의 교수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 41(3), 257-271.
  26. 방정숙, 이지영, 서은미(2016). 문제 해결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3), 583-605.
  27. 방정숙, 황지남(2021). 초등학교 3-4 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 분석. 초등수학교육, 24(1), 21-41.
  28. 아이스크림(2022a). 수학 3-1. 아이스크림.
  29. 아이스크림(2022b). 수학익힘 3-1. 아이스크림.
  30. 아이스크림(2022c). 수학 3-2. 아이스크림.
  31. 아이스크림(2022d). 수학익힘 3-2. 아이스크림.
  32. 아이스크림(2022e). 수학 4-1. 아이스크림.
  33. 아이스크림(2022f). 수학익힘 4-1. 아이스크림.
  34. 아이스크림(2022g). 수학 4-2. 아이스크림.
  35. 아이스크림(2022h). 수학익힘 4-2. 아이스크림.
  36. 여승현, 서희주, 한선영, 김진호(2021).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역량 및 과제 유형 분석: 수와 연산영역의 도전/생각 수학과 탐구 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60(4), 431-449.
  37. 윤상준, 이아란, 권오남(2019). 핵심 역량과 수학 교과역량의 관련성 및 교과서에 제시된 역량 과제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8(1), 55-77.
  38. 이대현(2012).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
  39. 이대현(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40. 이지윤, 김선희, 이환철(2016).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교사들의 수학교육의 문제점 인식과 수학 모델 교과서 개발. 수학교육 논문집, 30(4), 499-514.
  41. 이헌수(2020). 수학 교과 역량 과제 비교 분석: 2015 개정 중학교 2 학년 수학 교과서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6), 531-544. https://doi.org/10.5392/JKCA.2020.20.06.531
  42. 주미경, 문종은, 송륜진(2012).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담론과 과제. 학교수학, 14(1), 165-190.
  43. 박만구(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수학교육 논문집, 23(3), 803-822.
  44. 박진형(2017).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촉진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7(1), 69-88.
  45. 천재교과서(2022a). 수학 3-1. 천재교과서.
  46. 천재교과서(2022b). 수학익힘 3-1. 천재교과서.
  47. 천재교과서(2022c). 수학 3-2. 천재교과서.
  48. 천재교과서(2022d). 수학익힘 3-2. 천재교과서.
  49. 천재교과서(2022e). 수학 4-1. 천재교과서.
  50. 천재교과서(2022f). 수학익힘 4-1. 천재교과서.
  51. 천재교과서(2022g). 수학 4-2. 천재교과서.
  52. 천재교과서(2022h). 수학익힘 4-2. 천재교과서.
  53. 최윤정(2021).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서 핵심역량 분석: 중학교 3 학년 기하단원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747-765.
  54. 한정민, 박만구(2010).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4.
  55. 홍진곤, 김양권(201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직선 활용과 문제점. 수학교육 논문집, 29(3), 353-372.
  56. Bahar, A. K., & Maker, C. J. (2011).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Asia-Pacific Journal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3(1), 33-48.
  57.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58. Torrance, E. P. (1966).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Research edition. Verbal tests, forms A and B. Figural tests, forms A and B. Princeton, Personnel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