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 김경희, & 황대용. (2019). 농촌 치유관광에서의 회복경험. 농촌지도와 개발, 26(3), 113-126. doi:10.12653/jecd.2019.26.3.0113
- 김경희, 황대용, & 이혜영. (2021). 농촌 치유관광객 시장세분화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8(1), 13-23. doi:10.12653/jecd.2021.28.1.0013
- 김도환. (200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연구. 노인복지연구, 13, 113-144.
- 김루비, & 김홍열. (2009). 원예치료가 문제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3), 17-23.
- 김성연, 김지윤, & 이동훈. (2021). 성인의 아동기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 발생의 관계에서 성인애착과 자존감의 매개효과: 통합적 이론모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22(4), 129-148. doi:10.15703/kjc.22.4.202108.129
- 김성일, & 정용철. (2001).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청소년 연구, 12(1), 5-27.
- 김주환. (2023). 내면소통=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서울: 인플루엔셜.
- 김현숙, 유수정, & 한규량. (2003). 지역사회 여성 노인이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56-73.
- 민순, 장숙희, & 박재경. (2001).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3(2), 145-145.
- 박준호, 서영석. (2010).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9(3), 611-629.
- 설가애, 윤숙영, 최병진, & 장현희. (2020). 원예치료 기반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정서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3, 57-79.
- 성기월. (1999).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간호학회지, 27(1), 34-46.
- 손기철, 박석근, 부희옥, 배공영, 백기엽, & 이상훈. (2002). 원예치료. 서울: 중앙생활사.
- 손기철, 조문경, 송종은, 김수연, & 이손선. (2006). 전문적 원예치료의 실제. 서울: 쿠북.
- 손제희, & 허만세. (2013).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2), 155-178.
- 송미진, 김미영, 심이성, & 김완순. (2010). 심박변이도를 이용한 우울증 환자의 정서개선에 미치는 원예치료효과 분석. 원예과학기술지, 28(6), 1066-1071.
- 오대민, 장유진, 소인섭, 이영현, 허무룡, 최영애, et al. (2006). 국내 논문에 있어 대상자별 원예치료 프로그램내의 원예활동 조사연구. 원예과학기술지, 24(1), 110-116.
- 오한진. (2006). 갱년기 관리의 관점: 일반개론. 대한의사협회지, 49(1), 4-10.
- 전겸구, 최상진, &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9-129.
- 정승록. (2019). 원예치유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회복 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7, 34-41.
- 조현주, 임현우, 현명호, 조선진, 지유나, 전태연, et al. (2008). 일반인의 우울증 태도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연구, 16(3), 233-240.
- 이미영. (2021). 대학생의 코로나19로 인한 무망감 우울감소를 위한 비대면방식의 원예치료 프로그램 효과. 청소년 시설환경, 19(4), 3-10.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3735
- 이상훈, 임은애, 조문경, & 손기철. (2007).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4), 40-47.
- 이영애, 황현정, 송종은, & 손기철. (2007).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가 중년여성의 삶의 목적과 자아 정체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5(3), 277-290.
- 이정인, 김계하, & 오순학. (2003). 중년 남성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5(3), 422-431.
- 이지혜, 김혜지, 이상미, 이애경, & 서정근. (2009). 원예 치료에서 치료 및 재활영역 논문의 원예활동 분석.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3), 25-30.
- 최선, & 박정수. (2022). 한국인의 스트레스 인식과 대처전략: 성별 및 세대별 차이. 한국웰니스학회지, 17(4), 125-133. doi:10.21097/ksw.2022.11.17.4.125
- 편수빈, 김선옥, & 박신애. (2019). 실내 원예활동 시뇌파측정을 통한 노인의 인지효과 규명. 한국원예학회학술발표요지, 166-167.
- 한경임, 정연강, & 이재온. (2002).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3), 513-522.
- 한미애, 한경희, & 서정근. (2013).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6(2), 75-79.
- 황현정, 이영애, 송종은, & 손기철. (2007). 현실요법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초등생 어머니의 우울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모효능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5(3), 268-276.
- American Horticultural Therapy Association. (1991). Horticultural therapy. http://www.ahta.org
-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396. doi:10.2307/2136404
- Cohen, S., & Williamson, G. M. (1991). Stress and infectious disease in humans. Psychological Bulletin, 109(1), 5-24. doi:10.1037/0033-2909.109.1.5
-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 Co.
- Cre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4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Perennial.
- Forrester, R. L., Slater, H., Jomar, K., Mitzman, S., & Taylor, P. J. (2017). Self-esteem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adulthood: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21, 172-183. doi:10.1016/j.jad.2017.06.027
- Foulkes, S. H. (1964). Therapeutic group analysis. London: Allen & Unwin.
- Gask, L. (2015). The other side of silence: A psychiatrist's memoir of depression. Chichester, West Sussex, England: Summersdale Publishers LTD.
- Ghiyasvandian, S., & Gebra, A. A. (2014). Coping work strategies and job satisfaction among Iranian nurses. Iranian Red Crescent Medical Journal, 16(6), e17779. doi:10.5812/ircmj.17779
- Gore, S., & Eckenrode, J. (1996). Context and process in research on risk and resilience. In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rocesses, mechanisms, and interventions (pp. 19-63).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ross. J. J., & Thompson. R. A. (2007). Emotion regulation: Conceptual foundations. In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New York: Guilford Press.
- Kaplan, M. (1993). Recruiting senior adult volunteers for intergenerational programs: Working to create a "jump on the bandwagon" effect.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2(1), 71-82. https://doi.org/10.1177/073346489301200107
- Kaplan, S. (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3), 169-182. doi:10.1016/0272-4944(95)90001-2
- Kellert, S. R., & Wilson, E. O. (Eds.). (1995). The biophilia hypothesis. Washington, DC: Island press.
-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Maslow, A. H. (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New York: Van Nostrand.
- Morgan, B. (1989). Growing together: Activities to use in your horticulture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Pittsburgh, PE: Pittsburgh Child Guidance Foundation.
- Park, S. A., Lee, A. Y., Lee, G. J., Kim, D. S., Kim, W. S., Shoemaker, C. A ., et al. (2016). Horticultural activity interventions and outcomes: A review. Korea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4(4), 513-527. doi:10.12972/kjhst.20160053
-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10.1177/014662167700100306
- Relf, P. D. (1992).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A national symposium. Portland, CA: Timber Press.
- Relf, P. D., & Lohr, V. I. (2003). Human issues in horticulture. HortScience, 38(5), 984-993. https://doi.org/10.21273/HORTSCI.38.5.984
-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Roth, S., & Cohen, L. J. (1986).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1(7), 813-819. doi:10.1037/0003-066X.41.7.813
- Sim, W. K., Kim, E. L., & Song, T. K. (1997). Horticultural therapy. Seoul: Seoil Press.
- Son, K. C., Park, S. K., Boo, H. O., Paek, K. Y., Bae, K. Y., Lee, S. H., et al. (2002). Horticultural therapy. Seoul: Jongang Life Publishing Co.
- Son, K. C., Jung, S. J., Lee, A. Y., & Park, S. A. (2016). The theoretical model and universal defini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Acta Hort, 1121, 79-88. doi: 10.17660/ActaHortic.2016.1121.12
- Ulrich, R. S., Simons, R. F., Losito, B. D., Fiorito, E., Miles, M. A., & Zelson, M. (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3), 201-230. doi:10.1016/S0272-4944(05)80184-7
- Weinstein, N., Brown, K. W., & Ryan, R. M. (2009). A multi-metho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mindfulness on stress attribution, coping, and emotional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3(3), 374-385. doi:10.1016/j.jrp.2008.1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