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nsformation of Strategies for Chinese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ost-Mao Era: From Regional Uneven To Regionally Coordinated Development In China

마오쩌둥 이후 중국 지역 발전 전략의 전환: 불균등 발전에서 권역 협업 기반의 조화로운 발전으로의 진화

  • Lina Zhang (Graduate School of Geography,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 Sung-Cheol Le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
  • 이승철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23.12.21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and trends in spatial inequality in mainland China. More specifically, it has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ines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on regional economic inequality by investigat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Gini coefficient with GRDP in the province level. Regional inequality in China had increased from 1979 economic reform, but has eased since the 10th Five Year Plan(2001~2005) due to large-scale state investments in the western, central and northeastern regions. However, the analysis is likely to be resulted from the national level. Trends in regional inequality are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ith the eastern, central, northeastern and western regions. For example, regional inequality in the central region has increased, whereas other three regions has decreased since the 10th Five Year Plan. It has played a role in cutting down regional inequality in the national level. In particular, the central region has kept inequality since the 12th Five Year Guideline. It has led to the convergence of the regional economies in the national level. It has stemmed from some limits to greater regional policies in the Central region enforced in the 11th Five Year Guideline(2005~2010).

본 연구의 목적은 마오쩌둥 이후 중국 지역 발전 정책의 진화와 공간 불균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1인당 GRDP 변동계수와 지니계수를 적용하여 중국 31개 시·성·자치구 간 지역 경제력 격차와 지역 발전 정책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중국의 지역 간 경제력 격차는 1979년 이후 심화되었다가 제10차 5개년 계획(2001~2005년) 이후 중부, 서부, 동북부 지역의 지속적인 정부 주도의 대규모 경제성장 정책에 따라 완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는 31개 시·성·자치구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이며, 동부, 중부, 서부, 동북부 4대 지역을 대상으로 GDP 변동계수를 각각 분석했을 때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제10차 5개년 계획 이후 중부 지역 내 격차는 지속적으로 심화되었지만 서부와 동북부의 지역 내 경제력 격차는 지속적으로 완화되었다. 이는 중국의 지역 간 경제력 격차를 완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동부 지역 내 격차는 제12차 5개년 규획(2010~2015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심화되어 중국 지역 경제력의 수렴 현상이 둔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제11차 5개년 규획(2006~2010년) 시기에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던 중부 권역 발전 정책의 한계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은, 2016, "「13.5 규획」기간 중국의 지역발전전략 방향 및 평가," KIEP 북경사무소 엮음,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pp.1-19.
  2. 김동하.곽복선, 2017, "중국 5 개년 경제개발 '계획'의 '규획'으로의 변화와 함의에 관한 연구," 중국지역연구 4(1), pp.109-142.
  3. 김수한, 2020, "중국 지역 발전과 권역 거점 도시의 성장: 도시 경제 역량과 발전 잠재력 측정," 중소연구 44(1), pp.117-140. https://doi.org/10.21196/APRC.44.1.202005.004
  4. 김수한.유다형, 2016, 2016년 중국 주요 시사 이슈: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혁신, IN ChinaBrief 329, 인천발전연구원.
  5. 김현석, 2022, "중국 지역발전정책의 변화와 특징: 지역불균형의 공간재편," 도시인문학연구 14(2), pp.33-63. https://doi.org/10.21458/SIUH.2022.14.2.002
  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5, 중국의 제9차 5개년 계획 및 2010년까지의 장기 발전 계획: 국민경제와 사회발전에 관한 9.5 계획과 2010년까지의 장기 목표제정에 관한 중공중앙의 건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정보센터.
  7. 박재욱, 2018, "중국 장강삼각주 대도시 광역경제권 형성과 정부 간 연계협력 거버넌스, 지방정부연구," 21(4), pp.317-339. https://doi.org/10.20484/klog.21.4.14
  8. 서운석, 2006, "중국의 지역 균형 개발 정책 효과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 행정 학보, 19(3), pp.121-144.
  9. 쉬톈화, 2021, 중국 정부의 지역 균형 발전 정책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근, 2007, 중국 정부의 지역경제 발전 계획/전략 및 시사점, 외교통상부.
  11. 이승철.김부헌.정수열.김민호.지상현, 2018, "북중 접경지역 단둥의 대북 생산 네트워크의 예외적 성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3), pp.329-352. https://doi.org/10.23841/egsk.2017.20.3.329
  12. 이원용.이승철, 2018, "북중 접경지역의 경제 개발구 이해: 단둥 변경경제합작구의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2(2), pp.281-296.
  13. 이원호, 2000, "경제개혁이후 중국의 노동시장 역동성과 지역경제발전: 지역겨차변화 이해에 대한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3(2), pp.23-42.
  14. 조영남, 2013, "시진핑 시대 중국의 국가발전 전략: 사회 및 경제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2(2), pp.303-328.
  15. 주장환, 2018,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에 대한 중국의 새로운 인식: 시진핑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사상," 마르크스주의 연구 15(3), pp.176-200.
  16. 채욱.이장규.김부용, 2011, 중국의 발전 전략 전환과 권역별 경제 동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7. 홍성범, 1996, 9차 5개년 계획 원년의 순조로운 출발, 과학기술정책동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 邓小平, 1993, 鄧小平文選: 第三卷[M], 北京: 人民出版社.
  19. 苟興朝.楊繼瑞, 2018, "從 "區域均衡" 到 "區域協同": 馬克思主義區域經濟發展思想的傳承與創新," 西昌學院學報: 社會科學版 30(3), pp.17-22.
  20. 李彩華.韓慈, 2006, "近二十年新中國曆次五年計劃研究綜述," 中共黨史研究 1, pp.115-120. https://doi.org/10.24112/sinohumanitas.122455
  21. 孫斌棟.鄭燕, 2014, "我國區域發展戰略的回顧, 評價與啓示," 人文地理 29(5), pp.1-7.
  22. 田衛民, 2012, "省域居民收入基尼係數測算及其變動趨勢分析," 經濟科學 2, pp.48-5.
  23. 王力年, 2012, 區域經濟系統協同發展理論研究(Doctoral dissertation), 長春: 東北師範大學.
  24. 中華人民共和國憲法, 1982, 人民出版社.
  25. 中國人民共和國國務院公報, 1986, 11號, pp.326-328.
  26. 中國國家統計局, 2011~2021, 中國統計年鑑.
  27. 上海市統計局, 2011~2021, 上海統計年鑑.
  28. 浙江省統計局, 2011~2021, 浙江省統計年鑑.
  29. ;江蘇省統計局, 2011~2021, 江蘇省江蘇統計年鑑.
  30. Deng, X., Liang, L., Wu, F., Wang, Z. and He, S., 2022, "A review of the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s 32(1), pp.3-22. https://doi.org/10.1007/s11442-021-1930-0
  31. Ding, R. and Chen, S., 2015. "Regional coordination: Analysis of the trend of China's regional economic policy in the new era," Economic Perspectives 5, pp.4-10. (in Chinese).
  32. Fan, C., 1997, "Uneven development and beyond: regional development theory in post-Mao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1(4), pp.620-639. https://doi.org/10.1111/1468-2427.00105
  33. Greaney, T. M. and Li, Y., 2017,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regional inequality in China," Journal of Asian Economics 48, pp.120-133. https://doi.org/10.1016/j.asieco.2016.09.003
  34. Kakwani, N. C., 1980,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methods of estimation and policy appl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35. Lee, S. C., 2001, The internationalisation of productive capital: Korean textile and cloth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Chin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ussex).
  36. Lee, S. C. and Lee, K. B., 2002, "Inward investment and the transform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in China: from regional convergence to fragmentation between 1953 and 1996," DISP-The Planning Review 151(4), pp.30-41. https://doi.org/10.1080/02513625.2002.10556821
  37. Leung, C., 1996, "Foreign manufacturing investment and regional industrial growth in Guangdong province, China," Environment and Planning A 28, pp.513-536. https://doi.org/10.1068/a280513
  38. Liao, F. and Wei, Y., 2015, "Space, scale, and regional inequality in provincial China: A spatial filtering approach," Applied Geography 61, pp.94-104. https://doi.org/10.1016/j.apgeog.2014.12.022
  39. Smart, A., 1998, Economic transformation in China: property regime and social relations, in Pickels, J. and Smith, A.(eds), Theorising transition: the political economy of post-communist transformations, London: Routledge, pp.428-449.
  40. Wei, H., Nian, M. and Li, L., 2020, "China's strategies and policies for regional development during the period of the 14th five-year plan," Chinese Journal of Urban and Environmental Studies 8(2), pp.1-33. https://doi.org/10.1142/S2345748120500086
  41. Wei, Y., 1998, "Regional inequality of industrial output in China, 1952 to 1990,"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80(1), pp.1-15. https://doi.org/10.1111/j.0435-3684.1998.002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