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주 해녀 공동체의 공유지 관리 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

The Self-governance of the Commons and the Socio-economic Sustainability of the Jeju Haenyeo Community

  • 이종호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사회과학연구원) ;
  • 송원섭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권경희 (대구교육대학교) ;
  • 조철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Jong-Ho Le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Wonseob So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Kyung Hee Kw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ul-Ki C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1.27
  • 발행 : 2023.12.31

초록

본 연구는 공유지 비극의 극복 방안으로 공동체 자치 모델에 대한 기존 사례 연구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공유지 관리의 필요 요소와 방해 요소를 도출한다. 이러한 요소를 성공적 공동체 자치 모델로 인정받는 제주해녀 공동체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비교 분석하여, 현재 당면한 내·외부적 변화 속에서 앞으로도 이러한 공동체 내부 기제가 유용하게 작동될 수 있을 것인지, 향후 제주해녀 공동체 자치의 지속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요소는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사례에서 도출된 공동체 자치의 성공과 실패 요인에 따라 제주해녀 공동체 내부 작동 기제를 분석한 결과, 신뢰와 호혜성을 향상시키는 생산과 분배체계, 내재된 공동체 의식, 공식·비공식 조직의 역할 분담과 조직 내 제도화된 명시적, 암묵적 규범은 지속가능성의 내·외부 강점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폐쇄성, 생산성의 위기, 동질성의 약화와 새로운 주체의 등장은 내·외부 약점으로 작용했다. 결론적으로 향후 공유지 관리를 위한 제주해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해녀학교를 활용한 노동의 재생산 기능의 재정비, 공동체 생업 및 문화 전승 주체의 명확성과 해녀 중심의 권한 유지, 그리고 해녀들의 기타소득 보장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previous research on 'The Self-Governance of the Commons' to overcome 'The Tragedy of the Commons', and derives elements for successful commons management. These factor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social and economic attributes of the Jeju Haenyeo community, a successful community self-governance model. In addition, in the recently changing environment, it is revealed whether this internal community mechanism can be useful in the future. The goal is to reveal what social and economic factors will help the sustainability of the Jeju haenyeo community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nal operating mechanism of the Jeju haenyeo community,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hat improves trust and reciprocity, the inherent sense of community,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organizations, and the institutionalized explicit and implicit norms within the organization served as internal and external strengths of community sustainability. However, the closure of the network, the crisis of productivity, the weakening of homogeneity, and the emergence of new subjects acted as internal and external weaknesses. In conclusion,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Jeju Haenyeo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reproductive function of labor using the haenyeo school, to maintain clarity on the subject of livelihood and cultural transmission, and guarantee the income of Haenyeo.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과제번호2022S1A5A2A03052859).

참고문헌

  1. 강경민, 2015, "해양생태보존을 위한 마을어장 모델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의 어촌계 사례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49, pp.295-324. https://doi.org/10.35221/tamla.2015..49.011
  2. 고미, 2023, 제주해녀 출가 (出稼) 배경과 정착 과정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고은솔.정상철, 2018, " '제주해녀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유산경영," 예술경영연구 45, pp.317-341.
  4. 권경희, 2022, "대도시 산업지역사회의 사회자본 변화 특성과 도시재생에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 대구시 북성로 공구골목을 사례로," 대구경북연구 21(1), pp.133-159. https://doi.org/10.23029/JDGS.2022.21.1.133
  5. 권상철, 2015, "대안 공동체 경제 논의와 제주지역 사례: 마을 공동어장과 이시돌 목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395-414. https://doi.org/10.23841/egsk.2015.18.4.395
  6. 김경돈.류석진, 2011, "비배제성과 경합성의 순차적 해소를 통한 공유의 비극의 자치적 해결방안 모색: 제주도 동일리 해녀의 자치조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0(3), pp.163-188.
  7. 김권호.권상철, 2016, "공동체 기반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 제주해녀의 공유자원 관리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pp.49-63.
  8. 김도균, 2010, "어촌마을의 사회자본과 어촌계-3개의 어촌마을 비교연구," 농촌사회 20(1), pp.195-232.
  9. 김민주, 2015, "공유자산의 자치적 관리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부산 가덕도 대항마을의 숭어들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9(3), pp.51-77. https://doi.org/10.18333/KPAR.49.3.51
  10. 김숙진, 2017,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본 지역공동체의 실제: 7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49-69. https://doi.org/10.23841/EGSK.2017.20.1.49
  11. 김윤상, 2010, "공유지의 비극과 사유화의 비극," 국가정책연구 24(3), pp.89-105. https://doi.org/10.17327/ippa.2010.24.3.004
  12. 노우정, 2021, 제주 해녀공동체의 특성과 지속가능한 마을어장 관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송원섭.조철기.안종수.이종호, 2023, "'해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1), pp.81-93. https://doi.org/10.26863/JKARG.2023.2.29.1.81
  14. 양경숙, 2019, 제주해녀의 직업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유철인, 2018, "제주해녀의 유산화: 무형문화유산과 세계 농업유산,"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pp.73-79.
  16. 윤순진.차준희, 2009, "공유지 비극론의 재이해를 토대로 한 마을숲의 지속가능한 관리: 강릉 송림리 마을숲 사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19(2), pp.125-166.
  17. 윤홍근.안도경 옮김,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랜덤하우스 (= 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이정림, 2016, "지속가능한 어촌공동체의 조건: 공유자원의 자율적 관리와 사회적 경제" 도서문화 48, pp.199-242.
  19. 이창수.이상고, 2018, "어업인 참여 수산자원관리 운영에 대한 연구: 수협의 휴어제 운영 사례," 수산경영론집 49(3), pp.29-47.
  20. 이철우.박순호.권경희, 2006, "대도시 산업지역사회의 사회적 네트워크 실태와 정책대안: 대구광역시 북성로 공구상가를 사례로," 지역사회연구 14(1), pp.25-48.
  21. 이홍택, 2018,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에 관한 개념 틀: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3), pp.254-269. https://doi.org/10.23841/egsk.2018.21.3.254
  22. 정성훈, 2014, "영국의 근린생활권 계획과 공동체 파트너십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864-875. https://doi.org/10.23841/EGSK.2014.17.4.864
  23. 제주해녀박물관, 2009, 제주해녀의 생업과 문화, 제주해녀박물관 발간자료.
  24. 제주해녀박물관, 2015, 제주해녀, 제주해녀박물관 발간자료.
  25. 조소현, 2020, "제주해녀문화의 보전 및 전승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무형유산학 5(1), pp.113-137. https://doi.org/10.23207/IHS.2020.5.1.004
  26. 조인애, 2019, 제주 해녀학교의 학습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조철기.이종호.안종수.송원섭, 2023, "제주 해녀에 관한 사회적 담론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2), pp.189-202. https://doi.org/10.26863/JKARG.2023.5.29.2.189
  28. 좌혜경, 2002, "일본 쓰가지마[菅島]의 '아마'와 제주 해녀의 비교 민속학적 고찰," 한국민속학 36, pp.229-270.
  29. 좌혜경.권미선, 2009, 제주 해녀의 생업과 문화,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
  30. 최재송.이명석.배인명, 2001, "공유재 문제의 자치적 해결: 충남 보령시 장고도 어촌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0(2), pp.152-172.
  31. 최정수, 2003, "생태관광과 로컬 거버넌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pp.233-247. https://doi.org/10.1023/A:1024148403753
  32. 함한희, 2017, "유네스코 등재 이후 제주 해녀공동체의 도전과 과제: '유산화(heritization)' 과정을 중심으로" 무형유산학 2(2), pp.7-25.
  33. Berkes, F., 1986,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Common Property Resource Management(pp. 63-83),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34. Berkes, F., 2005, "Commons theory for marine resource management in a complex world," Senri Ethnological Studies 67, pp.13-31.
  35. Davis, A., 1984, "Property rights and access management in the small boat fishery: A case study from southwest Nova Scotia," Atlantic Fisheries and Coastal Communities: Fisheries Decision-making Case Studies, pp.133-164.
  36. Hardin, G., 1968, "The Tragedy of the Commons," Science 162(3859), 1243-1248. https://doi.org/10.1126/science.162.3859.1243
  37. Netting, R. M., 1976, "What alpine peasants have in common: Observations on communal tenure in a Swiss village," Human Ecology 4(2), pp.135-146. https://doi.org/10.1007/BF01531217
  38. Olson, M.,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9. Ostrom, E., 2003, "How types of goods and property rights jointly affect collective action,"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15(3), pp.239-270. https://doi.org/10.1177/0951692803015003002
  40. 디지털서귀포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seogwipo (최종열람일: 2023년 9월1일).
  41.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moleg.go.kr/ (최종열람일: 2023년 8월 23일).
  42. 수산경제연구원, https://fei.suhyup.co.kr/ (최종열람일: 2023년 7월 2일).
  43. 해녀박물관, https://www.visitjeju.net/kr/ (최종열람일: 2023년 8월 28일).
  44. UNESCO and Heritage, https://heritage.unesco.or.kr/ (최종열람일: 2023년 9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