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sic Study on Historical Repair Techniques for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 Focusing on Government-managed Spaces in Joseon Dynasty -

전통조경 시설물의 역사적 수리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 조선시대 관영공간을 중심으로 -

  • Kim, Min-Seo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Lab,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Oh, Jun-Young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김민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연구소) ;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3.05.19
  • Accepted : 2023.11.22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Although the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need to be repaired according to historical and authentic techniques, the repair criteria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still remain at a theoretical level, and there are little research analyzing detailed techniques from specific cases. This study discussed the repair techniques based on historical facts, around terraced flower beds, ponds, waterways and pavement in the government-managed spaces in the Joseon Dynasty. It analyzed the materials and finish of stone wall elements,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backfill materials, and topsoil surface protection measures, and drew out stones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plastering material for agglutination, and stone processing techniques for the terraced flower beds. It examined the materials and structures of the rock revetment,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waterproofing techniques and drew out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foundation work, the recycle of used elements and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for the ponds. It primarily investigated the materials,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waterproofing techniques and discovered the repair techniques such as cover stone finishing methods, foundation and backfill materials, and flow reduction methods, for the waterways. Finally, it provided actual cases of the foundation composition, auxiliary materials and tools, and the use of cyperaceae and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professional craftsmen called Bangjeonjang(方磚匠), for the pa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staring point for discovering the repair techniques for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and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specifications in the future.

전통조경 시설물은 역사성과 진정성을 가진 기법에 따라 수리되어야 하지만 현행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의 수리기준은 실무적 차원의 기본지침에 해당하며,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세부기법을 분석한 연구도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관영공간의 화계, 연못, 수로, 포장을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수리기법을 시론하였다. 첫째, 화계는 석축 부재의 재료와 마감, 구조 강화와 뒤채움 재료, 상부 표토면 보호 조치를 분석하고, 기초보강용 석재와 교착용 미장재, 석재의 가공기법 등을 도출하였다. 특히 쇠시리와 모접기를 통한 세밀한 장대석 가공법, 기초보강용 엄석과 유회의 사용은 화계의 독특한 수리기법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못의 경우 호안 석축의 재료와 구조, 기초부 보강과 누수 방지 기법을 살펴보면서 지정공사, 구부재 활용, 수질 관리 등에 관한 특징을 도출하였다. 고임쇠와 심석을 통한 내구성 강화, 기초부 강화를 위한 말뚝지정, 오물 유입 방지를 위한 사초 피복 등이 주목할 만한 수리기법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로는 축조 재료, 기초부 강화와 누수 방지 조치, 수해 예방 조치를 중점적으로 파악하면서 덮개돌 마감 방식, 지정과 뒤채움 재료, 유속 저감 방법 등의 수리기법을 파악하였다. 수량에 따른 다양한 바닥 재료, 누수 방지를 위한 강회 마감 등이 주요 수리기법으로 주목되며, 날개벽과 낙차공 등은 수로 내부의 충파와 유속 관리를 위한 조치로 확인되었다. 넷째, 포장은 기초부 구성, 부속 재료와 도구, 사초 활용 등에 관한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사초 피복을 통한 박석 고정, 세승으로 불린 기준실 사용 등이 주요 수리기법 중 하나였으며, 특히 방전장으로 불린 방전 포설 전문장인의 존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전통조경 시설물의 수리기법 발굴을 위한 출발점이 되고, 향후 시방서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민 외(2001). 우리나라 궁궐 지당의 조성기법에 관한 기초 조사 연구: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의 지안 축석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84.
  2. 고승관 외(2011). 조선왕릉 연지의 특성과 전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
  3. 백지성(1998). 한국정원의 식재기반으로서의 화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궁원 화계의 입면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1).
  4. 홍광표 외(2000). 사찰의 화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2).
  5. 장익식(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황용득(1989). 전통공간의 배수처리기법에 관한 연구:궁궐과 사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정한(2019).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4).
  8. 김영모(2012). 전통조경 시설 사전. 동녘.
  9. (사)한국전통조경학회(2021). 전통조경 시공.관리. 문운당.
  10. 문화재청(2017).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보고서2: 112-119.
  11. 문화재청(2001). 창경궁 통명전 실측조사보고서: 196.
  12. 영건의궤연구회(2010). 영건의궤. 동녘: 911-912.
  13. 문화재청(2007). 창경궁 통명전 연지 실측조사 및 수리보고서: 147-148
  14. 문화재청(2013). 여주 영릉, 영릉 능제 발굴조사보고서: 52-55. 75. 105. 140.
  15. 문화재청(2000). 경회루 실측조사 및 수리공사보고서: 210-212.
  16. 오창희(2020). 조선시대 관아의 지당조성기법 연구:의정부터 지당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60
  17. 전지혜(2009). 백제지역 석탑에 관한 연구:부여.익산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3
  18. 문화재청(2014). 구리시 동구릉(숭릉) 연지 정비를 위한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38
  19. 문화재청(2021). 경복궁 영건일기로 본 경복궁 중건: 328.
  20. 문화재청(2020). 여주 영릉과 영릉 유적종합정비공사(2단계) 수리보고서(상): 347-341.
  21. 문화재청(2002). 창덕궁 반도지 보수정비공사 준공보고서: 44-47.
  22. 문화재청(2007). 창경궁 통명전 연지 실측조사 및 수리보고서: 105.
  23. 문화재청(2001). 창덕궁 반도지 시굴조사보고서: 15-16.
  24. 문화재청(2000). 경복궁 동궁지역 중건공사보고서: 305.
  25. 권기창(2005). 한국적 석축기법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6.
  26. 조선고적도보
  27. 문화재청(2008). 경복궁 발굴조사보고서 1(소주방지): 79-80. 83.
  28. 문화재청(2004). 의릉 복원정비지역 발굴조사보고서: 124. 127.
  29. 문화재청(2005).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보고서: 54-58. 261.
  30. 문화재청(2005). 경복궁 태원전 권역 중건보고서: 261. 277.
  31. 문화재청(2011). 경복궁 발굴조사 보고서(궁장지): 184.
  32. 문화재청(2015).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영훈당지)1: 71-82.
  33. 문화재청(2014).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65.
  34. 문화재관리국(1995). 경복궁 침전지역 발굴조사보고서: 156.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