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Generative AI in Engaged Learning: Focusing on the ChatGPT Case

참여형 학습에서 생성형 AI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ChatGPT 사례 중심으로

  • 김경순 (숭실대학교 대학원 IT정책경영학과) ;
  • 김낙일 (숭실대학교 대학원 IT정책경영학과) ;
  • 김명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IT정책경영학과) ;
  • 신용태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 Received : 2023.09.11
  • Accepted : 2023.12.18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elpful the use of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is in conducting engaged learning at each university.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s of users using generative AI technolog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and eas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examined whether there is an intention to continue using generative AI technolog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ChatGPT technolog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given in the participating classes, we examined previous paper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IS), extrac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hatGPT technology, and present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mpirical research on the continuous use of generative AI in participatory learning using ChatGP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itable for long-term and continuous us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whether it is sustainable by examining the intention of learners to continue using it. First, use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generative AI technology. Second, if the user experienc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ChatGPT technology, and users gain experiences such as usefulness, interest, and effective respons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echnology, the evaluation of the technology is positively formed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is high. Third, the ease of use of the technology also showed that it was intended to be used continuously when an environment was provided in which users could easily and conveniently utilize generative AI technology.

Keywords

References

  1. 고준용, "전시 참관객의 개인화 모바일서비스 사 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국내 박사학위논문, 2014.
  2. 고종남,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에 대한 교사의 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제37권, 제2호, 2023, 17-45. https://doi.org/10.34274/KRABE.2023.37.2.002
  3. 구영은, 홍문표, "ChatGPT를 활용한 독일어 초급 학습자의 작문 연습에 관한 연구", 독일언어문학, 제100호, 2023, 47-69.
  4. 구정호, 양지연, "프로젝트 중심 학습(PBL)에서 의사 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회계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Korea Business Review, 제21권, 제4호, 2017, 119-140. https://doi.org/10.17287/kbr.2017.21.4.119
  5.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포커스 통권 150호 콘텐츠산업의 생성형 AI 활용 이슈와 대응 과제", KOCCA KOCCA포커스, 2023.
  6. 김민지, 이승준, 최정일,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제51권, 제1호, 2023, 97-117. https://doi.org/10.7469/JKSQM.2023.51.1.97
  7. 김태하, 차훈상, 박찬희, 위정현, "온라인 쇼핑몰 챗봇사용자의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21권, 2020, 211-225. https://doi.org/10.15813/KMR.2020.21.4.011
  8. 김동호, 이정훈, 박양표, "기업의 Cloud Computing 서비스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Cloud Computing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7권, 제1호, 2012, 111-136. https://doi.org/10.7838/jsebs.2012.17.1.111
  9. 김원일, 윤현식, "금융 챗봇 서비스의 사용 의도에 대한 질적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11호, 2021, 181-199. https://doi.org/10.14400/JDC.2021.19.11.181
  10. 김태호, "국어교육에서 AI의 수용 방향", 청랑어람어문교육, 제93권, 2023, 7-27.
  11. 김태훈, "챗 GPT가 촉발한 생성형 AI 시대, 미래 모습과 대응 방안", Future Horizon, 제55권, 2023, 2-9.
  12. 나지연, 정현미, "대학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BL)설계모형 개발", 열린교육연구, 제20권, 제3호, 2012, 111-140.
  13. 민윤정, 안재경, 김소영,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학습용 챗봇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6권, 제4호, 2020, 799-825. https://doi.org/10.15833/KAFEIAM.26.4.799
  14. 박도현, 성신형, "참여형 학습(Engaged Learning)방법을 활용한 기독교교양필수 교과목 개선 방안 연구: S대학의 기독교교양필수교과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제18권, 2022, 111-138. https://doi.org/10.24173/jge.2022.01.18.4
  15. 박수아, 최세정, "인공지능 스피커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능적, 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9권, 제3호, 2018, 159-182. https://doi.org/10.52558/ISM.2018.12.19.3.159
  16. 오선미, 김용석, 서재이, 최정일, "O2O 인테리어 플랫폼의 서비스 특성이 고객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제22권, 제4호, 2021, 1-32. https://doi.org/10.15706/jksms.2021.22.4.001
  17. 신건권, 석박사 학위 및 학술논문 작성 중심의 Amos 23 통계분석 따라 하기,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6.
  18. 송정범, "SW교육에 참가하는 학생의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1호, 2018, 91-102.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91
  19.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 방법, 서울: 21세기사, 2012.
  20. 양지훈, 양성병, 윤상혁, "생성형 AI 서비스의 성공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텍스트 마이닝과 ChatGPT를 활용하여", 경영정보학연구, 제25권, 제2호, 2023, 125-144. https://doi.org/10.14329/isr.2023.25.2.125
  21. 이기수, 이철영, "디지털 캐릭터 매칭 시스템 개발과 개인 미디어 활용에 대한 제안", 애니메이션연구, 제2권, 제2호, 2006, 123-143.
  22. 이원석, "농업인 맞춤 지원을 위한 농업 마이 데이터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국내 박사학위논문, 2021.
  23. 이정란, "인터넷 상호작용성이 e-브랜드에 있어서 일체감, 관계 품질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4. 이현정, 이민하, 한진영, 최영완, "대학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으로서 플립러닝 방식에 따른 효과성 비교", 교양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2018, 89-110.
  25. 오규설, "생성형 인공지능이 국어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국어교육연구, 제82권, 2023, 143-189.
  26.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6.
  27. 전종희, "대학교육의 챗 GPT 대응 현황 및 방안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제12 권, 제4호, 2023, 517-548.
  28. 전현선, 김미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제10호, 2023, 255-275.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0.255
  29. 최미애,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위한 영향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2010.
  30. 차봉준, "인류세시대, 환경 인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인게이지 러닝(Engaged Learning) 수업모델 적용을 바탕으로", 문학과환경, 제21권, 제2호, 2022, 223-248. https://doi.org/10.36063/ASLE.2022.21.2.009
  31. 최서원, 남재현, "SW 교육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활용",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23권, 제12호, 2019, 1693-1699. https://doi.org/10.6109/JKIICE.2019.23.12.1693
  32. 최윤희, "영어 작문 과정에 활용한 ChatGPT 에 대한 한국인 예비영어교사의 인식 탐색", 영어교과교육, 제22권, 제2호, 2023, 243-262
  33. 차원상, "음성인식 모바일 앱 연동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 연구: 상호작용성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129권, 2021, 67-91. https://doi.org/10.16914/ar.2021.129.67
  34. 채수익, 최중영, 조은영, 이남용, "프로젝트관리분야의 지능형 챗봇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2021, 2587-2593.
  35. 한정훈, "생성형 AI 시대의 개막", 미디어이슈 & 트렌드, 제55권, 2023.
  36. 한형종, "대학 교육에서의 ChatGPT 통합 활용을 위한 수업 설계 전략 개발", 교육문화연구, 제29권, 제4호, 2023, 243-275. https://doi.org/10.24159/JOEC.2023.29.4.243
  37.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 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3.
  38. 홍효정,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에 따른 교수자 요구분석", 인문사회 21, 제11권, 제5호, 2020, 2517-2532. https://doi.org/10.22143/HSS21.11.5.180
  39.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25, No.3, 2001, 351-370. https://doi.org/10.2307/3250921
  40. Ahn, T., S. Ryu, and I. Han, "The impact of Web quality and playfulness on user acceptance of online retailing", Information & Management, Vol.44, No.3, 2007, 263-275.
  41. Bandura, A., W.H. Freeman, and R. Lightsey,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Vol.13, No.2, 1999, 158-166. https://doi.org/10.1891/0889-8391.13.2.158
  42. Bozkurt., A.,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powered conversational educational agents: The inevitable paradigm shift", Asi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8, No.1, 2023.
  43. Chau, P.Y.K, "An empirical assessment of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3, No.2, 1996, 185-204. https://doi.org/10.1080/07421222.1996.11518128
  44. Davis, F.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is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5.
  45. Davis, F.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 3, 1989,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46. DeLone, W.H. and E.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1, 1992, 60-95. https://doi.org/10.1287/isre.3.1.60
  47. DeLone, W.H. and E.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easurement", Foundations and Trends in Information Systems, Vol.2, No.1, 2016, 1-116. https://doi.org/10.1561/2900000005
  48. Duha, M.S.U., "ChatGPT in Education:An Opportunity or a Challenge for the Future?". Tech Trends, Vol.67, No.3, 2023, 402-403. https://doi.org/10.1007/s11528-023-00844-y
  49. Fornell, C. and D. Lark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19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50. Hirschman, E.C.,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7, No.3, 1980, 283-295. https://doi.org/10.1086/208816
  51. Jasperson, J., P.E. Carter, and R.W. Zmud, "A comprehensive conceptualization of postadoptive behavior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enabled work systems", MIS quarterly, Vol.23, No.3, 2005, 525-557. https://doi.org/10.2307/25148694
  52. Qadir, J., "Engineering education in the era of ChatGPT: Promise and pitfalls of generative AI for education", 2023 IEEE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Conference (EDUCON) IEEE, 2023. 1-9.
  53. Johnson, G.J., G.C. Bruner II, and A. Kumar, "Interactivity and its facets revisited: Theory and empirical test", Journal of Advertising, Vol.35, No.4, 2006, 35-52. https://doi.org/10.2753/JOA0091-3367350403
  54. Willison, J., "The models of engaged learning and teaching: Connecting sophisticated thinking from early childhood to PhD", Springer Nature, 2020.
  55. Williams, F., R.E. Rice, and E.M. Rogers, "Research methods and the new media", Simon and Schuster, 1988.
  56. Wixom, B.H. and P.A. Todd, "A theoretical integration of user satisfaction and technology acceptanc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6, No.1, 2005, 85-102. https://doi.org/10.1287/isre.1050.0042
  57. Xiao, X.T. and S.I. Kim,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smart speaker in china-focused on tmall genie and mi ai speak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 No.1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