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tific Self-Efficacy, and Science Core Compet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과학 핵심역량의 구조적 관계 분석

  • Received : 2023.11.28
  • Accepted : 2023.12.24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y examin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gnitive factors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definitional factors such as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self-efficacy on science core compet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using data from 438 students in all grades at S middle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self-efficacy had a direct effect on science core competency, an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had a direct effect o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self-efficacy. In additi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had an indirect effect on science core competency through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considers cognitive factors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defining factors such as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self-efficacy in order to foster science core compet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같은 인지적 요인과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정의적 요인의 과학 핵심역량에 대한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S 중학교의 전학년 학생 43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과학 핵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과학 핵심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중학생의 과학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인지적 요인인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정의적 요인인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종합적 관점에서 학생들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자, 여성희, 양정은(2002). 중학생의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학습환경과의 상관관계. 생물교육, 30(2), 190-196.
  2. 고은정, 정대홍(2014).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35-54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535
  3.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4. 김동렬(2013).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2), 261-277. https://doi.org/10.21796/JSE.2013.37.2.261
  5. 김만권, 이기학(2003). 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3), 491-504.
  6. 김순식, 이용섭(2017).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78-289.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78
  7. 김윤희, 오상철(2010). 교사의 정서적 지원과 교사의 신념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지원 수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263-282.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2.263
  8. 김현섭, 이태교, 방경현(2019).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통합과학 교과서의 반영 순위 및 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현장과학교육, 13(1), 63-77. https://doi.org/10.15737/SSJ.13.1.201902.63
  9. 김현정, 김성기(2023). 과학 체험 프로그램 운영이 예비 교사의 과학문화소양 및 핵심역량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3(1), 29-36. https://doi.org/10.14697/JKASE.2023.43.1.29
  10. 박기락, 최효식, 연은모(201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669-67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669
  11. 박신경, 황신영, 정영란(202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등 과학 교과의 생물의 다양성 단원에 대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6(1), 1-12. https://doi.org/10.24231/RICI.2022.26.1.1
  12. 방경현, 김현섭(2022).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교육발전, 42(2), 519-545.
  13. 배훈, 유병길(2012). 몰입에 기반한 학습이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25-234. https://doi.org/10.15523/JKSESE.2012.5.3.225
  14. 송신철, 심규철(2019).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나타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363-383.
  15. 송주현, 이형철(2018).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182-192.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182
  16. 심보경, 유미현(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의 수행평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현장과학교육, 14(4), 481-500. https://doi.org/10.15737/SSJ.14.4.202011.481
  17. 심재민(2017).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교수학습이 과학과 핵심역량 및 과학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 5학년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용진, 정은영(2020). 과학 독서활동 수업이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4(4), 501-513. https://doi.org/10.15737/SSJ.14.4.202011.501
  20. 이정수, 정영란(2014).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91-49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5.0491
  21. 임희준(2017).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 과학교육연구지, 41(3), 351-364. https://doi.org/10.21796/JSE.2017.41.3.351
  22. 정미나(2011). 중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과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시화, 김봉곤, 구인선, 박종근(2010). 반응속도 실험 수업에서 자기조절 학습 전략이 과학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681-692.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6.681
  24. 정영란, 안미경(2010). 자기조절학습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 성취,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9(4), 389-400.
  25. 정은숙, 안도희(2009). 웹기반 과학 수업 방법과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과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2), 281-305.
  26. 조영재, 박수홍(2018). 대학 신입생의 집단별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1131-1153.
  27. 채혜민(2019). 자유학년제 활용 역량강화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과학과 핵심역량, 과학 관련 태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채희인, 노석구(2015). 핀란드의 핵심역량교육 연구 동향-초등과학교육 중심의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9(3), 645-667. https://doi.org/10.24231/RICI.2015.19.3.645
  29. 채희인, 노석구(2022). 초등학교 3-4 학년군 과학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 (ScC) 반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41(2), 325-337.
  30. 최정아, 우애자(2020).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24(1), 11-22. https://doi.org/10.24231/RICI.2020.24.1.11
  31. 하지훈, 신영준(2016).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26-441.
  32. 황익환, 하동수, 박종근(2011). 제4장 산,염기 실험수업에서 자기조절 학습전략이 과학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현대교육연구, 23, 67-92.
  3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34.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1), 78-102.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901_5
  3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6.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
  37.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Vol. 210). John Wiley & Sons.
  38. Britner, S. L., & Pajares, F. (2001). Self-efficacy beliefs, motivation, race, and gender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Woman and Minorit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7, 271-285.
  39. Britner, S. L., & Pajares. F. (2006).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5), 485-499. https://doi.org/10.1002/tea.20131
  40. Dulski, R. E. (1992). Development of a factor analytic path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41. Finson, K. D. (2002). Drawing a scientist: What we do and do not know after fifty years of drawing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7), 335-345.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2.tb18217.x
  42.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43. Hoyle, R. H. (Ed.).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44. Jansen, M., Scherer, R., & Schroeders, U. (2015). Students'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the sciences: Differential relations to antecedents and educational outcom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41, 13-24. https://doi.org/10.1016/j.cedpsych.2014.11.002
  45. Kline, R. B. (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46.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902_1
  47. Lopez, F. G., & Lent, R. W. (1992). Sourc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1(1), 3-12.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2.tb00350.x
  48. MacCallum, R. C., Browne, M. W., & Cai, L. (2006). Testing differences between nested covariance structure models: Power analysis and null hypotheses. Psychological Methods, 11(1), 19.
  49. Pajares, F., Britner, S. L., & Valiante, G. (2000). 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s and self-belief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riting and scienc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4), 406-422. https://doi.org/10.1006/ceps.1999.1027
  50. Parker, P. D., Marsh, H. W., Ciarrochi, J., Marshall, S., & Abduljabbar, A. S. (2014). Juxtaposing math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as predictors of long-term achievement outcomes. Educational Psychology, 34(1), 29-48. https://doi.org/10.1080/01443410.2013.797339
  51.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52.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71-86.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6
  53.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2), 173-180.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2502_4
  54. Tucker, L. R., &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1), 1-10. https://doi.org/10.1007/BF02291170
  55.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Sage Publications, Inc.
  56.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
  57. Zimmerman, B. J., & Schunk, D. H. (2011).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formance: An introduction and an overview.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