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and Demand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e Support Project for Part-Time Substitute Teachers in Busan

부산시 시간제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및 요구

  • 김정은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 최진령 (부산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 Received : 2023.11.16
  • Accepted : 2023.12.04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child care teachers regarding the support project for part-time substitute teachers in Busa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6,141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Busan part-time substitute teacher support projec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perception of part-time substitute teacher support projects based on the type of daycare center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spects, except for whether they choose to reapply. Second, an analysis of the demand for part-time substitute teacher support projects, categorized by the type of daycare cent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nish valuable insights for the equitable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part-time substitute teaching assistant support project, taking into accoun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various daycare centers. Additionally, the results offer essential foundational data to guide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art-time substitute teaching assistant support project.

Keywords

References

  1. 강자영 (2017). 대체교사 지원사업 이용실태와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차이-충청북도를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자영, 김현정 (2019).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대체교사 지원사업 이용실태와 인식. 교원교육, 35(3), 249-273. http://doi.org/10.14333/KJTE.2019.35.3.249
  3. 김동례 (2019). 어린이집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대한 어린이집의 인식 실태와 대체교사의 행정적.재정적 지원 만족도 및 개선방안 연구. 인문사회21, 10(2), 27-42. http://dx.doi.org/10.22143/HSS21.10.2.3
  4. 김대영 (2001).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천안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주 (2021. 12. 8). 아동과 교사 상호작용 위해서는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 필수. 베이비뉴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51 에서 2023년 10월 31일 인출.
  6. 김아름, 김은설, 조혜주, 양성은 (2020). 근로시간 보장을 위한 어린이집 인력배치 합리화 방안(연구보고 2020-09).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index.do에서 2023년 10월 31일 인출
  7. 김영은 (2012).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7-76.
  8. 김옥렬 (2001). 보육의 전문성을 위한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애 (2000). 어린이집 교사의 교직태도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03
  11. 문채련, 이소은 (200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87-399.
  12. 박창현, 김상림 (2018).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 및 요구분석: 보조교사, 대체교사, 부담임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8(2), 85-102. http://dx.doi.org/10.21213/kjcec.2018.18.2.85
  13. 박진주 (2014). 서울시 어린이집 대체교사의 경험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백선정, 김나은 (2012). 경기도 어린이집 대체교사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5. 백선정, 김혜금 (2013). 대체교사 제도에 대한 국비지원과 도비지원 대체교사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09-228.
  16. 부산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 (2016). 부산광역시 시간제대체교사지원사업 운영매뉴얼. 부산광역시 육아종합지원센터.
  17. 손화정 (2023). 어린이집 정교사와의 근무 맥락 속에서 드러나는 대체교사의 경험.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안재진, 김문정 (2009. 11). 보육시설 대체교사 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및 운영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964에서 2023년 10월 31일 인출
  19. 양미선 (2013). 국공립어린이집 '부족 심각', 정부는 시설 확충에 힘써야. 육아정책 Brief, 11, 1-4.
  20.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017). 2017년 사업보고서.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1.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021). 2021년 사업보고서.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2.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022). 2022년 사업보고서.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3.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023). 시간제 대체교사 지원사업 관리매뉴얼. 연제구육아종합지원센터.
  24. 이봉선 (2015). 어린이집 대체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순영, 우정희 (2008). 보육교사 근무환경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만족도 및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1), 259-275.
  26. 이윤신 (2019). 온종일 활기찬 어린이집을 위한 보육지원체계 개편. 육아정책포럼, 62, 24-31.
  27. 정인화 (2012). 어린이집 대체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조성연, 백은주, 김혜금, 권연희, 정지나 (2010).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89-100.
  29. 최정화 (2014). 어린이집 대체교사의 직무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최진호 (1996). 영아보육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환경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한국보육진흥원 (2023). 2023년 대체교사 지원사업 운영안내. 한국보육진흥원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