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Ventilation Performances for Various Combinations of Inlets and Outlets in a Residential Unit through CO2 Tracer-Gas Concentration Decay Method

CO2 추적가스 농도감소법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급·배기구 조합에 따른 환기 성능 분석

  • 이상윤 (LH 토지주택연구원 건설안전연구실) ;
  • 이수만 (LH 토지주택연구원 건설안전연구실) ;
  • 김종엽 (LH 토지주택연구원 건설안전연구실) ;
  • 김길태 (LH 토지주택연구원 건설안전연구실) ;
  • 곽병창 (LH 토지주택연구원 건설안전연구실)
  • Received : 2023.11.16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Indoor air qualit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with the increase in time spent in residential environments, impact of external fine dust, yellow dust, and the post-COVID 19 pandemic. Residential mechanical ventilation plays a key role in addressing indoor air quality. The legal standard for residential air changes per hour in Korea is 0.5 ACH. However, there are no standards for the location of supply and return vents. This study atempts to analyze the impact of ventila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supply and return vent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CO2 tracer gas concentration decay method in a mock-up house set inside a large chamber to minimize external influence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monly used combination of 2 supply and 2 return vents in living room spaces had a lower mean age of air than the combination of 1 supply and 2 return vents. Using multiple supply and return vents had lower mean age of air than using just 1 supply and 1 return vent.

주거 공간에서의 시간 증가와 외부 미세먼지, 황사 등의 영향 그리고 코로나 19 이후에 실내 공기질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거 공간에서 기계환기의 영향이 중요해지고 있고, 국내에서는 시간당 환기횟수 0.5회에 대한 법적 기준이 있다. 하지만, 급배기구의 위치는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서 관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배기구 위치에 따른 주거 공간의 환기 성능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외부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형 챔버안에 있는 목업주택에서 추적가스법 중 농도감소법을 이용해서 실제 현장시험을 진행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거실 공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급기구 2개, 배기구 2개 조합은 급기 1개 배기 2개 조합보다 공기연령이 낮았으며, 급기와 배기를 1개씩 사용하는 것보다 급기나 배기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이 측정점에서 오차율이 적어 실내 환기성능이 유사한 것을 확인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RS-2021-KA163230).

References

  1. 곽병창.이수만.김길태.김종엽(2022), "실증실험을 통한 측정 위치에 따른 주거공간 환기성능 평가", 「LHI Journal」, 13(3): 93~106. 
  2. 국토교통부(2021.8.27.),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3. 권용일.김천용(2023), "국가건설기준(설계기준)의 개정 현황소개: 환기설비설계기준 개정내용 중심으로", 「대한설비공학회」, 52(9): 50~55. 
  4. 노광철.한창우.오명도(2006), "환기가 되는 강의실에서 천장형 에어컨의 풍량이 실내공기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4~24. 
  5. 박병용(202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실내공기질과 환기설비: 필요환기량 기계설비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친환경설비학회 학회지」, 17(1): 6~12. 
  6. 박준석(2017), "공동주택에서의 기계환기설비 사용현황 및 유지관리", 「대한설비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7~260. 
  7. 안철린.김좌진.금종수.박효순(2004), "학교건물의 공기질 개선을 위한 환기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학교교육시설학회」, 11(2): 17~23. 
  8. 여명석.이병희(2017), "건물에서의 미세먼지 유입 및 이동", 「대한건축학회 학회지」, 61(11): 15~20. 
  9. 이수환.이병희.백지민.강동화.여명석.김광우(2017), "실내 미세먼지 농도 예측을 위한 침입계수 및 침착률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3(11): 35~42. 
  10. 최연희.송두삼(2017), "실험을 통한 환기시스템의 국소적 환기효율 분석",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29(2): 63~67. 
  11. 최정민.조성우(2009), "실내 급.배기구 위치변화에 따른 실 공기유동에 관한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21(3): 193~200. 
  12. 최종언.이상엽(2014), "국.내외 환기기준 변화와 설치기준 비교", 「대한설비공학회」, 43(3): 18~15. 
  13. 한국산업표준(2020), "「KS I ISO 16000-8 건물에서의 환기상태 평가를 위한 국소 평균 공기 체류시간의 측정」", 2023.11.14. 읽음. https://standard.go.kr/. 
  14. 한국산업표준(2021), "「KS L ISO 12569 건물 열 성능-건물 내 환기 측정: 추적 가스 희석법", 2023.11.14 읽음. https://standard.go.kr/. 
  15. 한화택(1999), "환기실험을 위한 추적가스 방법의 응용", 「공기조화냉동공학회」, 28(6): 452~462. 
  16. 현규섭.강영일.임선식(2021), "코로나시대 공동주택 최적 환기방식", 「대한설비공학회 2021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0~124. 
  17. ASHRAE (2010), Guideline 10, Interactions Affecting the Achievement of Acceptable Indoor Environment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