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월세 임차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분위별 소득과 임대료 간의 부정합 분석

Structural Changes in Rental Housing Markets and a Mismatch between Quartile Income and Rent

  • 박정호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 ;
  • 임태균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도시공간정보연구실(LUPIN))
  • 투고 : 2023.09.18
  • 심사 : 2023.11.20
  • 발행 : 2023.12.31

초록

전체 주택 시장에서 보증부 월세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세 지분을 잠식하며 지난 30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1990년 8.2% → 2020년 21.0%) 2.6배로 확대되었다. 월세 부담 분포는 공공임대 월세 지원의 확대와 고가 월세의 등장으로 월세시장 재편으로 이어지고 있다. 월세 가구의 소득 분포는 저소득 월세 가구의 소득 둔화와 고소득 월세 가구의 출현으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증부 월세시장을 통해 월세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소득-임대료 간 부정합 현상을 정량화하는 지표로 월세 가구의 임대료와 소득을 동시에 비교하여 그 추이를 측정하였다. 11개년도(2006~2021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2006년(기준연도) 월세 임대료(전월세 전환율 반영)와 월세 가구 소득을 각각4분위 분포로 구획한 후 10~15년 후(분석연도) 나타난 변화를 전국과 16개 광역시·도(세종시 제외) 공간 단위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국적인 월세 주택 공급에서 최고가 4분위(25% → 18%)와 3분위(25% → 20%)의 축소로 중·상위 월세 주택 공급난을 보인 반면 공공임대주택 공급으로 2분위(25% → 28%)와 최저가 1분위(25%→ 35%)는 확대되었다. 월세 가구의 수요 측면에서 최고소득 4분위(25% → 21%)의 축소와 달리 최저소득 1분위(25% → 31%)는 확대되었다. 16개 광역시·도를 비교해보면, 월세 임대료와 월세 가구소득의 변화 방향과 강도에 있어서 지역 간 상당한 격차가 확인되었다. 특히, 서울의 월세 주택 시장은 공급 양극화로 서울 월세 가구의 소득 분포와 불균형을 이루었다. 아파트 월세시장의 구조적 변화 양상은 비아파트 월세시장과 차별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별 월세 주택 시장에서 보증부 월세 가구의 소득 분위별로 부담 가능한 임차 주택 재고를 확보하고 지역별 소득과 임대료 분포 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주거안정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ntal housing market in South Korea, specifically monthly rent with deposit, has been expanding over the last three decades (8.2% in 1990 to 21.0% in 2020), partly replacing the traditional Jeonse market. The distribution of rent has changed due to public rental subsidies and the emergence of luxury rental housing, while the distribution of rental household income has been polarized because of the emergence of rich renters.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rental market by developing a new indicator of income-rent mismatch. Using the seven series of the Korea Housing Survey,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rent (reflecting the conversion rate) and income levels of rental households in 2006 (base year) and 10-15 years later (the analysis year) at the national level and at the spatial unit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excluding Sejong), respectively, by dividing them into quartile data. The result reveals that rental housing was undersupplied in middle- and high-income rental housing due to the decline in the highest quartile (25%→18%) and the third quartile groups (25%→20%), while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expanded for the second quartile (25%→28%) and the lowest quartile (25%→35) groups. On the demand side, the highest income quartile shrank (25%→21%), while the lowest income quartile grew (25%→31%). Comparing the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ere we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changes in rent and renter household income. In particular, the rental market in Seoul was characterized by supply polarization, which led to an imbalance in the income distribution of rental households.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apartment rental market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non-apartment rental marke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gional rental housing markets. The findings can support securing affordable rental housing stock for each income quartile group on monthly rent and developing housing stability measures for a balance between income and rent distribution in each region.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023R1A2C1006288).

참고문헌

  1. 권정표.강정규(2022), "청년 1인가구 임차인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LHI Journal」, 13(2): 65~79.
  2. 김경수.지규현.최창규(2021), "월세형 임대주택 공급지역의 전월세 시장구조 분석", 「주거환경」, 19(4): 67~76.
  3. 김유연.성은영.최창규(2016), "임차인의 자산제약 및 주거선호가 전.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연구」, 22(4): 19~31.
  4. 김정성.이영호(2015), "주택시장의 월세주거비 상승이 소비 및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조사통계월보」, 69(5): 17~38.
  5. 남영우(2013), "서울시의 임대차시장의 구조변화 및 균형에 대한 연구", 「주택도시연구」, 3(2): 3~11. https://doi.org/10.26700/shuri.2013.12.3.2.3
  6. 류강민.지규현.이창무(2013), "월세관련 위험과 보증금-월세 전환율 결정구조", 「부동산학연구」, 19(2): 21~35. https://doi.org/10.1097/01.COT.0000437977.33811.ec
  7. 민병철.최영상.백인걸(2018), "지역별 임차부담 측정을 위한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6(3): 155~177.
  8. 박진우.백성준.이기재(2008), "월세가격동향조사 구축을 위한 연구", 「조사연구」, 9(3): 1~21.
  9. 성은영.남기덕.최창규(2022), "전.월세선택 차별화 가설에 기반한 소득이 점유형태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도시연구」, 12(1): 63~78.
  10. 성은영.최창규(2012), "임차인의 자산과 소득이 전.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47(1): 69~83.
  11. 송영선.원창호.이창무(2022), "신규계약 자료를 활용한 비아파트 전.월세 실거래가지수 작성 방안", 「주택연구」, 30(3): 63~111.
  12. 연규필(2014), "월세가격동향조사 통계의 가격지수 변동률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5(6): 1361~1369. https://doi.org/10.7465/jkdi.2014.25.6.1361
  13. 원혜진.이창무.곽하영(2020), "전월세시장 임대료 지수 세분화 연구", 「주택연구」, 28(3): 37~60.
  14. 이상일.이창무(2006), "전세와 보증부월세간 선택요인과주거수요 편차", 「주택연구」, 14(1): 139~164.
  15. 이창무.김동근.안건혁(2003a) "아파트 월세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6): 47~60.
  16. 이창무.이상영.안건혁(2003b), "아파트 보증부월세 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38(1): 109~124.
  17. 이창무.정의철.이현석(2002), "보증부월세시장의 구조적 해석", 「국토계획」, 37(6): 87~97. https://doi.org/10.1145/509799.503040
  18. 이창무.최소의.제민혜(2010), "임차인 입장에서의 전월세전환율 분석", 「주택연구」, 18(2): 163~182.
  19. 이현정.남상준(2023), "전세 거주 청년 부부가구의 지역 간 거주환경과 주거비 차이", 「LHI Journal」, 14(3): 17~36.
  20. 이현정.임태균(2022),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LHI Journal」, 13(2): 31~47.
  21. 정의철.심종원(2010), "시계열분석기법을 활용한 아파트 전세와 보증부월세 계약 비율 변화요인 분석", 「주택연구」, 18(4): 5~30.
  22. 조주현.임정호(2004),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및 월세 가격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10(2): 17~30
  23. 최성호.류강민.이상영(2011), "반복매매모형을 이용한 아파트 월세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17(1): 43~54.
  24. 한제선.이창무.노희순(2021), "주택 월세.전세.매매가격의 장단기 구조 해석 : 시도별 수요공급 변수를 고려하여", 「주택연구」, 29(4): 5~34.
  25. Choo, H. Y. (2021), "Speculative Homemaking: Women's Labour, Class Mobility and the Affect of Homeownership in South Korea", Urban Studies, 58(1): 148~163. https://doi.org/10.1177/0042098019878393
  26. Kim, J. (2018), "Dissonance between Formal and Informal Housing Capital: The Case of Korea",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50(6): 1171~1188. https://doi.org/10.1177/0308518X18779592
  27. Myers, D. and J. H. Park (2019), "A Constant Quartile Mismatch Indicator of Changing Rental Affordability in U.S. Metropolitan Areas, 2000 to 2016", Cityscape, 21(1): 163~200.
  28. Naver Real Estate, Accessed August 10, 2023, https://land.naver.com. (in Korean)
  29. Real Estate 114, Accessed July 20, 2023, https://m.r114.com. (in Korean)
  30. Asil, Accessed August 10, 2023, https://asil.kr. (in Korean)
  31. Zigbang, Accessed August 10, 2023, https://www.zigbang.com. (in Korean)
  32.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Accessed July 20, 2023a, https://kosis.kr. (in Korean)
  33. Statistics Korea,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MDIS)", Accessed July 20, 2023b, https://mdis.kostat.go.kr/index.do. (in Korean)
  34. Statistics Korea, "K-indicator", Accessed July 21, 2023c, https://www.index.go.kr/. (in Korean)
  35. Korea Real Estate Board (REB), Real Estate Statistics Information R-one, Accessed July 20, 2023, https://www.reb.or.kr/r-one. (in Korean)
  36. 호갱노노, 2023.8. 10. 읽음. https://hogangnono.com.
  37. KB Real Estate, "Data Hub", Accessed July 19, 2023, https://data.kbland.kr.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