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통어로방식-어살의 전승과 더 좋은 죽방렴 멸치의 생산: 남해안 죽방렴의 구조 변화와 어업방식을 중심으로

Passing Down Traditional Fishing Methods Using Fish Weirs and the Production of Better Bamboo Weir Anchovies: Focusing on Structural Changes to Bamboo Weirs and Fishing Methods on the Southern Coast

  • 투고 : 2022.06.15
  • 심사 : 2022.08.18
  • 발행 : 2022.09.30

초록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어살은 전통어로방식의 하나로 우리나라 연안어업을 대표하는 어구였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연근해 어선어업이 발달하면서 어살을 포함한 전통어로방식은 상대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어살은 돌살과 죽방렴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데, 경상남도 남해군과 사천시에서는 죽방렴을 이용하여 멸치를 어획하고 있다. 죽방렴의 기본 형태는 물고기가 모이는 공간인 '발통'과, 조류에 의해 물고기가 발통 안으로 들어가게 도움을 주는 V자 혹은 U자 형태의 '할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어업방식은 밀물 때 연안으로 들어왔다가 썰물 때 조류를 따라 발통 안에 갇힌 물고기를 그물이나 뜰채로 어획한다. 이 논문에서는 남해와 사천 지역의 죽방렴 구조와 어업방식의 비교분석을 통해 전통어로방식의 전승 과정을 알아보았다. 먼저 현재의 죽방렴 구조가 완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분석했다. 과거 방렴과 어살의 공존 속에서 두 어구의 특성을 조합한 죽방렴이라는 어구가 지족해협과 삼천포해협을 중심으로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물고기가 모이는 공간(발통)이 원형이거나 방형으로 만들어진 두 가지 형태의 죽방렴의 구조와 어업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연환경에 순응하고, 획득 가능한 자원(재료)을 적극 활용하면서 죽방렴 어업이라는 전통 어로기술을 변화시켜 적합한 기술로 발전시킨 어민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죽방렴 멸치에 부여된 새로운 가치를 분석하였다. 더 좋은 멸치라는 죽방렴 멸치의 새로운 가치는 다른 멸치어업에 비해 소량 생산되는 죽방렴 멸치어업의 명맥을 유지시켜 주는 하나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처럼 죽방렴 어업은 전통어로방식을 전승하고 있다는 역사성과 함께 다른 어로를 통해서 생산한 멸치보다 더 좋은 멸치라는 차별성까지 획득하면서 계승되고 있다.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fish weir is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and was a leading fishing tool in Korean coastal fishery. As the littoral sea area fishing vessel fishery developed since the 1970s, traditional fishing methods including fish weirs began to decline. The fish weir has been passed down in the form of tools such as fish weirs, stone weirs, and bamboo weirs. In Namhae-gun and Sacheon City in Gyeongsangnam-do, anchovies are caught using bamboo weirs. A basic bamboo weir consists of a fish trap(balgong), a space where fish gather together, and a V- or U-shaped wooden fence(halgaji) that helps fish come inside the fish trap. Its fishing method is to catch fish that have come to the coast during high tide alongside those are stuck inside fish traps(balgong) with nets or scoop nets.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passing down traditional fishing method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amboo weir structures and fishing methods in the Namhae and Sacheon regions. First, the historical process of assembling the current bamboo weir structure was analyzed. The bamboo weir, a fishing tool, appears to have combined the features of past weirs and fish weirs based on the Jijok Strait and Samcheonpo Strait. Next,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and fishing method of the two types of bamboo weirs made with a circular or square fish trap(balgong) where fish gather.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lives of fishermen who have adapted to their natural environment and actively utilized obtainable resources(materials), and then changed the traditional fishing method of bamboo weirs and developed them into an appropriate technology. Lastly, a new value attributed to anchovies caught using bamboo weirs was analyzed. This new value extracted from better bamboo weir anchovies works as a mechanism to uphold the tradition of anchovy-catching bamboo-weir fishing, which produces a smaller amount of anchovies compared to other methods of anchovy fishing. In this way, bamboo weir fishing has been passed down as a result of its differentiated aspect of producing better anchovies than those produced with other fishing methods, as well as the historical aspect of it being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려사」 4권, 현종 7년 5월 기사.
  2. 「고려사」 8권, 문종 12년 7월 기사.
  3. 「고려사절요」 16권, 고종 37년 1월 기사.
  4. 「세종실록」 지리지.
  5. 「영조실록」 77권, 영조 28년 8월 23일 기사.
  6. 정약용, 「경세유표」 제14권.
  7. 「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 10월 8일 기사.
  8. 국립민속박물관 2002. 「경남 어촌민속지」.
  9. 김려(김명년 역), 2010, 「牛海異魚譜」, 한국수산경제.
  10. 농상공부 수산국(이근우.신명호.심민정 역), 2010, 「한국수산지 I-1」, 새미.
  11. 농상공부 수산국(이근우.신보배.전지혜 역), 2010, 「한국수산지 I-2」, 새미.
  12. 박경용, 2013, 「남해안 竹防簾 어업과 물질.물건의 전통지식」, 「南道文化硏究」 25,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pp.253~286.
  13. 박종오, 2011, 「죽방렴(竹方廉) 관련 의례에 나타난 어로관념」, 「남도민속연구」 22, 남도민속학회, pp.111~133.
  14. 서유구(박종우, 정명현, 민철기 역), 2021, 「임원경제지 전어지 2」, 풍석문화재단.
  15. 요시다 케이이치(박호원.김수희 역), 2019. 「조선수산개발사」, 민속원.
  16. 이경주.권호종.정대율, 2019, 「남해안의 전통적인 수산 어로방식인 죽방렴의 문헌적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2),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pp.469~480.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2.047
  17. 조용순, 2005, 「경남 남해군 지족해협의 죽방렴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平安北道産業課 漁業組合聯合會, 「漁具圖集」.
  19. 홍기옥, 2017, 「원시 어법 '죽방렴' 관련 어휘 연구-죽방렴 관련 명칭과 제작, 보수하기 관련 어휘-」, 「人文硏究」 81,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60~96.
  20. 한국일보 2022년 4.18 기사: "육질 으뜸 '죽방멸치' 550년 지킨 전통의 힘으로 세계농업유산 노크"
  2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전통어로방식-어살: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7,01380100,ZZ&pageNo=1_1_1_0(접속일: 2022.06.07.)
  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어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0898&cid=46631&categoryId=46631(접속일: 2022.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