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mantling and Restoration of the Celadon Stool Treasure with an Openwork Ring Design

보물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의 해체 및 복원

  • KWON, Ohyo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Sunmyung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ngjon (High Heritage Care) ;
  • PARK, Younghwa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권오영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이선명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 이장존 (하이문화재케어) ;
  • 박영환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22.03.30
  • Accepted : 2022.05.1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celadon stools with an openwork ring design which consist of four items as one collection were excavated from Gaeseong, Gyeonggi-do Province. The celadon stools were designated and managed as treasures due to their high arthistorical value in the form of demonstrating the excellence of celad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 fanciful lifestyles during the Goryeo Dynasty. However, one of the items, which appeared to have been repaired and restored in the past, suffered a decline in aesthetic value due to the aging of the treatment materials and the lack of skill on the part of the conservator, raising the need for re-treatment as a result of structural instability. An examination of the conservation condition prior to conservation treatment found structural vulnerabilities because physical damage had been artificially inflicted throughout the area that was rendered defectiv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onded surfaces for the cracked areas and detached fragments did not fit, and these areas and fragments had deteriorated because the adhesive trickled down onto the celadon surface or secondary contaminants, such as dust, were on the adhesive surface. The study identified the position, scope, and conditions of the bonded areas at the cracks UV rays and microscop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repair and restoration. By conducting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and portable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on the materials used for the former conservation treatment, the study confirmed the use of cellulose resins and epoxy resins as adhesives. Furthermore, the analysis revealed the addition of gypsum(CaSO4·2H2O) and bone meal(Ca10 (PO4)6(OH)2) to the adhesive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of some of the bonded areas that sustained for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artifact would focus on completely dismantling the existing bonded areas and then consolidating vulnerable areas through bonding and restoration. After removing and dismantling the prior adhesive used, the celadon stool was separated into 6 large fragments including the top and bottom, the curved legs, and some of the ring design. After dismantling, the remaining adhesive and contaminants were chemically and physically removed, and a steam cleaner was used to clean the fractured surfaces to increase the bonding efficacy of the re-bonding. The bonding of the artifact involved applying the adhesiv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bonding area and size. The cyanoacrylate resin Loctite 401 was used on the bonding area that held the positions of the fragments, while the acrylic resin Paraloid B-72 20%(in xylene) was treated on cross sections for reversibility in the areas that provided structural stability before bonding the fragments using the epoxy resin Epo-tek 301-2. For areas that would sustain force, as in the top and bottom, kaolin was added to Epo-tek 301-2 in order to reinforce the bonding strength. For the missing parts of the ring design where a continuous pattern could be assumed, a frame was made using SN-sheets, and the ring design was then modeled and restored by connecting the damaged cross section with Wood epos. Other restoration areas that occurred during bonding were treated by being filled with Wood epos for aesthetic and structural stabilization. Restored and filled areas were color-matched to avoid the feeling of disharmony from differences of texture in case of exhibitions in the future. The investigation and treatment process involving a variety of scientific technology was systematically documented so as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는 4점 일괄유물로 경기도 개성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진다. 청자 의자는 고려시대 당시 청자 제작기술의 우수성과 화려한 생활상을 보여주는 등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높아 보물로 지정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일괄유물 중 1점의 경우 과거 수리 복원된 것으로, 처리 재료의 열화, 처리자의 미숙함 등으로 인해 미적가치가 하락되었고, 구조적으로 불안하여 재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처리 전 보존상태를 조사한 결과, 물리적 손상은 전반적으로 제조상 결함부위를 중심으로 인위적 손상이 가중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를 보였다. 균열부위 및 탈락된 편은 접합면이 맞지 않고 접착제가 청자 표면에 흐른 자국과 접착제 표면에 분진 등 2차적 오염물이 생겨 변질된 상태였다. 수리복원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자외선과 확대현미경을 이용하여 균열부의 접합 부위의 위치와 범위, 상태를 파악하였다. 적외선분광 분석(FT-IR)과 휴대용 X-선 형광분석을 실시하여 보존처리에 사용한 재료를 분석한 결과, 접착제로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에폭시계 수지가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힘을 받는 접합부위에서는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접착제에 석고(CaSO4·2H2O) 또는 골분(Ca10 (PO4)6(OH)2)을 첨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물의 보존처리는 기존 접합된 상태에서 전면 해체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중심으로 접합·복원을 통해 보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기존에 사용된 접착제를 제거하고 해체한 결과, 청자 의자는 크게 상부와 하부, 굽다리, 일부 고리 문 등 총 6개 편으로 분리되었다. 해체 후 접합면에 남아 있는 잔류 접착제 및 오염물은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스팀세척기로 파단면 세척을 통해 재접합의 효율을 높였다. 유물의 접합은 접합부위와 크기에 따라 접착제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편의 위치만 고정하는 접합부에는 시아노아크릴계 수지 Loctite® 401을 사용하고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부분에는 가역성을 위해 아크릴계 수지인 Paraloid® B-72 20%(in xylene)로 단면처리한 후 에폭시계 수지 Epo-tek® 301-2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상·하부 접합 같이 힘을 받는 부위는 Epo-tek® 301-2에 Kaolin을 첨가하여 접합강도를 보강하였다. 연속되는 문양으로 추정 가능한 고리문의 결실 부분은 SN-Sheet로 뼈대를 만들고 Wood epos®로 파손단면을 연결하여 모델링하면서 고리문을 복원하였다. 그 외 접합하면서 생긴 복원 부위는 심미적 및 구조적 안정화를 위해 Wood epos®로 메움처리하였다. 복원부위 및 메움처리한 부분은 추후 전시활용에 있어 이질감이 없도록 색맞춤하였다. 다양한 과학기술을 활용한 조사와 처리과정은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보존 관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숙, 2012, 「한국도자사」, 예경, pp.193~318.
  2.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4, 「도자기 보존.관리 안내서」, p.38.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접착제의 역사」, 「문화재 보존처리 접착제」, pp.14~25.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접착제의 기본물성」, 「문화재 보존처리 접착제」, pp.149~155.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접착제의 노화」, 「문화재 보존처리 접착제」, pp.158~202.
  6.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8, 「토기 도자기문화재 보존처리」, 「보존처리 지침서」, pp.33~65.
  7.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2014, 「보물 토기 도자기」, 「문화재대관」, pp.162~165.
  8. 권오영.박영환.이장존.박창열.이선명, 2019, 「보물 제597호 토기 융기문발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 「고문화」 93, pp.169~174.
  9. 김윤정.박경자.박병선.서현주.엄승희.이성주.이종민.전승창.최종택, 2015, 「한국도자사전」, 경인문화사, pp.57~66, 498~499.
  10. 서정은, 2007, 「금속문화재에 적용되는 접착제의 접착강도 및 내구성에 관한 연구 - Paraloidⓡ B-72 접착제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6~20.
  11. 유홍준, 윤용이, 2001, 「알기 쉬운 한국 도자사」, 학고재, pp.29~32.
  12. 이다혜, 2012, 「高麗~朝鮮時代 磁器 墩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pp.4~19.
  13. 이다혜, 정세리, 2019, 「한성백제박물관 소장 도자기 재 보존처리 사례」, 「문화재 보존연구」, 16. pp.128~146.
  14. 이선명, 권오영, 박종서, 한우림, 2019,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35(5)」. pp.453~469. https://doi.org/10.12654/JCS.2019.35.5.07
  15. 함철희, 권오영, 2021, 「제3회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보존.복원 국제 심포지엄」, 「벨기에 왕립예술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고려 미.색」, 국외소재문화재재단, pp.57~73.
  16. Laramie, H.F., 2002, 「A review of ultra-violet light and examination techniques」, 「AIC Objects Specialty Group Postprints, Vol 9」, pp.161~168.
  17. Koob, S.P., 2014,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Ceramics & Glass Conservation」, 「Present and Problems of Techniques in Ceramics & Glass Conservation」,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pp.75~83.
  18. Koob, S.P., 1996, 「Using Acryloid B-72 for the Repair of Archaeological Ceramics」, Conservation Notes 21, May 1996, Materials Conservation Laboratory, Texas Memorial Museum.
  19. Lesley, A., Paul, M.,, 1996, 「REPAIRING POTTERY & PORCELAIN」, The Lyons Press Guilford, pp.2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