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Welfare Assistive Devices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의 복지용구 품목 비교 연구

  • Received : 2022.10.07
  • Accepted : 2022.11.01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Korea's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which started in 2008, is a borrowed one from gaeho insurance, which started eight years earlier. Both countries have a policy of welfare equipment benefit systems to support the lives of the elderly who are intellectually and mentally weakened.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welfare equipment items in Korea with those in Japan an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Korea and Japan. In Korea, loitering-detection device, posture changing devices, and incontinence underwears were registered as welfare devices before Japan, and in Japan, automatic urine disposal systems, wheelchair electric assist device, position converters, and lifts for handicapped person were designated as welfare devices before Korea. In addition, the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has announced the designation of the excretion prediction support device as a welfare device. If Korea and Japan cooperate to develop welfare equipment items together, it will be of great help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both countries in a super-aged society.

2008년에 시작된 한국의 노인 장기요양보험은 그보다 8년 먼저 시작된 일본의 개호보험을 원용한 것이다. 양국은 노인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지적 정신적으로 약화된 노인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용구 급여제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복지용품 품목과 일본의 복지용품 품목을 비교·검토하여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한국은 배회감지기, 자세변환용구, 요실금팬티 등이 일본보다 앞서서 복지용구로 등록되었으며 일본은 자동소변처리기, 휠체어 전동보조장치, 체위변환기, 이동용 리프트 등이 한국보다 먼저 복지용구로 지정되었다. 또한 일본 후생노동성은 배설예측지원기기의 복지용구 지정을 예고한 상태이다. 한국과 일본이 복지용구 품목들을 발전 시키기 위하여 협력한다면 초고령사회에 양국의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을지대학교 대학혁신 지원사업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대한민국 통계청), "2022 고령자통계". https://kosis.kr/search/search.do?query=%EB%85%B8%EC%9D%B8%EC%9D%B8%EA%B5%AC, Assessed on Oct. 5, 2022.
  2. 조현경,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본 의료 로봇침대 색채에 관한 연구-(주)나인벨의 의료용 로봇침대의 유니버셜 디자인 색채 사례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 5, No. 4, pp 203-208, 2019. http://dx.doi.org/10.18175/JCCT.2019.5.4.203
  3. 신주현, 이지연, 이예나. "노인요양시설 간호인력이 입소노인 케어의 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고찰: Castle 과 Engberg 의 개념적 기틀 활용,"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7, No. 2, pp 247-259, 2021. https://doi.org/10.17703/JCCT.2021.7.2.247
  4. 우지희.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및 서비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인정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 19, No. 9, pp. 348-356,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348
  5. 박상희, 한은정, 이정석.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급여제공에 관한 한· 일 비교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66, pp. 143-163, 2018.
  6. M. K. Moon, et al. "복지용구 품질관리 실태 및발전방안,"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 204. 2017.
  7. 보건복지부. "복지용구 급여범위 및 급여기준 등에 관한 고시," 2021. 1. 27.
  8.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https://www.khidi.or.kr/esenior, assessed on Oct. 15, 2022.
  9. Techno-aid association, www.techno-aids.or.jp, assessed on Oct. 15, 2022.
  10. 보건복지가족부.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 복지용구 인정지침," 2022.03.14.
  11. Japan Ministry of Health, Laber, and Welfare. 介護保険最新情報, Vol.1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