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and Material Similarity for Potteries from Ancient Tombs in Songpa Area, Seoul

서울 송파 지역 고분 출토 토기의 재료학적 동질성 및 소성온도 해석

  • Lee, Gyu Hye (Curatorial Department of Gyeongju National Museum) ;
  • Yun, Jung Hyun (Seoul Baekje Museum) ;
  • Lee, Ch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규혜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과) ;
  • 윤정현 (한성백제박물관) ;
  • 이찬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2.09.27
  • Accepted : 2022.10.21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Bangi-dong Ancient Tomb No. 3 and the articulated stone-mound tomb of the Seokchon-dong ancient tombs in the Songpa region, and analyze the homogeneity and the firing temperature of the materials used at each excavated site. The remains have been studied relatively recently, and the groups of tombs in which they were found demonstrate the transition of ancient Korean burial system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important archaeological data about those in power at the time. The earthenware pottery excavated from the two sites examined in the study were buried at different times, and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made by procuring weathered soil of similar gneiss, judging from the behavior of the compatible and incompatible elements and the weathering tendency found by examining the main components. In addition, the examination of the mineral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clay indicates that the earthenware from Seokchon-dong was fired at 950 degrees Celsius or lower at a relatively early stage. On the other hand, the earthenware from Bangi-dong Tomb No. 3 was confirmed to have experienced temperatures below 850 degrees Celsius and above 1,000 degrees Celsiu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difference as the result of the changes in firing temperature throughout the era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nterpret the changes in earthenware manufacturing techniques by comparing more diverse earthenware potteries and ancient soils.

이 연구에서는 송파 지역의 석촌동고분군 연접적석총과 방이동고분군 3호분에서 출토된 토기를 대상으로 재질특성을 파악하고 출토지에 따른 재료의 동질성과 소성온도를 해석하였다. 유적들은 비교적 근래에 연구가 이루어진 곳으로, 이를 포함하고 있는 고분군은 고대 한반도 묘제의 변천과정을 보여주며 동시에 당시 중앙세력에 대한 중요한 고고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두 유적에서 출토된 연구대상 토기는 각기 다른 시기에 매장되었으나, 호정 및 불호정성을 띠는 원소들의 거동양상과 주구성성분을 통해 살펴본 풍화경향으로 보아 유사한 편마암류의 풍화토를 수급하여 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광물조성과 태토의 미세조직을 살펴본 결과,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인 석촌동 토기들은 950℃ 이하에서 소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방이동 3호분 토기는 850℃ 이하와 1,000℃ 이상의 온도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어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시기에 따른 소성온도의 고온화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향후 보다 다양한 토기 및 고토양과의 비교를 통해 토기의 제작기술 변화를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18년과 2019년도 한성백제박물관 학술발굴조사에 참여하여 수행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며, 연구를 위해 조언과 시료를 제공해 주신 한성백제박물관 정치영 학예연구사께 깊이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