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구형수, 이다예, & 박정은. (2019). 지역밀착형 생활SOC의 전략적 공급.활용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 국무조정실. (2021). 생활SOC 공급 및 관리를 위한 공간 분석 도구 개발 및 정책 지원 방안 연구. 세종: 국무조정실.
- 김용국. (2019). 포용적 생활SOC 정책추진을 위한 공원 결핍지수 개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7(5), 28-40. doi:10.9715/KILA.2019.47.5.028
- 김재익, & 정현욱. (2001). 도시공공시설 적지선정을 위한 GI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4), 8-20.
- 김재형, 고영선, & 유석현. (2002). 사후적 사업평가제도 도입방안 및 평가방법론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 김주진, 이진의, & 신우진. (2021). 생활SOC지원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정책 수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수혜지역 주민과 이용객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 53(2), 43-66. doi:10.35526/srd.2021.53.2.003
- 김태량, 강희주, & 조중현. (2022) 농촌중심지 생활SOC 시설 이용의 영향요인 연구: 강진군 성전면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거점지구를 대상으로. 농촌계획, 28(2), 51-59. doi:10.7851/ksrp.2022.28.2.051
- 김현중, 임상연, & 여관현. (2022). 빈집을 활용한 생활 SOC 확충방안: GIS 기반 입지의사결정 지원체계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4(2), 1-15.
- 김흥순, & 남재형. (2013). 서울시 보육시설의 공급적정성에 관한 연구: 이용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0(3), 203-213.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3.203
- 마세인, & 김흥순. (2011).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0, 61-75. doi:10.15793/kspr.2011.70..004
- 배승종, & 김대식. (2020). 농촌공간 생활인프라와 서비스 공급전략 탐색. 전원과 자원, 62(3), 2-9.
- 성은영, 고영호, 강현미, & 송경민. (2018). 도시재생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자립적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및 관리 지원방안 연구. 세종: 국토교통부.
- 성은영, 임유경, & 임현성. (2013). 노후 주거지의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현황 및 수준 분석. 세종: 건축공간연구원.
- 손정렬, &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 신민지, 박미정, 전정배, 박로운, & 김상범. (2019). 공익형 농촌 생활서비스 접근성 분석. 농촌계획, 25(3), 19-27. doi:10.7851/Ksrp.2019.25.3.019
- 양승환, 이병준, & 윤성수, (2020). 기초생활인프라 최저 기준에 따른 보은군의 생활인프라 시설 충족도 분석 및 유형화. 한국농공학회논문집, 62(3), 15-27. doi:10.5389/KSAE.2020.62.3.015
- 윤준상, 최성현, 김이기 & 김성록. (2012). AHP를 이용한 농촌관광단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부여군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9(1), 129-145.
- 이정미, 이정미, 권근상, 이주형, & 전갑성. (2005). 도시.농촌지역 주민의 건강행태에 관한 연구. 농촌의학.지역보건, 30(2), 213-225.
- 이준모, 조순철 & 황정임. (2013).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 측정. 농촌지도와 개발, 20(2), 431-450. doi:10.12653/jecd.2013.20.2.0431
- 이세영, 김현중, & 여관현. (2022). 생활SOC의 지역 간 격차와 최적입지 분석: 생활거점시설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40(3), 159-168. https://doi.org/10.7848/KSGPC.2022.40.3.159
- 이원호. (2010). 교통서비스와 사회적 배제: 서울시의 사례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1), 103-112.
- 이하연, 김성표, & 강상혁. (2020). 생활인프라 공급계획 을 위한 접근성 평가 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21(1), 21-31. doi:10.6106/KJCEM.2020.21.1.021
- 이혜령, 정효진, & 이희정. (2020). 생활SOC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경기도 5대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1), 69-88.
- 장문현.이정록. (2022). 공간빅데이터 기반의 농촌지역 기초생활인프라 취약성 진단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6(1), 35-50.
- 정윤남, 이건원, & 이원호. (2020). 생활SOC 공급의 형평성 제고를 위한 지표설정 및 유형화 방안 연구-서울시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4(4), 449-459.
- 조희은, & 남지현. (2019) 생활SOC의 범위 및 시설의 유형별.지역별 특성 연구: 경기도 생활SOC 현황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5), 33-52. doi:10.38195/judik.2019.10.20.5.33
- 주승민, & 최진호. (2013). GIS을 활용한 청주시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분석. 지역정책연구, 23(1), 99-110.
- 한승석, 조영재, & 정환영. (2021). 농촌생활서비스 충족도 분석 연구: 충청남도 홍성군을 사례지역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4(2), 175-187. doi:10.21189/JKUGS.24.2.12
- 행정안전부. (2021). 인구감소지역 지정 고시. 행정안전부 고시 제2021-66호.
- 홍명교. (2019). 생활SOC의 시작: 학교복합화시설 우수 사례 화성시 이음터 -문재인 정부의 생활SOC사업 사례 연구.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5-170.
- 홍상원, 배승종, 김동현, 김수진, 김정태, & 장태일. (2021). 농촌 과소화 대응을 위한 마을 단위 농촌생활서비스 평가모델의 개발 및 분석. 농촌계획, 27(1), 57-70.
- Bajpai, V. (2014). The challenges confronting public hospitals in India, their origins, and possible solutions. Advances in Public Health, 27, 1-27. https://doi.org/10.1155/2014/898502
- Christiaanse, S. (2020). Rural facility decline: A longitudinal accessibility analysis questioning the focus of Dutch depopulation-policy. Applied Geography, 121, 102251. doi:10.1016/j.apgeog.2020.102251
- Church, R. & Revelle, C. (1974). The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Papers in Regional Science, 32(1), 101-118. https://doi.org/10.1007/BF01942293
- City of Melbourne. (2014). Community infrastructure development framework. Melbourne, Australia: City of Melbourne.
- Hansen, W. G. (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5(2), 73-76. https://doi.org/10.1080/01944365908978307
- Kik, D., Wichmann, M.G., & Spengler, T. S. (2022), Decision support framework for the regional facility location and development planning problem.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92, 115-157.
- Haartsen, T., & Venhorst, V. (2010). Planning for decline: Anticipating on population decline in The Netherlands.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101(2), 218-227. doi:10.1111/j.1467-9663.2010.00597
- Solomon, E., Rees, T., Ukoumunne, O. C., Metcalf, B., & Hillsdon, M. (2013). Pers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dults living in rural south-west England: A cross-sectional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0, 129. http://dx.doi.org/10.1186/1479-5868-10-129
- Wang, F., & Luo, W. (2005). Assessing spatial and nonspatial factors in healthcare access: Towards an integrated approach to defining health professional shortage areas. Health & Place, 11(2), 131-146.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4.02.003
- Weber, A. (1909). Uber den Standort der Industrien 1. Tubingen, Teil: Reine Theorie des Standorts. Verlag J. C. B. Mo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