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 생활SOC 사업의 입지 적합성 평가 - 국민체육센터를 중심으로 -

Loc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f the Living SOC Project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Sports Center -

  • 투고 : 2022.09.11
  • 심사 : 2022.09.22
  • 발행 : 2022.09.30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location suitability of the Living SOC Project in rural areas. For the assessment of location suitability, we applied location efficiency and location equity, respectively. One hundred sixteen national sports centers in 57 rural areas are selected as the target of analysis. The location efficiency and location equity in each sports center revealed a large gap between facilities. The location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s examined in 57 rural areas were similar to those analyzed at individual faciliti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suitability results and rural characteristics was weak. Also, location efficiency and location equity have a fragile relationship.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the location of the sports center, whose supply has been confirmed in rural areas through the Living SOC project, does not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actively.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location efficiency and location equity of sports centers have been proactively estimated. Therefore, breaking away from the performance-oriented policy and switching to a lifestyle SOC supply policy based on the pre- and ex-post location evaluation system is necessary.

키워드

참고문헌

  1. 구형수, 이다예, & 박정은. (2019). 지역밀착형 생활SOC의 전략적 공급.활용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2. 국무조정실. (2021). 생활SOC 공급 및 관리를 위한 공간 분석 도구 개발 및 정책 지원 방안 연구. 세종: 국무조정실.
  3. 김용국. (2019). 포용적 생활SOC 정책추진을 위한 공원 결핍지수 개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7(5), 28-40. doi:10.9715/KILA.2019.47.5.028
  4. 김재익, & 정현욱. (2001). 도시공공시설 적지선정을 위한 GI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4), 8-20.
  5. 김재형, 고영선, & 유석현. (2002). 사후적 사업평가제도 도입방안 및 평가방법론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6. 김주진, 이진의, & 신우진. (2021). 생활SOC지원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정책 수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수혜지역 주민과 이용객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 53(2), 43-66. doi:10.35526/srd.2021.53.2.003
  7. 김태량, 강희주, & 조중현. (2022) 농촌중심지 생활SOC 시설 이용의 영향요인 연구: 강진군 성전면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거점지구를 대상으로. 농촌계획, 28(2), 51-59. doi:10.7851/ksrp.2022.28.2.051
  8. 김현중, 임상연, & 여관현. (2022). 빈집을 활용한 생활 SOC 확충방안: GIS 기반 입지의사결정 지원체계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4(2), 1-15.
  9. 김흥순, & 남재형. (2013). 서울시 보육시설의 공급적정성에 관한 연구: 이용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0(3), 203-213. https://doi.org/10.5659/JAIK_PD.2014.30.3.203
  10. 마세인, & 김흥순. (2011).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0, 61-75. doi:10.15793/kspr.2011.70..004
  11. 배승종, & 김대식. (2020). 농촌공간 생활인프라와 서비스 공급전략 탐색. 전원과 자원, 62(3), 2-9.
  12. 성은영, 고영호, 강현미, & 송경민. (2018). 도시재생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자립적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및 관리 지원방안 연구. 세종: 국토교통부.
  13. 성은영, 임유경, & 임현성. (2013). 노후 주거지의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현황 및 수준 분석. 세종: 건축공간연구원.
  14. 손정렬, &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15. 신민지, 박미정, 전정배, 박로운, & 김상범. (2019). 공익형 농촌 생활서비스 접근성 분석. 농촌계획, 25(3), 19-27. doi:10.7851/Ksrp.2019.25.3.019
  16. 양승환, 이병준, & 윤성수, (2020). 기초생활인프라 최저 기준에 따른 보은군의 생활인프라 시설 충족도 분석 및 유형화. 한국농공학회논문집, 62(3), 15-27. doi:10.5389/KSAE.2020.62.3.015
  17. 윤준상, 최성현, 김이기 & 김성록. (2012). AHP를 이용한 농촌관광단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부여군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9(1), 129-145.
  18. 이정미, 이정미, 권근상, 이주형, & 전갑성. (2005). 도시.농촌지역 주민의 건강행태에 관한 연구. 농촌의학.지역보건, 30(2), 213-225.
  19. 이준모, 조순철 & 황정임. (2013).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 측정. 농촌지도와 개발, 20(2), 431-450. doi:10.12653/jecd.2013.20.2.0431
  20. 이세영, 김현중, & 여관현. (2022). 생활SOC의 지역 간 격차와 최적입지 분석: 생활거점시설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40(3), 159-168. https://doi.org/10.7848/KSGPC.2022.40.3.159
  21. 이원호. (2010). 교통서비스와 사회적 배제: 서울시의 사례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1), 103-112.
  22. 이하연, 김성표, & 강상혁. (2020). 생활인프라 공급계획 을 위한 접근성 평가 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21(1), 21-31. doi:10.6106/KJCEM.2020.21.1.021
  23. 이혜령, 정효진, & 이희정. (2020). 생활SOC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경기도 5대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1), 69-88.
  24. 장문현.이정록. (2022). 공간빅데이터 기반의 농촌지역 기초생활인프라 취약성 진단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6(1), 35-50.
  25. 정윤남, 이건원, & 이원호. (2020). 생활SOC 공급의 형평성 제고를 위한 지표설정 및 유형화 방안 연구-서울시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4(4), 449-459.
  26. 조희은, & 남지현. (2019) 생활SOC의 범위 및 시설의 유형별.지역별 특성 연구: 경기도 생활SOC 현황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5), 33-52. doi:10.38195/judik.2019.10.20.5.33
  27. 주승민, & 최진호. (2013). GIS을 활용한 청주시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분석. 지역정책연구, 23(1), 99-110.
  28. 한승석, 조영재, & 정환영. (2021). 농촌생활서비스 충족도 분석 연구: 충청남도 홍성군을 사례지역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4(2), 175-187. doi:10.21189/JKUGS.24.2.12
  29. 행정안전부. (2021). 인구감소지역 지정 고시. 행정안전부 고시 제2021-66호.
  30. 홍명교. (2019). 생활SOC의 시작: 학교복합화시설 우수 사례 화성시 이음터 -문재인 정부의 생활SOC사업 사례 연구.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5-170.
  31. 홍상원, 배승종, 김동현, 김수진, 김정태, & 장태일. (2021). 농촌 과소화 대응을 위한 마을 단위 농촌생활서비스 평가모델의 개발 및 분석. 농촌계획, 27(1), 57-70.
  32. Bajpai, V. (2014). The challenges confronting public hospitals in India, their origins, and possible solutions. Advances in Public Health, 27, 1-27. https://doi.org/10.1155/2014/898502
  33. Christiaanse, S. (2020). Rural facility decline: A longitudinal accessibility analysis questioning the focus of Dutch depopulation-policy. Applied Geography, 121, 102251. doi:10.1016/j.apgeog.2020.102251
  34. Church, R. & Revelle, C. (1974). The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Papers in Regional Science, 32(1), 101-118. https://doi.org/10.1007/BF01942293
  35. City of Melbourne. (2014). Community infrastructure development framework. Melbourne, Australia: City of Melbourne.
  36. Hansen, W. G. (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5(2), 73-76. https://doi.org/10.1080/01944365908978307
  37. Kik, D., Wichmann, M.G., & Spengler, T. S. (2022), Decision support framework for the regional facility location and development planning problem.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92, 115-157.
  38. Haartsen, T., & Venhorst, V. (2010). Planning for decline: Anticipating on population decline in The Netherlands.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101(2), 218-227. doi:10.1111/j.1467-9663.2010.00597
  39. Solomon, E., Rees, T., Ukoumunne, O. C., Metcalf, B., & Hillsdon, M. (2013). Pers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dults living in rural south-west England: A cross-sectional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0, 129. http://dx.doi.org/10.1186/1479-5868-10-129
  40. Wang, F., & Luo, W. (2005). Assessing spatial and nonspatial factors in healthcare access: Towards an integrated approach to defining health professional shortage areas. Health & Place, 11(2), 131-146.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4.02.003
  41. Weber, A. (1909). Uber den Standort der Industrien 1. Tubingen, Teil: Reine Theorie des Standorts. Verlag J. C. B. Mo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