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시간을 활용하여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할 에듀테크 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콘텐츠 선호도 조사를 시행하여 결측값을 제외하고 교사 27명, 학생 216명의 유의미한 응답을 확인하였다. 미래교육 실행에서 별도의 에듀테크 기기 필요 여부에 따라 1순위를 중심으로 UCC(동영상 촬영, 편집 등), 작품활동(3D 펜, 3D프린터 등)이 선정되었다. 둘째,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미래교육 수업 모듈을 4단계로 설정하였다. 먼저 Make a foundation에서는 주제별 이론을 전개하고, Open an activity에서는 핵심적인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체험활동을 전개한다. Organize evaluation에서는 개별적 자기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Act individually에서는 맞춤형 심화 보충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셋째,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이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연구 대상인 5학년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시수를 확보하는 등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연구실행 근거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한 자료는 내용 타당도 검사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및 검증 단계를 수행하지 못한 점은 이 연구의 한계이나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미래교육실천 가능성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The cor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tech utilization program to be applied to 5th grade students by utilizing school curriculum time, an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educational programs using edutech, a content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and significant responses were confirmed from 27 teachers and 216 students, excluding missing values. In the future education implementation, UCC (video shooting, editing, etc.) and work activities (3D pen, 3D printer, etc.) were selected based on the need for separate edtech devices. Second, in order to develop a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the future education class module was set in 4 stag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rst of all, in Make a foundation, theories by subject are developed, and in Open an activity, future education experience activities using key edutech are developed. In Organize evaluation, individual self-evaluation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is, customized in-depth supplementary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Act individually. Third, in order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edutech to be organized in the regular curriculum, sufficient connectivity with the curriculum must be secured. The basis for systematic and stable research was prepar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 5th grade subject of the study and securing hours in connection with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data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content validity test. The fact that the program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steps were not performed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but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will exp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education practice in the school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