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1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여 작성되었음
참고문헌
- 강미정, 조창환 (2020),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 (브이로그/ASMR/먹방) 이용 동기, 수용자 특성,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 73-98.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073
- 권기호 (2018),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자의 후원의도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Flow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aster's Thesis), 서울: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대희 (2019), 디지털 인터랙티브 영상의 서사 특성 연구: 서술하는 '나'와 서술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Doctoral Dissertation), 서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김하혜, 박상현 (2019), "밴더스내치와 포켓몬고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차이점 연구-머레이의 변형, 몰입, 에이전시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69, 127-136.
- 김양례 (2000), "TV 스포츠 수용자의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시청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1), 159-169.
- 김종무 (2017), "인터넷 라이브 방송 시청동기가 시청만족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2), 141-152
- 서성은 (2009), 인터랙티브 드라마의 사용자 참여 구조 연구 (Master's Thesis),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성민제, 정형원, 김태규 (2018, 11),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대전, 대한민국.
- 안석홍, 육건엽, 유우현 (2016), "TV 조선과 JTBC 의 시청 동기 및 모 브랜드 자산 평가가 채널의 지속적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94), 9-36. https://doi.org/10.22876/KJBTR.2016.94.001
- 윤혜영 (2020), "인터랙티브 드라마로서< 블랙 미러: 밴더스내치> 에 나타난 소외 효과",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69-293.
- 이윤, 이혜은 (2020), "ASMR 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만족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19(2), 97-127. https://doi.org/10.22902/JSMCR.2020.19.2.003
- 이준웅, 김은비, 심미선 (2006), "다매체 이용자의 성형적 동기 다매체 환경에서 이용과 충족 이론의 확장", 한국언론학보, 50(1), 252-284.
- 왕각 (2018), 한국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이 중국 유학생의 시청동기 및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Master's Thesis), 서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정윤주, 김종무 (2020), "대학생 유튜브 브이로그 (Vlog)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지속시청의도 관계 분석-시청몰입과 시청만족을 매개변인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71, 147-163.
- 조염 (2019), 중국 인터넷 개인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자의 만족도와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Master's Thesis), 서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 진사제 (2019), 중국의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 동기가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Master's Thesis),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지앙슈에진, 황하성 (2019), "인터넷 개인방송 먹방 시청이 한국 대학생들의 시청행복감과 비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20(4), 103-111. https://doi.org/10.7472/JKSII.2019.20.4.103
- 초요, 김종무 (2017), "중국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1인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관한 연구-시청동기, 시청만족도, 프로그램 시청태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60, 389-400.
- 최민지, 박정민, 노기영 (2016), "1인 게임방송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6(6), 39-48. https://doi.org/10.7583/JKGS.2016.16.6.39
- 홍선주, 김태용 (2010), "인터랙티브 드라마에 대한 만족도와 지불의사에 관한 실험연구: 텔레프레즌스를 매개변인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7(1), 255-292.
- Agarwal, R. and E. Karahanna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665-694.
- Baron, R. M. and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Chen, L. Y. (2020a), "Interactive Drama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udiences", Journal of Longyan University, 38-1.
- Chen, Q. (2020b), "Interactive Drama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Radio & TV Journal, 61-62.
-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rn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 Katz, E., J. G. Blumler and M. Gurevitch (1973).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Public Opinion Quarterly, 37(4), 509-523. https://doi.org/10.1086/268109
- Murray, J. H. (2017), Hamlet on the Holodeck, updated edition: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 Trevino, L. K. and J. Webster (1992), "Flow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lectronic Mail and Voice Mail Evaluation and Impacts", Communication Research, 19(5), 539-573. https://doi.org/10.1177/009365092019005001
- Yuan, L. Y. (2020), Gamification study about Interactive Drama Who's the Murderer: Prime Suspect (Master's Thesis), Sichuan Norm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