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pendency between Port Logistics and Regional Economy - Focused on the BuUlGyeong Megacity -

항만물류와 지역경제 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부울경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 리윈장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이열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최태영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22.05.30
  • Accepted : 2022.06.30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e Busan-Ulsan-Gyeongsangmando(BuUlGyeong) megacity aims to grow into the second metropolitan area by strengthening the growth and connectivity of the southeast region in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linkage between port logistic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economic community of BuUlGyeo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vessel entry and departur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cargo volume. Second, the cargo volume was found to have a preemptive effect on the vessel entry and exit ports and the composite index. Third, the composite Index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argo volume. From the results of the variance decompos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osite index has a weak impact on ship entry/exit and cargo volum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derived. First, regional governments in BuUlGyeong should provide incentives to revitalize the maritime economy such as the expansion of maritime port infrastructure and encouraging investment. Second, since an increase in cargo transport volume at major national ports linked to the BuUlGyeong reg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econom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actively port marketing and regular service for the country and ports. Third, investments should be made continuously to expand the marine port infrastructure such as the expansion of facilities so that global shipping companies can continue to call megacities in BuUlGyeong ports for super-large ships and cruises.

부울경 메가시티는 동남권지역의 성장과 연계성을 강화하여 제2수도권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4가지 공동체 구성을 정책수단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울경 경제공동체에 초점을 맞추어 항만물류와 지역경제발전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VAR 모형, Granger 인과관계분석, 충격반응함수, 분산분해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박입출항은 화물수송량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분해 결과에 의하면 선박입출항은 화물수송량에 대하여 0.84%~9.94%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물수송량은 선박출입항과 경기종합지수에 대하여 선행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분해 결과에 따르면 화물수송량은 선박입출항에 대하여 32.73%~36.48%, 경기종합지수에 대하여 0.07%~3.65%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종합지수는 화물수송량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 결과를 통해 경기종합지수가 선박입출항과 화물수송량에 약한 충격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울경 지역 정부는 해양항만 인프라 확충, 투자장려 등 해양경제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부울경 지역과 연계된 주요 국가 항만의 화물수송량 증가는 부울경 지역 경제에 대하여 정(+)의 영형을 미치기 때문에 부울경 메가시티 항만화물 증가를 위해 이들 국가 및 항만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항만마케팅 및 정기항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셋째, 글로벌 선박사의 초대형 선박 및 크루즈가 부울경 메가시티 항만에 지속 기항할 수 있도록, 시설확충 등 해양항만 인프라 확대를 위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환.조종주(2022),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항만물류산업의 균형발전을 위한 소고, 지역산업연구, 제45권 제1호, 267-289.
  2. 김상춘.최봉호(2008), 울산지역 항만산업의 구조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2호, 559-586.
  3. 김태진(2020), 해양수산업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제35권 제2호, 53-77. https://doi.org/10.35372/KMIOPR.2020.35.2.003
  4. 리윈장.양명인.전수아.어영호.최태영(2022), 해양산업 클러스터와 항만도시재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부산 북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제38권 제1호, 101-110.
  5. 박병주.유동호.이우신.이은진(2012), 경남지역 항만물류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중점정책연구. 제10권 제1호, 1-163.
  6. 박병주(2012), 경남지역 항만물류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46.
  7. 박선율.박호(2021), 지역 해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연구, 지역산업연구, 제44권 제2호, 269-295.
  8. 박홍균(2011), 광양.부산항의 항만물류배후단지 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7권 제1호, 13-30.
  9. 송계의(2015), 해양경제특구의 성공 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1호, 51-68.
  10. 안가경(2019),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시중금리 예측모형 추정에 관한 연구, 융복합지식학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103-108.
  11. 장봉민(2014), 부산시 지역경제와 항만의 경제적 연계성 분석과 그 시사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4호, 199-217.
  12. 최영문.김라윤(2021), 부산.진해 신항 현황 분석을 통한 항만물류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통물류연구, 제8권 제1호, 96-107.
  13. 최원준(2022), 수도권과 부울경의 집적경제 비교 분석: 부울경 메가시티의 정책적 함의 도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14. 최형림.김두환.조민제.이강배(2018), 4차 산업혁명과 해운항만물류산업의 대응 방안, 한국통신학회 논문집, 제43권 제9호, 1540-1549.
  15. Guo, Z. X., Kang, H. C., Zhao, W. and Liu, Q(2020), Research on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port logistic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of Beijing-Tianjin-Hebei region analysis based on Granger causality test and gery correlation degree, Mathematics in Practice and Theory, 50(5), 32-39.
  16. Jokela, Markus., Bleidorn, Wiebke., Lamb, Michael E., Gosling, Samuel D. and Rentfrow, Peter J(2015), Geographically varying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ondon metropolitan are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2(3), 725-730. https://doi.org/10.1073/pnas.1415800112
  17. Mollenkopf, John(1977), Post-Industrial America: Metropolitan Decline and Inter-regional Job Shifts/Leadership and Power in the Bos-Wash Megalopolis: Environment, Ecology, and Urban Organization/Power Shift: The Rise of the Southern Rim and Its Challenge to the Eastern Establish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3(2), 474-479. https://doi.org/10.1086/226563
  18. Walton, John(1976), Leadership and Power in the Bos-Wash Megalopolis: Environment, Ecology and Urban Organization, Contemporary Sociology, 5(5), 679-680. https://doi.org/10.2307/2063402
  19. Zhou, B. G., Yang, B. and Li, G(2021), Interaction between coastal ports and regional economy in Liaoning province, Resources & Industries, 23(6), 23-30.
  20. Bramson, Aaron., Hori, Megumi., Zha, Bingran and Inamoto, Hirohisa(2020), Social and economic flows across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s in the Greater Tokyo Area, Applied Network Science, 5(1), 1-35. https://doi.org/10.1007/s41109-019-02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