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Studies on the effect of abdominal or thoracic breathing therapy on sleep or blood oxygen concentration are still scarc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n blood oxygen saturation and pulse variability, changes in the severity of insomnia, changes in wakefulness before sleep, and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the Korean version of sleep in women in their 50s after healing with abdominal breathing and thoracic breathing. We investigated the effect. Methods: Subjects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the change of breathing (breathing) therapy for 12 weeks, 3 times a week, and 36 breaths perweek. Results: It wa evaluated respiratory healing as having no significance in the pulse rate change. However, oxygen saturation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ing to 93.60 SpO2% before the respiratory rally and 96.5 SpO2% after respiratory recovery (p < .002). In addition, the insomnia severity scale and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respiratory rally than before (p < .000). Conclusions: It evaluated that respiratory therapy for the subjects is beneficial to health as it is effective for insomnia, pulse, and oxygen saturation.
배경: 복식호흡 수련이 수면이나 혈중 산소농도에 미치는 연구는 아직도 미비하다. 목적: 본 연구는 50대 여성들에게 복식호흡 수련후에 혈중 산소 포화도에 미치는 영향과 맥박의 변이, 불면증 심각성 변화, 수면 전 각성의 변화, 한국판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대상자들에게 12주간 숨(호흡) 수련을 주 3회기 36회 호흡법을 통해 사전 및 사후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호흡수련후 맥박 수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소포화도는 실험군에서는 호흡치유 사전에 93.60 SpO2%, 호흡수련 후에는 96.5 SpO2%로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다(p < .002). 불면증 심각성 척도와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은 호흡수련 하기 전보다 후에 감소치가 유의성이 있었다(p < .000). 결론: 대상자들에 대한 호흡수련이 불면증, 맥박과 산소포화도에 효과가 있어서 건강에 도움 되는 것으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