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자기반 모형 분석이론에 따른 과학관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history museum using the Complex System

  • 투고 : 2022.08.22
  • 심사 : 2022.10.06
  • 발행 : 2022.09.30

초록

오늘날 우리 사회는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사회, 문화, 경제, 과학의 수준과 관심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과학교육은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학교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초과학을 바탕으로 한 초등교육에 집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과학관이 단순한 과학체험관, 과학테마파크 등의 체험과 흥미, 재미 위주의 박물관으로 퇴행하고 있는 주요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난 5년간 국내에 준공되어 운영 중인 과학관의 전시공간과 전시 동선의 데이터를 토대로 행위자 기반모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향요인을 파악하였으며, 전시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관람객 동선에 대한 문제점을 공간체계를 통해 분석해 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공간의 체계를 박물관 전시 내러티브 이론에서 말하고 있는 직선적 플롯의 동선체계와 피칼레스크 플롯을 동시에 적용하였을 때 전시환경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효과적인 전시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주요 전시공간의 배치, 전시공간의 폭, 전시목적을 통한 공간 분리 등이 도출되었다.

Currently, as we enter the 21st century, the level and interest of society, culture, economy, and science are rapidly developing, but science education is still strugg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cience education, it is most important to focus on elementary education based on basic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causes of Korea's science museum's regression as a museum focusing on experience, interest, and fun such as simple science experience centers and science theme parks. To this e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the algorithm of the actor-based model based on the data o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exhibition movement of the science museum completed and operated in Korea over the past 5 years, and the problem of the visitor movement in the exhibition space was analyzed through the space system.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hibition environment was the best when the linear plot movement system and the picalesque plot were applied simultaneously in the museum's exhibition narrative theory, and the arrangement of major exhibition spaces, width of exhibition spaces, and separation of spaces for exhibition purposes were derive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승용, "박물관의 전시체계 및 내러티브 구조분석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8
  2. 오성진, 김석태, "행위자기반모형을 적용한 공간구조분석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6권, 제5호, 75-83쪽, 2014년 10월
  3. 장수지, "행위자기반모형을 이용한 역사계박물관의 전시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2
  4. 이경훈, 오성진, "공간조절변수를 적용한 행위자기반 분석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51권, 제29호, 264-271쪽, 2015년 10월
  5. 이성기, 김성아, "행위자 기반 모형을 통한 생성적 건축설계 수법의 적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37-44쪽, 2009년 1월
  6. 김민석, "건축.도시 공간에서 나타나는 복잡계적 창발현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0호, 175-182쪽, 2010년 10월
  7. 이승용, 배성혁, "역사계 박물관의 내러티브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제7호, 195-205쪽, 2019년 10월 https://doi.org/10.35216/KISD.2019.14.7.195
  8. 조선희, "복잡계 이론(Complexsity Theory)을 적용한 무용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의 해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8
  9. 신대용, "공간 행위자기반 모델을 적용한 복잡계 네트워크 모델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2
  10. 김선아, "관람자의 의미형성을 위한 박물관 전시의 해석 전략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2
  11. 이승재, "도시-건축연구의 복잡계 연구방법론 적용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8호, 135-144쪽, 2009년 8월
  12. 김효재, "복잡계이론에 의한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