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ourse and an Agenda for Religious Publicness: Faith, Sacred Objects, and Holy Sites

종교 공공성의 담론과 의제 - 신앙, 성물과 성지 -

  • Received : 2022.10.19
  • Accepted : 2022.12.0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In Korea, the concept of publicness, although conceptually unclear, is being used as a medium between religious groups and other areas of society.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and agenda of publicness related to religions.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relationship and agenda between publicness and faith, and then analyzed the cases of creating sacred objects and holy sites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publicness.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II, Publicness and Faith, theologians and sociologists interested in publicness generally presuppose or aim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change. In this context, the agenda related to religious publicness can include the ground of non-Christian publicness, interreligious equality in the public spheres, the status of religious bodies, and the participation of researchers in the public spheres. In Chapter III, Sacred Objects and Publicness, we divided religious publicness into 'publicness within religion' and 'publicness outside of religion.'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rituals are a key factor in creating publicness within religion. Publicness outside of religion is not intrinsic, but is constructed through various external debates. In Chapter IV, Sacred Holy Sites and Publicness, we reviewed cases of the construction of Catholic holy sites and analyzed oppositional logic provided by other religious groups in relation to the publicness outside of religion. Those cases internally created publicness within religion but lead to evaluation and debate about publicness outside of religion in public spheres in which various religions participate. Those who opposed the creation of Catholic holy sites used the logic that Catholicism was eliminating the heritage and values of other religions, and responded by expanding this to include the logic that the Catholics were weakening publicness or creating religious bias.

한국에서 공공성 개념은 종교와 다른 사회 영역 간 매개물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종교와 연관된 공공성 개념과 의제에 대한 논의를 요청한다. 이 글에서는 공공성과 신앙을 연결시킨 논의들과 살펴보면서 의제들을 추출하고, 시사점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공공성 개념과 관련된 성물 사례들과 천주교 성지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제II장(공공성과 신앙)에 따르면, 종교의 공공성에 관심을 가진 기독교 신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은 대체로 신앙을 통한 사회 참여와 변화를 전제하거나 지향한다. 이 맥락에서는 기독교 이외 종교의 공공성에 대한 근거, 공적 영역에서 종교간 평등, 공론장에서 종교단체의 위상과 종교 연구자들의 참여 등이 종교 공공성 담론의 의제가 될 수 있다. 제III장(성물과 공공성)에서는 종교 공공성을 '종교 안 공공성'과 '종교 밖 공공성'으로 구분하였다. 그 구분에 따르면, 천주교와 불교의 성물 사례들은 의례가 종교 안 공공성을 확보하는 핵심 요인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불교의 진신사리 논쟁 사례는 종교 밖 공공성이 본래적인 것이 아니라 여러 외부적 논쟁 속에서 구성되는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제IV장(성지화와 공공성)에서는 종교 밖 공공성과 연관하여 천주교 성지화 사례들과 그에 대한 다른 종교들의 반대 논리를 분석하였다. 성지화 사례들은 천주교 내부에서 종교 안 공공성을 창출하지만, 여러 종교가 얽힌 공론장에서 종교 밖 공공성에 대한 평가와 논쟁을 유발한다. 실제로 성지화에 반대하는 측은 '천주교가 다른 종교의 유산과 가치 등을 없앤다는 논리'를 공공성의 약화나 종교편향을 유발한다는 논리로 확장해서 대응하고 있다. 이 글은 종교 공공성 개념이 종교에 관한 논의를 다양화하는 매개물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글에서 제시한 종교 공공성과 관련된 의제들, 구성론, 종교 안 공공성과 종교 밖 공공성의 구분 등은 공공성 이면의 배려, 평등, 자유 등의 가치에 주목하게 만든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병철, 「종교교과교육과 종교교과교재론」, 서울: 박문사, 2014.
  2. 김미영, 「문화유산으로서 태사묘의 가치와 의미: 공공성과 개별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39, 2019. https://doi.org/10.36093/ks.2019..39.008
  3. 김민아, 「종교의 시민사회 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인문학연구」 33, 2020. https://doi.org/10.31323/SH.2020.06.33.02
  4. 김민지.안연희, 「뉴노멀시대, 종교의 공공성 회복」, 「평화와 종교」 11, 2021. https://doi.org/10.25168/kaprs.2021.11.39
  5. 김선필, 「서소문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의 쟁점과 함의」, 「경제와 사회」 112, 2016. https://doi.org/10.18207/criso.2016..112.174
  6. 김성건, 「종교의 미래: 사회학적 전망」, 「담론 201」 19-1, 2016. https://doi.org/10.17789/discou.2016.19.1.004
  7. 김영호, 「현대 기독교교육의 과제로서의 공공신학적 단초: 칼 바르트의 화해론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194, 2021. https://doi.org/10.35858/sinhak.2021..194.013
  8. 김윤지, 「공공성 관점으로 본 국가무형문화재의 재인식과 제도수립의 원리연구: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3, 2018. https://doi.org/10.33645/cnc.2018.06.40.3.63
  9. 김윤지, 「공공성으로 본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미래지향적 관점과 방향」, 「문화와 융합」 42-8, 2020. https://doi.org/10.33645/cnc.2020.08.42.8.827
  10. 김진혁, 「공공신학을 소개하는 두 가지 다른 목소리: 김창환의 「공공신학과 교회」와 최경환의 「공공신학으로 가는 길」」, 「기독교 사상」 749, 2021.
  11. 김창호, 「코로나-19, 종교, 그리고 공공성을 생각한다」, 「월간 공공정책」 174, 2020.
  12. 김창환, 「공적 선교학: 선교학과 공공신학의 대화」, 「선교와 신학」 57, 2022. https://doi.org/10.17778/MAT.2022.06.57.9
  13. 문명대, 「인도.중국 불복장(佛腹藏)의 기원과 한국 불복장의 전개」, 「강좌 미술사」 44, 2015. http://uci.or.kr/G704-000793.2015..44.003
  14. 문시영 외, 「공공신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북코리아, 2007.
  15. 미로슬라브 볼프, 「광장에 선 기독교: 공적 신앙이란 무엇인가」, 김명윤 옮김, 서울: IVP, 2014.
  16. 미로슬라브 볼프.라이언 매커널리린츠, 「행동하는 기독교: 어떻게 공적 신앙을 실천할 것인가」, 김명희 옮김, 서울: IVP, 2017.
  17. 박상진, 「기독교학교의 공공성」,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14.
  18. 박진우.오세일, 「공공 영역에서 종교의 역할과 갈등: "세월호 특별법" 제정에 대한 그리스도교 찬반 논쟁」, 「사회이론」 49, 2016. http://uci.or.kr/G704-001341.2016..49.001
  19. 성석환, 「지역공동체를 지향하는 선교의 공공성 연구: '후기세속사회'의 종교담론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37, 2015. http://uci.or.kr/G704-000811.2015..37.002
  20. 성석환, 「후기세속사회의 종교성과 탈종교성에 대한 공공신학적 연구」, 「선교와 신학」 49, 2019. https://doi.org/10.17778/MAT.2019.10.49.249
  21. 신종환, 「매장문화재 조사.보고의 문제와 공공성」, 「영남고고학회 학술워크샵 2016」, 2016.
  22. 안연희,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과 물질의 종교」, 「평화와 종교」 7, 2019. https://doi.org/10.25168/kaprs.2019.7.113
  23. 염승준, 「종교적 '공공성'의 개념과 의미 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2, 2017.
  24. 오세일, 「한국천주교회와 사회 참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로 인한 성찰적 근대화」, 「한국사회학」 49-2, 2015. http://uci.or.kr/G704-000205.2015.49.2.001
  25. 우혜란, 「성물(聖物), 전시물, 상품: 진신사리의 현대적 변용에 대하여」,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23-3, 2017.
  26. 윤용복, 「천주교의 다양한 성물들: 기도와 신앙을 위한 도구」, 「종교문화비평」 26, 2014. http://uci.or.kr/G704-SER000003135.2014.26.26.001
  27.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근대 한국 개벽종교를 공공하다」,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8.
  28.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조선조 후기 한국의 실학사상과 민족종교운동의 공공성 연구: 글로벌 시대 한국적 가치와 문명연구」, 익산: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2.
  29. 윌리엄 스트링펠로우, 「사적이며 공적인 신앙: 오늘날 교회는 복음을 어떻게 외면하는가」, 김가연 옮김, 서울: 비아, 2021.
  30. 이경재, 「신앙의 '공적 진리'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레슬리 뉴비긴을 중심으로」, 「가톨릭철학」 29, 2017.
  31. 이세환.오세일, 「코로나 시대의 불안과 종교의 공적 역할: 하버마스와 테일러의 후기 세속사회 논쟁 고찰」, 「사회이론」 60, 2021. https://doi.org/10.37245/kjst.2021.11.60.31
  32. 이승원, 「가톨릭 교회의 전례에서 사용되는 성물에 관한 연구: 성체와 관련된 성물을 중심으로」, 「청예논총」 10, 1996.
  33. 이승훈, 「한국 사회운동가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사회운동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65, 2005. http://uci.or.kr/G704-000107.2005..65.005 107.2005..65.005
  34. 이정연, 「'근대성과 종교' 연구에 대한 검토」, 「사회와이론」 33, 2018. https://doi.org/10.17209/st.2018.11.33.225
  35. 李春世, 「政治學設 (續)」, 「기호흥학회월보」 8, 1909.
  36. 장헌일, 「신앙공동체로서 교회와 공공성: 교회 공공정책 일유형으로서 아동돌봄 정책 중심으로」, 「종교문화학보」 18-2, 2021.
  37. 전명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종교의 사회적 역할: 종교공공사회학적 접근」, 「종교와 문화」 32, 2017.
  38. 전명수, 「정치발전과 종교의 공적 역할: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56, 2016. https://doi.org/10.17790/kors.2016..56.191
  39. 전명수, 「종교와 공공성, 이론과 실제: 종교기반 시민단체 활동의 분석적 고찰」, 「한국학연구」 68, 2019. https://doi.org/10.17790/kors.2019..68.203
  40. 전명수, 「좋은 사회를 위한 사회통합의 실천과 종교의 역할: 종교공공사회학적 접근」, 「신학과 사회」 31-3, 2017. https://doi.org/10.22748/thesoc.2017.31.3.006
  41. 전명수, 「현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종교의 역할: 종교공공사회학의 특성과 기여」, 「신학과 사회」 33-3, 2019. https://doi.org/10.22748/thesoc.2019.33.3.006
  42. 전명수, 「좋은 사회로 가는 길: 종교.시민사회.공공성」, 서울: 집문당, 2018.
  43. 정태식, 「공적 종교로서의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현상과 인식」 33-1, 2009. http://uci.or.kr/G704-001417.2009.33.1.003
  44. 정태식,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공공성」, 「신학사상」 142, 2008. https://doi.org/10.35858/sinhak.2008..142.007
  45. 조한상,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서울: 책세상, 2009.
  46. 최경환, 「공공신학, 광장에서 외치는 복음」, 「기독교 사상」 749, 2021.
  47. 최형근, 「한국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역사적, 신학적, 문화적 고찰」, 「선교신학」 21, 2009. http://uci.or.kr/G704-001759.2009.21.21.007
  48. 클락 E. 코크란 외,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김희준 옮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49. 펠릭스 윌프레드 외, 「아시아 공공신학」, 황경훈 옮김, 서울: 분도출판사, 2021.
  50. 한상민, 「현대 신학의 지평에서 공공성의 방향성과 역할 논의에 관한 연구: '곁으로'(in-between) 신학을 중심으로」, 「영산신학저널」 59, 2022. https://doi.org/10.18804/jyt.2022.03.59.7
  51. 황우선.김성해, 「종교공동체를 통해서 본 한국 민주주의 원형: 초기 한국 기독교 공회의 공론장 역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4-3, 2016. http://uci.or.kr/G704-001501.2016.24.3.005
  52. Burawoy, Michael, "For Public Sociolog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0, 2005.
  53. Casanova, Jose, Public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54. Heclo, Hugh and Wilfred M. McClay, eds., Religion Returns to the Public Square: Faith and Policy in America,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55. Markofski, Wes, "The Public Sociology of Religion," Sociology of Religion 76-4, 2015.
  5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문화재보호법>
  57. 강한, 「서울 중구의회, 서소문 사업 행정사무조사」,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17. 7. 13.
  58. 《BBS NEWS》;《BTN뉴스》;《BTN불교TV》;《e시티뉴스》;《OhmyNews》;《가톨릭뉴스 지금여기》;《가톨릭신문》;《가톨릭평화방송.평화신문》;《가톨릭프레스》;《경기도민일보》;《경기일보》;《경인매일》;《경향신문》;《국민일보》;《기독일보》;《뉴시스》;《동아일보》;《매일경제》;《매일종교신문》;《문화뉴스》;《미디어 종사자를 위한 천주교 용어 자료집》;《법보신문》;《불교닷컴》;《불교신문》;《서울신문》;《세계일보》;《시티뉴스》;《연합뉴스》;《예장뉴스》;《조선일보》;《천지일보》;《한겨레》;《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일보》;《현대불교신문》
  59. 《CPBC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dluclJLlcos
  60. 《Encyclopa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ca.com
  61.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edia.com
  62. 《광주시청》 https://www.gjcity.go.kr
  63. 《국제공공신학저널》 https://brill.com/view
  64. 《국제공공신학학회》 https://gnpublictheology.net
  65.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66. 《뉴질랜드 오타고대학 CTPI》 https://www.otago.ac.nz/ctpi
  67. 《마르첼리노다락방》 https://www.youtube.com/watch?v=Ozgnh_8Kc1A
  68. 《마르코프스키》 https://wesmarkofski.com
  69.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
  70. 《반포성당》 https://banpo.or.kr/a/20581
  71. 《버클리센터》 https://berkleycenter.georgetown.edu
  72. 《불교중앙박물관》 http://museum.buddhism.or.kr
  73.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https://www.seosomun.org
  74. 《성당오빠들》 https://www.youtube.com/watch?v=m3Ga9Y7qcU8
  75. 《여주시 문화관광》 https://www.yeoju.go.kr/main/culture
  76. 《요미우리》 https://yab.yomiuri.co.jp
  77. 《월간해인》 http://www.haeinji.org/contents/?pgv=v&wno=10&cno=89
  78. 《위키》 https://en.wikipedia.org
  79. 《종교투명성센터》 http://rtck.or.kr
  80. 《종교편향 불교왜곡 범대책위원회》 http://www.koreabuddhism.org
  81. 《지리산 대원사》 https://www.daewonsa.net
  82. 《천주교대전교구 사목국》 http://samok.djcatholic.or.kr
  83. 《한국천주교회발상지 천진암성지》 http://www.chonjinam.org
  84. 《미디어 종사자를 위한 천주교 용어 자료집》 https://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