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TEAM Elements of Creative and Convergent Activitie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Focusing on the 3rd and 4th Grade Group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 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7.25
  • Accepted : 2022.08.22
  • Published : 2022.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EAM elements and convergence types that appeared in the creative and convergent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which were converted from the national issuance system to the authorized system in 2022. For this study, 6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rs were selected. And STEAM elements in creative and convergent activities were analyzed by publishers, grade-semesters, and science fields, and the convergence type was analyzed for each publis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frequencies of STEAM elements and the ratios of each element in the creative and convergent activities of textbooks were different for each publisher. However, among the four elements except for science (S) element in all publishers, the tendency to have a high proportion of art (A) element and a very low proportion of mathematics (M) element was common. Second, the higher the number of fused STEAM elements, the lower the rate of appearance in the textbooks in overall. Also the ratio of convergence types of STEAM elements varied by each publisher. Third, the ratio deviations of art (A), technology (T), and engineering (E) elements for each grade-semester were not large, but the ratio deviation of the mathematics (M) element was large. Fourth, technology (T) and engineering (E) elements appeared a lot in the fields of 'movement and energy' and 'material', while art (A) element appeared a lot in the fields of 'earth and universe', 'life', and 'integ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2022년부터 국정 발행체제에서 검정 발행체제로 전환되는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용도서의 창의·융합 활동에 나타난 STEAM 요소와 융합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창의·융합 활동이 제시된 6종의 초등학교 과학 3~4학년 교과서를 선정하여 각 출판사별, 학년-학기별, 과학 분야별로 창의·융합 활동에 나타난 STEAM 요소를 분석하고 각 출판사별로 융합유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창의·융합 활동에 나타난 STEAM 요소의 전체 빈도와 각 요소별 비율이 출판사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출판사에서 과학(S)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요소 중 예술(A) 요소의 비율이 높고, 수학(M) 요소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경향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으로 융합된 STEAM 요소의 수가 많을수록 교과서에 나타나는 비율은 낮았고, STEAM 요소의 융합유형 비율은 출판사 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매 학년-학기별로 예술(A) 요소, 기술(T), 공학(E) 요소의 비율 편차는 크지 않았으나 수학(M) 요소의 비율 편차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분야에는 기술(T)과 공학(E) 요소가 많이 나타난 반면 '지구와 우주', '생명', 그리고 '통합' 분야에는 예술(A) 요소가 매우 많이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교육부 보도자료(2019. 7. 30). 초등 3~6학년 사회, 수학, 과학 교과서 검정 전환계획 예고.
  3. 김현섭, 정수(2019).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에 대한 STEAM 비교 분석. 현장과학교육, 13(2), 133-146. https://doi.org/10.15737/SSJ.13.2.201905.133
  4. 박영석, 구하라, 문종은, 안성호, 유병규, 이경윤,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2013).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31(1), 159-186. https://doi.org/10.15708/KSCS.31.1.201303.007007
  5. 복주리, 장낙한(2012). STEAM 관점에서 2009 개정 화학I 교과서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2), 381-393. https://doi.org/10.21796/JSE.2012.36.2.381
  6. 양정임(2018).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통합교과서에 나타난 STEAM 요소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효녕, 백소연, 이현동(2017). 초등학교 비형식 과학 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빛' 주제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22-139.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22
  8.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030
  9. 임성만, 채동현, 김은정, 현동걸, 김오범, 한제준(2014). 교과대체형 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후 학생들의 인식 분석: 6학년 에너지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9-132.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19
  10. 전제응, 이주섭, 고상훈, 고아라, 신애경(2020).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70-283.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70
  11. 홍민아, 박종윤(2014). 2009 개정 중학교 과학① 교과서에 포함된 STEAM 활동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4), 1033-1055.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033
  12. 홍해진(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나타난 STEAM 요소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Brophy, S., Klein, S., Portsmore, M., & Rogers, C. (2008). Advancing engineering education in P-12 classroom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7(3), 369-387. https://doi.org/10.1002/j.2168-9830.2008.tb00985.x
  14. Nam, Y. K., Lee, S. J., & Paik, S. H. (2016). The impact of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EIS) curricula on first-yea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rception of engineer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 1881-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