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ental Differences in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by Types of Parental Depression

부모의 우울 유형에 따른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 김혜정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22.06.11
  • Accepted : 2022.08.10
  • Published : 2022.08.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ypes of parental depression and differences in happiness and self-esteem of children in each group of parent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the 10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luster analysis, covariance analysis, and Bonferroni verification were performed on the data of 1,282 parents with 9-year-old children. Results: A total of four parental depression groups were categorized: 'both depressed,' 'mother depressed,' 'father depressed,' and 'not depressed.' Children of the not depressed group showed the highest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four groups. Children of the mother mildly depressed group had lower scores in happiness and self-esteem than those of the father mildly depressed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was a new attempt to categorize parental depression together, breaking away from individual approaches such as mother's depression, father's depression, and mother's and father's depression and complementary approaches between couples. When examining the impact of parental depression on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epression of the father and mother as a unit.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국어원 (n.d.). 표준국어대사전자료.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에서 2022년 3월 1일인출
  2. 권연희 (2013). 유아의 행복에 대한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25-537. https://doi.org/10.5934/kjhe.2013.22.4.525
  3. 권태연 (2020). 부모의 우울이 초등학교 자녀의 언어발달,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1(1), 338-348. https://doi.org/10.5762/KAIS.2020.21.1.338
  4. 김경훈, 김형재, 이은림 (2013).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의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5-32.
  5. 김용회, 한창근 (2017). 부모 삶의 만족도와 아동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연구, 48(3), 29-55. https://doi.org/10.16999/kasws.2017.48.3.29
  6. 김연하 (2018). 어머니의 첫 출산 후 6년간 우울 궤적과 만 6세 첫 자녀의 문제행동. 아동학회지, 39(6), 101-111. https://doi.org/10.5723/kjcs.2018.39.6.101
  7. 김진미 (2019). 초등학생의 행복감 영향요인 분석. 교육연구논총, 40(3), 161-180. https://doi.org/10.18612/cnujes.2019.40.3.161
  8. 김혜금, 조혜영 (2016). 주 양육자의 삶의 만족도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간의 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5), 137-15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5.137
  9. 길혜지, 황정원 (2017).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취학 전 아동의 문제행동 차이 분석. 육아정책연구, 11(1), 127-154. https://doi.org/10.5718/KCEP.2017.11.1.127
  10. 나종혜, 손승희, 김수정 (2021).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 창의성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30(2), 227-239. https://doi.org/10.5934/kjhe.2021.30.2.227
  11. 문예은, 이주연 (202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와 대화시간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1), 85-104.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1.085
  12. 민미희 (2018).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관계: 성별간 다집단 분석. 육아지원연구, 13(4), 101-126. https://doi.org/10.16978/ecec.2018.13.4.005
  13. 박소연, 이홍직 (2013).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스트레스연구, 21(2), 73-84.
  14. 백승희, 전현정, 이정민, 정혜원 (2019). 모와 자녀가 지각한 우울, 자아존중감, 주관적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행위자 상대자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30(2), 93-118. https://doi.org/10.16881/jss.2019.04.30.2.93
  15. 손선옥 (2019).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 및 성별차이. 스트레스연구, 27(2), 158-165. https://doi.org/10.17547/kjsr.2019.27.2.158
  16. 서고운 (2018). 아버지와 어머니의 우울과 음주 행동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가족 기능의매개 효과와 아동 성별의 조절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2), 3-28. https://doi.org/10.21321/jfr.23.2.3
  17. 성영실, 이성주 (2021).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우울 예측 요인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131, 71-90. https://doi.org/10.37918/kce.2021.11.131.71
  18. 성정혜, 김춘경 (2019). 부모의 교육열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학교적응간 구조적 관계: 아동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육아정책연구, 13(2), 47-71. https://doi.org/10.5718/kcep.2019.13.2.47
  19. 안연주, 최연실 (2021). 개인 심리적 요인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개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1), 165-182. https://doi.org/10.21321/jfr.26.1.165
  20. 양은선, 김연하 (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갈등이 우울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9(3), 1-14. https://doi.org/10.7466/JFBL.2021.39.3.1
  21. 양진희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족 상호작용, 온정적 양육방식, 우울 간의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4), 409-433.
  22. 여종일 (2015). 아버지의 우울증상 및 가족관계가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1(3), 333-351.
  23. 연은모, 윤해옥, 최효식 (2016).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부부갈등, 우울, 양육태도 간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1(2),1-28.
  24. 연은모, 최효식 (2020).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양상에 따른 우울 및 자녀의 학교준비도, 자아존중감, 행복감 차이.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5), 344-352. https://doi.org/10.5762/KAIS.2020.21.5.344
  25. 이경선 (2017a).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305-324. https://doi.org/10.22155/JFECE.24.1.305.324
  26. 이경선 (2017b). 아버지의 공동양육행동(coparenting) 관련 변인: 결혼생활의 질과 정서적 특성. 유아교육연구, 37(4), 421-434.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17
  27. 이경진, 양유진 (2021). 자녀의 성장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529-54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5.529
  28. 이석미, 박춘성, 성은현 (2021).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부부갈등, 우울과 유아기 자녀의 공격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35(2), 237-257. https://doi.org/10.17286/KJEP.2021.35.2.01
  29. 이은지, 도현심 (2020).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행동 및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간의 종단적교류 및 매개 관계. 아동학회지, 41(4), 91-104. https://doi.org/10.5723/kjcs.2020.41.4.91
  30. 이의빈 (2021).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 우울, 부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문제행동 간 관계. 청소년학연구, 28(5), 85-114.
  31. 임선아 (2018).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9(1), 49-59. https://doi.org/10.5723/kjcs.2018.39.1.49
  32. 전선영, 이희선 (2020). 부모의 부부갈등 및 공동양육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1037-1062.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12.1037
  33. 정진나 (2021). 학령기로의 전환 동안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에 미치는 아버지 및 어머니우울과 유아 사회적 유능성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41(3), 79-102. https://doi.org/10.18023/kjece.2021.41.3.004
  34. 정현정, 문혁준 (201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21-42.
  35. 제희선, 이강훈 (2018).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종단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28(2), 399-421. https://doi.org/10.21024/pnuedi.28.2.201806.399
  36. 조규영, 김신경, 전효정 (2019).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공동양육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0(1), 67-83. http://do.org/:10.21197/JCEI.10.1.4
  37. 조은주, 이소연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와 자녀 문제행동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아시아여성연구, 60(3), 213-248. https://doi.org/10.14431/jaw.2021.12.60.3.213
  38. 탁하연, 조규판 (2019).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207-226.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2.207
  39. 하요상, 하문선 (2021).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의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175-190.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6.175
  40. 한국아동패널 (2017). 한국아동패널 10차년 자료[데이터파일과 코드북]. https://panel.kicce.re.kr/panel/module/rawDataManage/index.do에서 2021년 10월 1일 인출
  41. 한영숙 (2020). 어머니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종단적 관계: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또래관계의 역할. 아동학회지, 41(3), 13-23. https://doi.org/10.5723/kjcs.2020.41.3.13
  42. Baker, C. E., Brooks-Gunn, J., & Gouskova, N. (2019).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Behavior Problems in Families Served by Head Start. Child Development. 91(5), 1563-1576. https://doi.org/10.1111/cdev.13344
  43. Diener, M. L., & Lucas, R. E. (2004). Adults' desires for children's emotions across 48 countries: Associations with individual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5(5), 525-547. https://doi.org/10.1177/0022022104268387
  44. Eisenberg, D., Colberstein, E., Whitlock, J. L., & Downs, M. F. (2013). Social contagion of mental health: Evidence from college roommates. Health Economics, 22(8), 965-986. https://doi.org/10.1002/hec.2873
  45. Headey, B., Muffels, R., & Wagner, G. G.(2014). Parents transmit happiness along with associated value and behaviors to their children: A lifelong happiness dividend?. Social Indicators Research, 116(3), 909-933. https://doi.org/10.1007/s11205-013-0326-7
  46. Hoy, B. D., Suldo, S. M., & Mendez, L. R. (2013). Link between parents'and children's levels of gratitude, life satisfaction, and hop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4(4), 1343-1361. https://doi.org/10.1007/s10902-012-9386-7
  47. Kessler, R. C., Andrews, G., Colp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Walters, E. E., & Zaslavsky, A. M.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https://doi.org/10.1017/S0033291702006074
  48. Olson, D. H., & Gorall, D. M. (200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n F. Walsh (Ed.), Normal Family Processes(3rd Ed)(pp. 514-547). Guilford.
  49. Ponnet, K., Wouters, E., Mortelmans, D., Pasteels, I., Backer, C., Leeuwen, K. V., & Vanhiel, A. (2013). The influence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on own and partner's parent-child communication. Family Process, 52(2), 312-324. https://doi.org/10.1111/famp.12001
  5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Sweeney, S., & MacBeth, A. (2016). The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on child and adolescent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5(306), 44-59. https://doi.org/10.1016/j.jad.2016.05.073
  52. Valdez, C.R., Shewakramani, V., Goldberg, S., & Padilla, B. (2013). Parenting influences on Latin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the first grade: Parental depression and parent involvement at home and school.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44(5), 646-657. https://doi.org/10.1007/s10578-013-035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