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물류산업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전체산업 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Decent Work" in the Logistics Industr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whole industries

  • 소애림 (창원산업진흥원 항만물류산업육성팀) ;
  • 신승식 (전남대학교 물류교통학과)
  • So, Ae-Rim ;
  • Shin, Seung-Sik
  • 투고 : 2022.12.09
  • 심사 : 2022.12.30
  • 발행 : 2022.12.31

초록

본 연구는 물류산업에서 괜찮은 일자리 결정요인을 규명하였고 분석 결과를 물류산업 노동 관련 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과 물류산업 특성에 맞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첫 번째 연구에서 도출한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여부를 활용하였고, 물류산업 일자리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산업의 패널 자료로 대상 모형을 도출한 후 이를 물류산업 모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전체산업의 괜찮은 일자리 모형에서 유의미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던 '나이(age)', '성별(sex)', '교대근무(shift)' 변수는 물류산업 모형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타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데이터를 활용한 일자리 모형에서 '나이(age)' 변수는 대부분 나이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 및 소득 생산성이 높게 나타나 물류산업의 경우도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물류산업의 경우는 '나이(age)' 변수가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취업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산업과 물류산업이 공통으로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에 종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은 '건강상태(health)' 요인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직무만족도, 소득생산성, 승진 등을 위해서는 개인적 특성인 '건강상태(health)'가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에 종사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에서도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따라서 물류산업은 전체산업에 비해 '직업훈련'을 통해 물류 산업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학력수준'을 높이는 것보다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히 본연구에서 분석한 세부 물류산업 중 괜찮은 일자리 종사자 비율이 높은 '철도운송업', '내륙 수상 및 항만 내 운송업', '항공 화물 운송업' 등의 경우 전문화된 직업훈련이 필요한 분야로 이와 같은 물류산업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서 배우는 학문적 영역과 더불어 직업훈련 등의 추가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 물류산업뿐만 아니라 타 산업에서도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에 종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rived determinants of 'Decent Work' in the logistics industry and aims to use the analysis results as basic data for policymaking related to labor in the logistics industry and to prepare polic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gistics industry. A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model, the Decent Job derived from the first study was used, and the target model was derived from panel data of whole industries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ogistics industry jobs and applied to the logistics industry model.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logistics industry, developing the expertise of the logistics industry through "vocational training" compared to whole industries is an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raising the "academic level" through the regular curriculum. This seem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gistics industry as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is required in the case of "railway transportation", "inland water and port transportation", and "air cargo transportation",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decent job workers among the detailed logistics industries analyzed in this study. Therefore, developing job expertise through additional manpower training program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s well as academic fields learned through regular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engaging in "Decent Work" not only in the logistics industry but also in other industrie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소애림의 박사학위 졸업논문의 일부를 발췌·수정한 것이며, '해양수산부 제 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1. 금재호(2011), 일자리 문제의 원인과 대책:중장기 고용전략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 김경진.전순영.(2016).아웃소싱 근로자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서비스 지향성의 매개효과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9(11), 1613-1632.
  3. 김재덕.김재환(2019), 임금근로자의 고용안정성 변화와 결정요인 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9(4), 51-71.
  4. 김성숙(2012), 여성가구주 가계유형별 빈곤 가구 특성 연구, 젠더와 문화, 5(1), 71~103.
  5. 김안국, 강훈희(2004), 「자격취득의 결정요인 및 취업. 임금효과」, 한국노동경제논집 27(1), 1-25.
  6. 김영애(2015), 감정노동과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인식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공정신보건의료기관과 민간정신 보건의료기관 간호사를 대상으로 비교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인애.최민식(2018), 서비스 기업의 양질의 일자리 제도 도입과 성과 : CJ 그룹의 사례와 실증 분석, 한국기업경영학회, 25(5), 1-22.
  8. 김창환.김형석(2007), 직업훈련의 임금불평등 효과 분석, 한국사회학, 41(3), 32~64.
  9. 김태민.하명신.최성광(2018), 부산항 항만하역근로자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4(4), 85-104.
  10. 김항구, 이수용. (2018).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근로자 괜찮은 일자리 결정요인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7(1), 441-471.
  11. 김현아.임소희(2021),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산학기술학회, 22(1), 178~187. https://doi.org/10.5762/KAIS.2021.22.1.178
  12. 나무위키(https://namu.wiki/)
  13. 민인식.최필선(2019), 패널데이터분석 version15 2판, 지필미디어
  14. 민인식.최필선(2019), 패널데이터분석 STATA, 지필미디어
  15. 박유진(2013), 직종 특성별 과잉학력 임금효과 격차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방하남, 이상호. (2006). 좋은 일자리(Good job)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한국사회학, 40(1), 93-126.
  17. 소애림.신승식(2019),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한 국내운송업 고용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0(1), 57~76.
  18. 소애림.신승식(2022), 물류산업의 일자리 평가 및 타산업과의 비교 연구 :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로지스틱스학회지, 30(5), 37~53.
  19. 송석휘(2015), 공공부문 교대근무자의 직무만족도 개선방안연구, 한국행정논집, 27(2), 455~483.
  20. 신유근(1991), 한국의 기업문화와 노사유형의 적합관계. 한국경영연구소, 25(3),30-80.
  21. 안우철.이충효(2015), 물류산업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요인 비교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31(3), 691~708.
  22. 안현수(2020), 대졸자 괜찮은 일자리 취업결정요인의 비중 변화 분석: 능력중심 채용제도 변화 전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양오석(2013), 첫눈에 반한 STATA, 지필미디어
  24. 양영은(2021),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증상, 수면의 질, 피로와 건강증진행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9(4), 262~270.
  25. 오진호.우수한(2019), 국내 운송 산업 고용형태와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한국노동패널데이터자료를 활용하여, 물류학회지, 29(6), 37-~51.
  26. 유수영(2010).좋은 일자리 결정요인에 관한연구,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운식 (2010).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진희.정혜선.이현주(2017), 물류창고 종사원의 작업관련 특성과 직무 스트레스가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6(3), 133~141.
  29. 장소영.김용진. (2020). 택배산업과 물류산업 현장직 종사자의 근로여건 비교분석 연구. 물류학회지, 30(5), 105-117.
  30. 장종익(2021), 프리랜서의 직업적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과 정책적 함의, 노동정책연구, 21(4), 33~61. https://doi.org/10.22914/JLP.2021.21.4.002
  31. 정성미(2006), 여성 재취업 고용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노동리뷰, 3, 39~50.
  32. 조동훈(2008),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동조합의 임금효과 분석, 노동경제논집 31(2), 103-128.
  33. 최혜경(2015), 진로단절여성의 '괜찮은 일자리' 인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최희경(200), '괜찮은 일자리'(Decen Job) 개념의 노인돌봄 서비스직에 대한 적용, 21, 27~57.
  35. 황수경(2002),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패널연구, 1~47.
  36. Anker, R., Chernyshev, I., Eger, P., Mehran, F. & Riter, J. (2002). Measuring decent work with statistical indicators. Policy integration department statistical development and analysis group working paper. Geneva : ILO.
  37. Anker, R., Chernyshev, I., Egger, P., & Mehran, F. (2003). Measuring decent work with statistical indicators. Int'l Lab. Rev., 142, 147.
  38. Clark, A.C.(1998), Measures of Job Satisfaction, What Makes a Good Job?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Labor Market and Social Policy, Occasional Papers, 34, OECD.
  39. Cranny, S. J., Smith, P. C. and Stone, E. F.(1992), Job Satisfaction, New York: Lexinton Books.
  40. Gruenberg barry(1980), The Happy Worker: An Analysis of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6(2), 247-271 https://doi.org/10.1086/227238
  41. Han, J., Kamber, M., & Pei, J. (2011). Data Mining: Concepts and Techniques Third Edition [M]. The Morgan Kaufmann Series in Data Management Systems, 5(4), 83-124.
  42. Hoppe, A., Fujishiro, K., & Heaney, C. A. (2014). Workplace racial/ethnic similarity, job satisfaction, and lumbar back health among warehouse workers: Asymmetric reactions across racial/ethnic group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5(2), 172-193.
  43. ILO (1999). Decent Work. Report of the Director-General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Geneva.
  44. Jencks, Perman and Rainwater(1988), What is a Good Job? A New Measure of Labor-Market Succ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3(6), 1322~1357. https://doi.org/10.1086/228903
  45. OECD(2003), OECD Employment Outlook : Towards More and Better Jobs
  46. Randhawa, G., & Chaudhry, N. (2019).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Agri Warehouse Employees. Prajnan, 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