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auses of the low level of Value Added Activities in Korea's Port Distripark and Its Implications

항만배후단지 부가가치 창출 미비의 원인 분석과 제언

  • 이태휘 (경상국립대학교 경영대학 스마트유통물류학과)
  • Received : 2022.06.12
  • Accepted : 2022.06.29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Although the port distripark concept and its development policy have been introduced since almost twenty years, there is no visible results of the policy. Specifically, the level of value-added logistics using transhipment cargo is too low. In this paper, we mainly focus on the causes of the policy failure of port distripark's value added activities in terms of conceptual as well as practical or functional. Definitely, the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port distripark compared to industrial park or bonded factory. The study also analyzes the differentiation of port distripark and port hinterland. The study generats that the problem or error that may occur when port hinterland is identified with the port distripark. Last but not least, the limitations of value added logistics is generated on the study. We examined in depth whether the already well known value added activity of port distripark is really activities that add 'value'.

항만배후단지와 이의 자유무역지역 지정 정책이 도입된지 20년 가까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환적화물을 통한 항만배후단지의 부가가치 창출은 아주 미미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항만배후단지 부가가치 창출 정책 실패의 원인을 개념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접근해 분석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항만배후단지의 기능적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항만배후단지와 산업단지 및 보세공장 간 기능적 중복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항만배후단지와 Port Hinterland의 개념적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Port Hinterland를 항만배후단지와 동일시 함으로써 항만배후단지 '정책의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항만배후단지 부가가치 물류의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연구 결과 해외의 항만배후단지라고 해서 특별히 '고 부가가치' 활동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근섭(2021), 환적화물의 항만배후단지 유치 가능 품목선정 및 물동량 추정: 수탁가공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7(4): 1-11.
  2. 신정엽 외(2018),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천재교과서.
  3. 안기명, 신영란, 손보라(2012), 부산신항 배후단지의 문제점 진단과 고부가가치화 전략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20(4): 55-69. https://doi.org/10.15735/KLS.2012.20.4.005
  4. 양창호(2021), 항만경제, 박영사.
  5. 허우긍(2018), 교통의 지리, 푸른글.
  6. 한국은행(2018), 글로벌 가치사슬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은행 국제경제리뷰 제2018-11호.
  7. 한주성(2010), 교통지리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8. 해양수산부(2015), 항만배후단지 고부가가치화 발전 전략, 해양수산부 용역보고서.
  9. 해양수산부(2018),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실태조사 및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용역보고서.
  10. 해양수산부(2019), 항만배후단지 관리.운영정책과 부가가치 물류활동 조사를 위한 두바이 및 상해 출장결과 보고,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 항만물류기획과 (국외출장연수정보시스템: https://btis.mpm.go.kr/ 검색).
  11. KMI(2005), A Study on Port Performance related to Port Back-up Area in the ESCAP Region,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본과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2. KMI(2007), 국제 분업화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기업유치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본과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3. KMI(2011),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를 위한 항만배후단지 발전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본연구과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4. Notteboom, T. and Rodrigue, J. P.(2005), Port regionalization: towards a new phase in port development, Maritime Policy & Management 32(3), 297-313. https://doi.org/10.1080/03088830500139885
  15. Notterboom, T. E., Pallis, A., Rodrigue, J. P.(2022), Port Economics, Management and Policy, New York: Routledge.
  16. Scaramelli, S.(2009), The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The case of Valencia, Dissertation of MSc in Maritime Economics and Logistics, Erasmus Unviersity Rotter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