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논문은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P0020632).
참고문헌
- 변형석. (2016). 지속가능한 관광과 공정여행. 한국관광정책, (66), 40-46.
- Newswire, P. R. (2022). "Sustainable Travel Consumer Report from Trip.com Group reveals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ustainable trip, identifies opportunities for travel industry." PR Newswire US.
- 한석호, 유은정. (2022). 지역주민의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사회적 교환이론과 장소 애착의 종합. 관광레저연구, 34(2), 63-82.
- 한관희, 초광유, 이윤희, 이충기. (2022).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세계자연유산 신안 갯벌 보존가치 평가: 2 단계 가상가치평가법 (CVM) 활용. 관광연구저널, 36(8), 37-52.
- 김태헌, 박숙진, 김주리. (2016).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 역할-서울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2(2), 71-90.
- Pforr, C. (2001).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tourism, and ecotourism: Definitions, principles, and linkages. Scandinavi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1(1), 68-71.
- 정경희, 김소중, 김채령, 한이화. (2013). 지속가능한 도보여행으로서의 인천둘레길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구 문화교류연구), 2(3), 141-163.
- 윤유식, 장양례. (2012). 지속가능한 에코투어리즘을 위한 환경교육의 생태관광체험기대, 방문성과 및 생태관광지지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관광경영연구, 16(3), 253-270.
- 여호근, 강승구. (2002).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관광레저연구, 14(1), 69-84.
- Vayansky, I., & Kumar, S. A. (2020). A review of topic modeling methods. Information Systems, 94, 101582.
- Dumais, S. T. (2004). Latent semantic analysis. Annu. Rev. Inf. Sci. Technol., 38(1), 188-230. https://doi.org/10.1002/aris.1440380105
- Blei, D. M., Ng, A. Y., &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993-1022.
- Hoffman, M., Bach, F., & Blei, D. (2010). Online learning for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3.
- Petterson, J., Buntine, W., Narayanamurthy, S., Caetano, T., & Smola, A. (2010). Word features for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3.
- Anandkumar, A., Foster, D. P., Hsu, D. J., Kakade, S. M., & Liu, Y. K. (2012). A spectral algorithm for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5.
- 전은지, 이채원, 류제택. (2021). 공공연구성과 실용화를 위한 데이터 기반의 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6(2), 71-84.
- 김창식, 곽기영, 윤혜진. (2017). 관광분야 연구 동향 분석: 토픽모델링과 시계열분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12), 25-39.
- 김건, 윤혜정. (2016).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서울 지역 호텔서비스에 대한 고객인식의 변화 분석. 서비스경영학회지, 17(3), 217-231. https://doi.org/10.15706/JKSMS.2016.17.3.010
- 김세형, 윤태영, 강주영. (2022). 텍스트 마이닝 기반 고령자 관련 법제도 개선을 위한 분쟁 유형 도출방법론 제안.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7(3), 45-65.
- 김동욱, 강주영, 임재익. (2016).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산업별 직무만족요인 비교 조사: 잡플래닛 리뷰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5(3), 157-171. https://doi.org/10.9716/KITS.2016.15.3.157
- 조혁준, 강주영, 정대용. (2016). 한국과 미국 간 모바일 앱 리뷰의 감성과 토픽 차이에 관한 탐색적 비교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15(2), 169-184. https://doi.org/10.9716/KITS.2016.15.2.169
- 윤지혜, 이종화. (2021).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CSR 키워드 트렌드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1(5), 73-91.
- 정성지. (2020). 토픽 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환경교육 연구 동향:[환경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33(2), 231-246. https://doi.org/10.17965/KJEE.2020.33.2.231
- 김경아, 김선희. (2021). 지속가능발전목표 관점에서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연구 동향 분석. 환경정책, 29(1), 129-153.
- Freeman, L. (2004).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1(687), 159-167.
- Scott, J. (2012). What is social network analysis? (p. 114). Bloomsbury Academic.
- Marin, A., & Wellman, B.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An introduction.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11, 25.
- 이제욱, 김현정. (2022). 뉴스 토픽모델링과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포츠-인공지능 산업.기술 트렌드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20(1), 715-737.
- 강대희, 안현철. (2021). 빅데이터 기반 산학협력 네트워크 분석.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6(2), 109-124.
- 신현보, 선형주, 이준기. (2019). 소셜 미디어 참여에 관한 연구 동향과 쟁점의 변화: 네트워크 분석과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4(1), 99-118.
- 공인택, 신광섭. (2021).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속도로 유휴부지의 물류센터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6(1), 1-12.
- Raghavan, R., Panicker, V. V., & Emmatty, F. J. (2022). Ergonomic risk and physiological assessment of plogging activity. Work, (Preprint), 1-12.
- 윤정희, 이근모, & 임새미. (2022). 친환경 운동 플로깅: 그린세대 플로깅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경험의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61(5), 343-354.
- Economist Impact, (2022).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관광 산업 회복:지각 있는 여행자란?
- 고용노동부, (2022), 2022년 사회적기업 인증 계획 및 심사기준 공고, https://www.moel.go.kr/news/notice/noticeView.do?bbs_seq=20220100260
- 김지숙. (2011).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지원을 통한 사회적 책임 제고방안. 보건복지포럼, 2011(1), 87-98. https://doi.org/10.23062/2011.01.10
- 기획재정부, (2020).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공공부문의 추진전략,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8779
- 행정안전부, 지방계약법 및 시행령 개정사항 알림, (2009). https://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3Bjsessionid=pW9drCz6XFY1PoKG8AobhNyLzsLhtV8oERrvQyqRxgddvNlG9t1sMUx9uTz8Niix.mopwas53_servlet_engine1?bbsId=BBSMSTR_000000000061&nttId=31654
-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조례, 2019. 3. 28.
- 사회적기업 육성법, 2012.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