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Korean Military C4I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을 위한 한국군 C4I 체계 분석 및 성능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2.05.23
  • Accepted : 2022.06.17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Future battlefield domains are expanding to ground, sea, air, space, and cyber, so future military operations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complexly in various battlefield domain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convergence technologies that create innovations in all fields of economy, society, and defense,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big data, is being promoted. However, since the current Korean military C4I system manages warfighting function DBs in one DB server, the efficiency of combat performance is reduced utilization and distribution speed of data and operation response time.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appl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AI, IoT, 5G, big data, and cloud to the Korean military C4I system, but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military C4I system and proposes to appl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terms of operational mission, network and data link, computing environment, cyber operation, interoperability and interlocking capabilities.

미래 전장은 지·해·공·우주·사이버로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미래의 군사작전은 다양한 전장 도메인에서 동시·복합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공지능, loT, 빅데이터 등 경제, 사회, 국방 전 분야에 걸쳐 혁신을 일으키는 융합기술 적용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한국군 C4I체계는 하나의 DB서버에 다양한 전투수행기능 DB를 관리하고 있어 전장 데이터 활용, 데이터 정보 유통 속도, 작전 반응 시간 등에서 전투 수행,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고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loT, 5G,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한국군 C4I체계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연구가 필요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군 C4I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래전 양상에 적합한 통합 C4I체계로 발전하기 위해 작전임무, 네트워크 및 데이터링크 컴퓨팅 환경, 사이버 작전, 상호운용성 및 연동능력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의 2022년도 논문게재지원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세용, 김익현, "스마트 국방혁신을 위한 미래 작전환경 분석의 이해와 군 적용방안에 대한 고찰", IT 한국 서비스논문지, 제20권, 제1호, pp. 55-65, 2021.
  2. 국방부, "전력발전업무훈령 별표 4", 2021.
  3. 이학래, 김완주, 임재성, "미군 사례 고찰을 통한 한국군 데이터 전략 및 공유 데이터 모델 개발방안",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25권, 제6호, pp. 757-765, 2021. https://doi.org/10.6109/JKIICE.2021.25.6.757
  4. US DoD., "DoD Digital Modernization Strategy", 2019.
  5. 모준영, 여현철, "중국의 인공지능(AI) 정책과 군사전략 변화", 한국동북아논총, 제26권, 제4호, pp. 81-105, 2021.
  6. 김규철, "러시아의 군사전략: 위협인식과 군사력 건설동향", 군사논단, 제100권(특별호), pp. 293-354, 2020.
  7. 이수훈, 유영철, "러시아 안보.국방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과 개발현황: 분석과 한계", 중소연구, 제44권, 제3호, pp. 87-116, 2020. https://doi.org/10.21196/APRC.44.3.202011.003
  8.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군 지휘통제체계 발전 방안 연구 최종결과 보고서", 2017
  9. 전종암, 김내수 등 6명, "IoT 디바이스 제품 및 기술 동향",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1권, 제4호, pp. 47-50, 2014.
  10. 김상훈, "5G망에서의 Network Slicing 요구 사항 및 제공 구조",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33권. 제6호, pp. 9-17, 2016.
  11. 최경, 김미희,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융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 8-9, 2016.
  12. 송기섭,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지휘결심 지원체계 구축방안", 공군본부, 2019.
  13. Steve Wallance, "Emerging Technology", Forecast to Industry 2019, DISA, 2019.
  14. 배재권,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기반 통합보안관제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로고스경영연구, 제18권, 제14호, pp. 151-166, 2020. https://doi.org/10.22724/LMR.2020.18.1.9
  15. "ICT R&D 기술로드맵 2023" 총괄보고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