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on Solution Plans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 the Trend Changes of Cryptocurrency

암호화폐의 트랜드 변화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 김정훈 (호서대학교 안전소방학부) ;
  • 송세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안전공학과) ;
  • 고임환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 남학현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 장재혁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 정회윤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 최혁재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Received : 2022.02.11
  • Accepted : 2022.03.15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Cryptocurrency, stood out the sharp cost rising of Bitcoin has been spotlighted by means of the solution for stagflation because it is decentralized with an existing currency differently. Especially getting into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using block chain and internet of things have been used in the many fields, and the power of influence is also widespread. Nevertheless like a remark of Elon Musk of Tesla CEO,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or cryptocurrency have been pointed out continuously and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m is an enormous electric usage as the use of fossil fuels. Also the amount generated of carbon dioxide result in the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mainly based on the climate changes of earth if the existing mining method is continued. On the other hand, revi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restrictively as the connection with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 the mining of cryptocurrency. In this study, it intended to review problems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 the diversification of ecological system of cryptocurrency concretely. Upon investigation existing prior documents on the putting recent data first, the mining of cryptocurrency has affected on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onflicting with carbon neutrality as increasement of the electric usage and electronic wastes. And POS method without the mining process appeared, but it had a demerit collapsing a decentralization and then we met turning point on appearing various environmental-friendly cryptocurrency. Finally the appearance of cryptocurrency using new renewable energy acted on the opportunity of the usage maximization of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the birth of national government interv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mention clearly that hereafter cryptocurrency will regress if not go abreast the value of currency as well as environmental approach.

비트코인의 가격 급등으로부터 부각된 암호화폐는 기존 화폐와 달리 탈중앙화 되어 있어 스태그플레이션 해소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들면서 블록체인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기술들이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파급력 또한 광범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슬라 대표 일론 머스크의 발언처럼 암호화폐의 환경오염 문제 지적은 지속되어 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채굴시의 막대한 전기 사용량이다. 또한 기존 채굴방식이 지속될 경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지구 기후 변화의 주원인인 온난화 현상의 가속화를 초래한다. 한편 암호화폐의 채굴에 따른 환경오염과의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암호화폐의 생태계 다변화에 따라 환경오염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문헌을 최신 자료 위주로 조사한 결과 암호화폐의 채굴은 전기사용량 및 전자폐기물 증가에 따라 탄소 중립과는 상반된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채굴과정이 필요없는 POS 방식이 등장하였지만 탈중앙화가 무너지는 단점이 대두되어 각종 친환경 암호화폐가 등장하는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끝으로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암호화폐의 등장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이용 극대화, 그리고 국제적 협약이 탄생하는 계기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향후의 암호화폐는 통화의 가치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접근이 병행되지 않고서는 퇴보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언급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석용, 유효송(2021), "'비트코인' 비켜 한국은행이 만든 진짜 '디지털화폐' 나온다," 머니투데이, 4월 28일.
  2. 김열매(2017), "블록체인(Blockchain)과 디지털 경제," 유진투자증권, 11월 16일.
  3. 김우경(2021), "암호화폐 기후변화 대응 위한 국제협약 탄생," Impact On, 4월 14일.
  4. 김준상(2019), "A Survey of Cryptocurrencies based on Blockchai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4(2), 67-74. https://doi.org/10.9708/JKSCI.2019.24.02.067
  5. 김카니(2019), "암호화폐 채굴 및 거래과정...환경파괴 문제 심각," TVCC News, 6월 28일.
  6. 김형욱, 김상진, 김태진, 유형근(2019), "DID를 사용한 인증서 암호 복구," 벤처혁신연구, 2(2), 21-29. https://doi.org/10.22788/2.2.2
  7. 데이터 센터를 위한 이머전 쿨링(액침냉각), 2021. 12. 24, 3M Science.
  8. 박상돈(2019), "가상통화는 화폐금융상품 아니다...첫 국제 회계기준," 연합뉴스, 9월 23일.
  9. 박설민(2021), "'환경오염 논란'에 비트코인 '휘청'...해결책 없을까," 시사위크, 5월 25일.
  10. 박용주(2018), "가상화폐? 암호화폐? 가상통화?...명칭도 혼선," 연합뉴스, 1월 9일.
  11. 사이페딘 아모스, 위대선 역(2018), 달러는 왜 비트코인을 싫어하는가, 터닝포인트, 경기.
  12. 성연진(2021), "BoA '비트코인 채굴이 환경파괴'...전세계 전기소비의 0.6%," 헤럴드경제, 3월 23일.
  13. 손채현(2021), "파워렛저 코인 21% 상승하며 강세.. 어떤 코인이길래?," 금강일보, 12월 2일.
  14. 심재현(2017), "가상화폐, 채굴 실제 수익은 얼마나 될까," 머니투데이, 10월 25일.
  15. 애플망고, 2021. 10. 17, http://blog.naver.com/hdbmk/222540003015.
  16. 이병욱(2019), 블록체인 해설서, 에이콘출판(주), 서울.
  17. 이준호, 표철민, 전명산, 정수호, 한대훈, 한중섭(2021),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18. 장세형(2021), 비트코인.블록체인 바이블, 위키북스, 경기.
  19. 정병규(2019), "3D 프린팅 : 새로운 산업혁명인가?," 벤처혁신연구, 2(1), 1-11. https://doi.org/10.22788/2.1.1
  20. 정윤섭(2021), "머스크, '비트코인 결제중단' 폭탄선언...가상화폐 급락," 연합뉴스, 5월 13일.
  21. 정혜인(2021), "'비트코인 채굴업체'와 '원자력 업체'가 손잡는 이유는?," 머니투데이, 9월 27일.
  22. 조현승, 김상훈, 김승민(2019), 블록체인 산업 현황과 활용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 산업연구원.
  23. 커넥팅랩(2021), 블록체인 트렌드 2022-2023, 비즈니스북스, 서울.
  24. 크리스니타 크리들(2021), "비트코인: 전기 사용량 아르헨티나의 연간 사용량보다 많다," BBC News, 2월 11일.
  25. 한민지(2021), "ESG체제에 따른 유럽연합의 대응과 동향-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법과 기업 연구, 11(2), 3-36.
  26. Barker, K.(2020), "UN Global E-Waste Monitor 2020 Predicts Electronic Waste Volume to Reach 74 Million Tonnes by 2030," Recycling Product News, August 05.
  27. Bukele, N., 2021. 06. 09, https://twitter.com/nayibbukele/status/1402680890057166858.
  28. Carlsten, M., H. Kalodner, A. Narayanan, and S. Matthew Weinberg(2016), "On the Instability of Bitcoin Without the Block Reward," Proceedings of the 2016 ACM SIGSAC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154-167.
  29. Comparing the Carbon Footprint of Gold and Bitcoin, 2021. 06. 28., Visual Capitalist.
  30. Hern, A.(2021), "Waste from One Bitcoin Transaction 'like binning two iPhones'," The Guardian, 2021. 09. 17.
  31. Patrizio, A.(2022), "인텔, 스타트업 GRC와 손잡고 액침 냉각 '정조준'," Network World, 1월 20일.
  32. Satoshi, N.(2018),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2018 Annual National Semina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