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Indirect Experiences and Role Model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간접 경험 및 롤 모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장수진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경영학) ;
  • 정병규 (성결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22.04.15
  • Accepted : 2022.05.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mpirically analyze which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To this end, self-achievement motivation, indirect experience, role model, awareness of entrepreneurs, and fear of business failur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s factors influenc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is, 399 valid samples for the general public were analyzed. SPSS 25.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elf-achievement motivation, indirect experience, role model, awareness of entrepreneurs, and fear of business failure all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elf-achievement motiv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ndirect experiences and role models such as theoretical entrepreneurship lectures, special entrepreneurship lectures, and parents or acquaintances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본 연구는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자아성취동기, 간접경험, 롤모델, 사업가에 대한 인식, 실패부담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유효한 데이터 399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PSS 25.0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자아성취동기, 간접경험, 롤모델, 사업가에 대한 인식, 실패부담감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도 자아성취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론형 창업강좌, 창업특강, 부모나 지인들의 창업 유무 등 간접경험과 롤모델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은, 주병철(2018), "청년창업자의 동기요인이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31(5), 1621-1640.
  2. 김상수(2018), 고학력 베이비붐 세대에게 사회적지지가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3. 김성훈, 남정민(2016), "대한민국 창업생태계 현황 및 인식 연구: 창업가, 예비창업가, 학생을 중심으로 현황 및 인식 비교분석," 벤처창업연구, 11(6), 175-183. https://doi.org/10.16972/APJBVE.11.6.201612.175
  4. 김정곤, 나승권, 장종문, 이성희, 노수연(2016), "디지털경제의 진전과 산업혁신정책의 과제: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KIEP연구보고서, 16(15), 1-65.
  5. 매일경제, "제2의 벤처창업붐, 일관된 정부 정책으로부터," 2022. 5. 27.
  6. 서동철(2014), 대학생의 롤모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7. 신윤철, 은태욱, 이용진, 김진수(2007), "공업고 BizCool 운영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2), 103-131.
  8. 안진아(2008), 역할모델 및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와 진로 포부의 관계: 여대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9. 양대현(2016), 대기업 근로자의 조기퇴직과 창업의도와의 관계 연구: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10. 유봉호(2015),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동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0(3). 51-60. https://doi.org/10.16972/APJBVE.10.3.201506.51
  11. 육창환(2015), 창업가의 특성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12. 윤남수(2012), "잠재적 창업자의 창업동기요인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산업경제연구, 25(2), 1537-1557.
  13. 이수지(2012), 창업참여도가 메시지 평가와 자기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년 대학생의 롤모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4. 이재은, 강지원, 김춘광(2017),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2(3), 193-214.
  15. 이재호(2015), "창업생태계의 국제간 비교를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과 창업활성화 방안,"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7-89.
  16. 이제경, 문승규, 김현진, 염미영(2009), "대학에서의 학사경고 예방을 위한 대학적응 및 경력설계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연구프로젝트보고서.
  17. 이홍장(2016), 창업환경과 기업가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혁신, 효율, 요소 주도형 국가별 차이 분석,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18. 임윤서(2016), "대학생의 진로 선택을 위한 역할모델의 우연 경험 연구: 청년기업가의 경력성공과정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4(2), 329-363. https://doi.org/10.35151/KYCI.2016.24.2.016
  19. 임은미(2011),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과 개입요인 탐색," 상담학연구, 12(2), 447-466. https://doi.org/10.15703/KJC.12.2.201104.447
  20. 임지영, 김근면, 고국진(2017), "간호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성격특성, 창업교육 요구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분석학회지, 19(6), 3361-3377.
  21. 정연우, 반성식(2008), "청소년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3(1), 45-67. https://doi.org/10.24878/TKES.2008.3.1.45
  22. 정용회, 하규수(2012), "예비창업자 개인적 특성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예비창업자 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통경영학회, 15(4), 41-53.
  23. 조준희, 김찬중(2015),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과 창업참여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18(4), 53-75.
  24. 하규수(2012), "사업에 대한 태도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욕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19(5), .59-74.
  25. Arenius, P. and M. Minniti(2005), "Perceptual Variables and Nascent Entrepreneurship," Small Business Economics, 24(3), 233-247. https://doi.org/10.1007/s11187-005-1984-x
  26.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7. Bosma, N., J. Hessels, V. Schutjens, and M. V. Prag(2011), "Entrepreneurship and Role Model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33(2), 410-424. https://doi.org/10.1016/j.joep.2011.03.004
  28. Buunk, A. P., J. M. Peiro, and C. Griffioen(2007), "A Positive Role Model May Stimulate Career Oriente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7(7), 1489-1500.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7.00223.x
  29. Cacciotti, G. and J. Hayton(2015), "Fear and Entrepreneurship: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Reviews, 17(2), 165-190. https://doi.org/10.1111/ijmr.12052
  30. Conroy, D. E. and A. J. Elliot(2004), "Fear of Failure and Achivement Goals in Sport: Addressing the Issue of the Chicken and the Egg," Anxiety, Press, and Coping, 17(3), 271-285. https://doi.org/10.1080/1061580042000191642
  31. Fishbein, M. and I. Aizen(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32. Gnyawali, D. R. and D. S. Fogel(1994), "Environments for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Key Dimensions and Research Implica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4), 43-62. https://doi.org/10.1177/104225879401800403
  33. Johnson, B. R. (1990), "Toward a Multidimensional Model of Entrepreneurship: The Cas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Entrepreneu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4(3), 39-54. https://doi.org/10.1177/104225879001400306
  34. Krueger, N. F. (1993), "The Impact of Prior Entrepreneurial Exposure on Perceptions of New Venture Feasibility and Desirability," Entreprenership Theary and Practice, 18(1), 5-21. https://doi.org/10.1177/104225879301800101
  35. Landier, A. (2005), "Entrepreneurship and the Stigma of Failure," Available at SSRN 850446.
  36. Leung, K. Y., C. T. Lo, H. Sun and K. F. Wong(2012), "Factors Influencing Engineering Stu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n-campus Entrepreneurial Activities,"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15, 1-19.
  37. Maslow, A. H. (1946), "Problem-centering vs. Means-centering in Science," Philosophy of Science, 13(4), 326-331. https://doi.org/10.1086/286907
  38. McClelland, D. C. (1961), The Achieving Society, Princeton, NJ: Van Nostrand.
  39. McGrath, R. G. (1999), "Falling Forward: Real Options Reasoning and Entrepreneurial Fail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1), 13-30. https://doi.org/10.2307/259034
  40. Mitchel, J. R. and D. A. Shepherd(2011), "Afraid of Opportunity: The Effects of Fear of Failure on Entrepreneurial Action,"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31(6), 195-209.
  41. Murray, H. A. (1938), Explorations in Personality, NY: Oxford University Press.
  42. Ronstadt, R. (1985), "The Educated Entrepreneurs: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American Journal of Small Business, 10(1), 7-23. https://doi.org/10.1177/104225878501000102
  43. Scott, M. G. and D. F. Twomey(1988), "The Long-term Supply of Entrepreneurs; Student's Career Aspiration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26(4), 5-13.
  44. Shapero, A. and L. Sokol(1982),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In Kent, C. A., D. L. Sexton and K. H. Vesper(Eds.), Encylclopedia of Entrepreneurship,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5. Scherer, R. F., J. S. Adams, S. S. Carley and F. A. Wiebe(1989), "Role Model Performance Effects on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Career Preferenc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3(3), 53-72. https://doi.org/10.1177/104225878901300306
  46. Timmons, J. A. (1994),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Sydney: Irwin.
  47. Weinberg, R., D. Gould and A. Jackson(1979),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An Empirical Test of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4), 320-331. https://doi.org/10.1123/jsp.1.4.320
  48. Wyrwich, M., M. Stuetzer and R. Sternberg(2016), "Entrepreneurial Role Model, Fear of Failure, and Institutional Approval of Entrepreneurship: A Tale of Two Regions," Small Business Economics, 46(3), 467-492. https://doi.org/10.1007/s11187-015-96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