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atus and Direction of the Nursing Hospital Certification System

요양병원 인증제도의 현황과 방향에 대한 연구

  • Park, Jong-won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Suwon Women's University)
  • 박종원 (수원여자대학교 보건행정과)
  • Received : 2022.03.11
  • Accepted : 2022.03.25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is study briefly compares the first-cycle certification of nursing hospitals with the second-cycle certification, reviews the changes and achievements of the second-cycle certification and the third-cycle certification, and examples of challenges and solution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third-cycle certification.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e the practical effect of certification intended by the government, the exhibition is prepa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efore certification. Seco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sing hospital certification system, research on the hospital performance of the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is insufficient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refore, in order to see the effect on the certification system, various research support is also required so that research on this can be actively conducted. Third, design certification standard guidelin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so that the standard guidelines for certification do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certify not only the guidelines but also individual standards and forms that can be used by medical institutions. Fourth, in the four-cycle certification, accurate and realistic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and quarantine ward operation support should be developed. The importance of managing infectious diseases will be highlighted in the future due to COVID-19. Fifth, medical institutions can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in nursing hospitals and have competitiveness if their daily activities, not short-term certification preparation,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certification standards, which affects performance. Sixth, when preparing for certification, nursing hospital officials have problems in organizing documents or processing administratively in the short term as in the past. This is also based on the certification criteria for the usual business process.

본 연구는 요양병원 1주기 인증과 2주기 인증을 간단히 비교해 보고, 또 2주기 인증과 3주기 인증의 변화 및 성과를 검토하고, 인증 3주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당면과제와 해결방안을 사례로 살펴봄으로써 요양병원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주고 인증제도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부가 의도하는 인증의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인증 전 단기간에 준비하는 전시성 행정이 아니라 항상 인증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직원을 두거나 기존의 환자안전관리 담당자 등을 통하여 항상 의료의 질향상을 대비하는 시스템을 만들도록 제도적인 규정이나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둘째, 요양병원 인증제 시행 이후 의료기관인증제도가 병원성과에 미치는 연구가 질적/양적인 측면에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인증제에 대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적 지원도 필요하다. 셋째, 인증에 대한 표준지침이 크게 변경되지 않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증 표준 지침서를 설계하고, 지침서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준 개별 규정, 양식도 인증원에서 제작하여 배포하고 각 의료기관에서는 현장에 맞게 수정만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의료기관들의 부담은 훨씬 줄어들 것이다. 넷째, 4주기 인증에서는 감염관리와 격리병동 운영지침 등에 대한 정확하고 현실감 있는 지침이 개발되어야 한다. 코로나 등으로 앞으로는 감염병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다섯째, 의료기관에서는 단기간의 인증 준비가 아닌 평소의 활동들을 인증 기준에 맞추어 실행한다면 요양병원의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고 경쟁력을 가질 수 있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섯째, 요양병원 관계자들은 인증을 준비함에 있어서 과거처럼 단기적으로 서류를 정리하거나 행정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이것 또한 역시 평소의 업무 프로세스를 인증기준에 맞춰 설계하여야 하며, 대부분의 업무 절차를 규정하고 지표화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요양병원협회(2021), 2020 요양병원백서.
  2. 김경숙(2016), "요양병원 인증 2주기 당면과제 및 해결방안," 병원경영학회지, 21(3), 65-70.
  3. 박종원(2021),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 4(1), 39-50. https://blog.naver.com/kmacforever/222657406312 https://doi.org/10.22788/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