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자기록 관점에서 본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특성 및 활용 방안 이전 및 거래 가능한 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Fungible Token(NFT) and Application Plans from the Digital Records Perspective : Focused on Transferable Records

  • 원주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소현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오효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투고 : 2022.06.30
  • 심사 : 2022.07.10
  • 발행 : 2022.07.30

초록

NFT(Non-Fungible Token)는 문자 그대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특정한 가상 자산을 블록체인에 기록한 디지털 파일이다. 토큰의 거래를 거치며 해당 자산의 소유권, 거래 내역 등의 이벤트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므로 위조와 변조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NFT는 특정한 가상 자산을 고유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며 이는 전자기록의 기본 속성과 깊게 관련된 측면이 있다. 본 논문은 기록관리에 NFT 기술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디지털 저작물로서 자산의 성격을 가지며 이전 및 거래가 가능한 전자기록물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NFT의 개념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및 저작권 등 제도적 이슈, 자산으로서의 가치 증명 원리를 살펴본다. 특히, 예술, 패션, 스포츠 등 NFT가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분야에서 NFT의 특성이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전자기록의 특성과 NFT의 특성을 비교하여 전자기록에 적용 가능한 요소를 규명함으로써 NFT의 적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전자기록물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활용 가능성과 기록관리 내 도입을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NFT is literally a 'non-fungible token', a digital file that records specific virtual assets on a blockchain. Events such as ownership of the asset and transaction history are recorded on the blockchain through the token transaction, so counterfeiting and falsification are impossible. Therefore, NFT is used as a tool that can uniquely represent a specific virtual asse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FT from a records management point of view and to find ways to use them, and focuses on digital record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ssets as digital works. For this purpose, we first examine the basic concept of NFT and the principle of ownership and proof of value as an asset for digital work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how the advantages of NFT were applied through NFT use cases in various fields, and in particular, areas related to audio-visual records such as art, music, sports, and fashion were focused on. Furthermore,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records with those of NFT, factors applicable to electronic records were identified. Finally, the types of digital records that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he application of NFT were identified,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and discussion points for introduction in records management are presented.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도 전북대학교 연구기반 조성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NRF-2019S1A5B8099507).

참고문헌

  1. 김민정, 박재우 (2021). NFT 기술을 활용한 한국 애니메이션 디지털 M&L 수익창출 방안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7(3), 7-25.
  2. 남부성, 유근우, 윤종배, 전정민, 홍충선 (2019). Non-fungible Token 을 이용한 미술품 이력관리 방안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70-1972.
  3. 왕호성, 문신혜, 한능우 (2020). 블록체인 트랜잭션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기록관리 적용 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4), 81-105.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4.081
  4. 유영문 (2020). 표준 전자문서 이관 시 발생하는 무결성 보장 및 오류 해결에 대한 제언,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3), 1-21.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3.001
  5. 이경남 (2019).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진본인증 모형 연구, 기록학연구, 59(1), 47-78.
  6. 이기영, 김익한 (2019). 기록관리시스템 블록체인 기술 적용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60, 317-358. https://doi.org/10.20923/kjas.2019.60.317
  7. 이진영, 조규선 (2021). 최신 NFT 기술의 이해와 활용. 한국정보기술학회지, 19(1), 7-11.
  8. 이호신, 정경희 (2020). 기록관리기관은 문화유산기관인가? 저작권법의 고아저작물 예외규정에서 기록관리기관 배제 문제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4), 169-184.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4.169
  9. 최도훈 (2019). 국내 민간 기록물의 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기록관리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대학원 기록물관리학과.
  10. 최성원, 이승목, 고중언, 김현지, 김정수 (2021). 대체불가능토큰(NFT)기반 블록체인 게임의 비즈니스모델 혁신요소연구 : 게임 내 디지털 자산 유통 플랫폼 '플레이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1(2), 123-137. https://doi.org/10.7583/JKGS.2021.21.2.123
  11. Government of Canada (2017). Electronic records as documentary evidence. National Standard of Canada CAN/CGSB-72.34-2017(Supersedes CAN/CGSB-72.34-2005).
  12. Hilary Jenkinson (1937). A Manual of Archive Administration, 2 ed., London: Percy Lund, Humphries & Co. Ltd.
  13. Victoria L. Lemieux (2017). A typology of blockchain recordkeeping solutions and some reflections of their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archival preservation, 2017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14. 국가기록원 (2020a).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패키지 기술규격 - 제1부 XML로 포맷화된 방식(NEO2)(v2.2).
  15. 국가기록원 (2020b). 전자기록물 장기보존패키지 기술규격 - 제2부 디렉토리로 구조화된 방식(NEO3)(v1.0)
  16. 김현경 (2021). 저작권 관점에서 NFT에 대한 미국의 관련법적 검토, 한국저작권보호원.
  17. 김형지 (2021). NFT 저작권 관련 산업의 해외 사례와 동향, 한국저작권보호원.
  18. 오영택 (2020). 블록체인 요소 기술 및 전자문서 서비스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9. 왕호성 (2018). 블록체인과 기록관리의 미래 : 영국 TNA ARCHANGEL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기록인(IN). 44호, 64-73.
  20. 민경식, 김관영, 박진상 (2021). NFT 기술의 이해와 활용, 한계점 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21. 이장우 (2021). NFT, 디지털 세상의 원본을 증명하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2. 이재선 (2022).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 Part 3. 이슈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된 가상자산, 하나금융투자.
  23. 전재림 (2021). NFT(Non Fungible Token)을 둘러싼 최근 이슈와 저작권 쟁점, 한국저작권위원회 이슈리포트.
  24. 최지혜 (2021). NFT: 메타버스 시대로 가는 첫 번째 발판, Hexlant.
  25. 성소라, 롤프 회퍼 & 스콧 맥러플린 (2021). NFT 레볼루션. 더퀘스트
  26. 김익현 (2022. 01. 21). AP통신, NFT로 역사에 '진본'도장 찍다, ZD Net Korea. https://zdnet.co.kr/view/?no=20220112212601
  27. 도요한 (2021.11.05.). 훈민정음 해례본 NFT, 해외서도 통했다...NFT 부문 '최우수상' 수상, 토큰포스트. http://www.tokenpost.kr/article-74923
  28. 정영일 (2022. 03. 07). '해킹.자전거래 논란' NFT, 결국 규제대상 오르나, 파이낸셜 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203071802014967
  29. 조아라 (2022. 02. 25). 정부, NFT 저작권 가이드라인 이르면 3월 공개... 위반시 검찰 통보도, 조선일보.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2/24/2022022401869.html
  30. 특허청 (2022.01.18.). '대체불가능토큰(NFT) 품은지식재산' 밑그림 그린다,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22778&topic=L&pp=20&datecount=&recommend=&pg=
  31. Susan Decker (2021. 05. 28). "UC Berkeley's latest fundraising idea? Auction data that helped win a Nobel Prize as an NFT", FORTUNE. https://fortune.com/2021/05/28/uc-berkeley-nft-nobel-prize-cris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