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o. 2020R1A6A1A03040516)
참고문헌
- 권미자.정기주(2021). 국립중앙과학관과 대덕연구개발특구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문화 프로그램 융합적 협력사례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2), 27-38.
- 김동광(2002). 과학과 대중의 관계 변화. 과학기술학연구, 2(2), 1-23.
- 김승규.한현택.박종래(2021). 이공계 대학생이 참여하는 청소년 교육용 과학관 전시 컨텐츠 개발. 공학교육연구, 24(3), 11-20. https://doi.org/10.18108/JEER.2021.24.3.11
- 김지연(2018). 한국의 시민과학이 전하는 메시지: 1982~2018. 과학기술학연구, 18(2), 43-93. https://doi.org/10.22989/JSTS.2018.18.2.002
- 김지예.서수경(2016).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대학박물관 기초사례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56), 3-14.
- 김지현(2015).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대한 대학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413-436.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413
- 김형주 외(2016). 지역 기반의 지식트라이앵글에서 대학의 역할 강화 방안. 정책연구, 1-258.
- 김환석(2010). 과학기술 민주화의 이론과 실천. 경제와 사회, 12-39.
- 류재훈.유영만(2018). Heidegger 존재론에 비추어 본 교육공학 재개념화: 처방의 의미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4(3), 649-678.
- 박문수 외(2013). 대학의 기업가적 역할 확대와 국내 연구중심대학의 경향: POSTECH 사례를 중심으로. 창조와 혁신, 6(2), 81-110. https://doi.org/10.22834/PDS.2013.6.2.81
- 박종래(2003). 디지털세대의 커뮤니케이션 전시. 일본전시학회, (34), 4.
- 박종래(2006). 과학계박물관의 전시공간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츠쿠바대학 인간종합과학 연구과.
- 박진희(2018). 한국 시민과학의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학연구, 18(2), 7-41. https://doi.org/10.22989/JSTS.2018.18.2.001
- 신향숙.문만용(2021). 국가의 대표 과학문화기관으로서 국립중앙과학관의 이상과 현실. 과학기술학연구, 21(3), 38-65.
- 양시은(2014). 대학구성원으로서 박물관의 역할과 과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4, 113-131.
- 이세민(2016). [제405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지역기반 지식 트라이앵글. 과학기술정책, 26(10), 34-41.
- 이윤준.김정호(2021).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경쟁력 평가: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의 비교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16(2), 25-59.
- 현혜정.문형욱(2013). 성인의 과학문화 참여 확산을 위한 과학관 전시 연계 융합프로그램 방향제안.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13(1), 437.
- 한경희(2005). 공학소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과학기술정책(152), 106-117.
- 한경희(2014).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공학교육연구, 17(2), 50-58.
- 허상성.이민규(2019). 국립부산과학간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 및 효율적 조직운영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4(3), 269-299.
- 현재환.홍성욱(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12(2), 33-79.
- 홍대길(2021). 과학관의 탄생. 지식의 날개.
- 홍성욱 외(2002). 선진국 대학연구체계의 발전과 현황에 대한 연구. 정책연구, 1-249.
- Bonney, R. et al.(2009). Citizen science: a developing tool for expanding science knowledge and scientific literacy. BioScience, 59(11), 977-984. https://doi.org/10.1525/bio.2009.59.11.9
- Bonney, R. & Phillips, T. B.(2016). Can citizen science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25(1), 2-16. https://doi.org/10.1177/0963662515607406
- Eitzel, M. V. et al(2017). Citizen science terminology matters: exploring key terms. Citizen Science, 2(1), 1-20. https://doi.org/10.5334/cstp.96
- Etzkowitz, H. & Leydesdorff, L.(200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29(2), 109-123.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55-4
- Irwin, A.(2011). 시민과학 (김명진, 김병수, 김병윤 역). 당대. (1995).
- Latour, B.(2012). 과학인문학 편지 (이세진 역). 사월의 책. (2010).
- Ziman, J.(1991).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16(1), 99-105. https://doi.org/10.1177/016224399101600106
- 木村佐枝子(2014). 大学と社会貢献. 創元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