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ssessment System for Fishing Communities in Korea

어촌지역 지속가능 발전지표 적용 연구

  • Byoung-Cheol Ahn (Department of Real Est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ae-Su Lee (Department of Real Esta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2.08.16
  • Accepted : 2022.12.09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diagnosing and analyzing the lev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each fishing communities by apply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dex in the fishing communities to support the policy of revitalizing the fishing communities. In terms of methodology, diagnostic indicators for rural areas were us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and three categories, five fields and 27 indicator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collecting opinions from experts. After deriving the weight for each indicator in detail, the final sustainable development index of the fishing communities was applied to fishing village frater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cases in fishing communities, policy support should be implement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regional decline factors and potential growth factors. In the population and social secto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reduce population and reduce aging. In the industrial and economic sectors, fishing activation and systematic support for fishing-related industries should be provided. In the marine and built environment sector, the government's active project execution and budget support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fishing communities and establishing revitalization plan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식.전택기.배승종(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16(3), 27-41.
  2. 김대영.박상우.이헌동.백진화(2016), 어촌환경 변화에 따른 어촌공동체 발전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87.
  3. 김영택.최수영.김호균.임상봉(2014), "농촌마을 유형별 평가지표체계 구축", 농촌계획, 20(1), 37-49.
  4. 김은정(2012), "건강도시 지표 및 지수 개발과 수도권 지역의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161-180.
  5. 김재한(2007), "우리나라 대도시의 지속가능발전성 비교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3), 235-253.
  6. 김재현.정수정.태유리.장주연.김성진(2010), "농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델파이분석", 농어촌 관광연구, 20(1), 1-25.
  7. 김지효.손호기.채혜성.김상범(2018),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촌관광 서비스 지표개발 연구", 관광연구, 33(7), 195-213.
  8. 모혜란.박형근.조진희.이한수(2014), "농촌지역 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4(6), 1,925-1,935.
  9. 박병호.김준용(2010),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지방도시 동태적 쇠퇴유형 연구", 지역연구, 26(2), 3-17.
  10. 송미령.성주인.심재헌.서형주(2020), 2020 지역발전지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29.
  11. 안병철(2022), "어촌지역 특성별 지속가능 발전지표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12. 안병철.이재수(2021a), "어촌계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 비교.분석", 수산경영론집, 52(1), 83-99.
  13. 안병철.이재수(2021b), "어촌지역 지속가능 발전지표 개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4), 155-180.
  14. 안병철.이재수(2022), "어촌지역 지속가능 발전지표의 중요도 분석 연구", 국토계획, 57(3), 174-190.
  15. 이서구(2020), "어촌 소멸위험의 영향 요인 분석", 수산경영론집, 51(1), 67-79.
  16. 이연호(2010), "지속가능발전정책 거버넌스의 평가", 동서연구, 22(1), 7-45.
  17. 이재혁.이희연(2012),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7(6), 853-869.
  18. 이창수.박지훈(2018), 신 어촌계 분류 평정 체계개발,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1-154.
  19. 이희연.심재헌.노승철(2010), "도시 내부의 쇠퇴실태와 공간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13-26.
  20. 장문현(2021), "농촌의 다원적 재생을 위한 지역진단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공간빅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 역지리학회지, 27(2), 199-214.
  21. 장문현.이민석.김화환(2016), "지방 대도시의 도시재생정책 지원을 위한 쇠퇴지표 적용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0(4), 455-473
  22. 장철순.김주훈(2017). "경쟁력 지표를 통한 노후산업단지 진단과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재생사업지구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245-258.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245
  23. 최수명.조영재.김영주(2007), "친환경적 마을정비를 위한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농업생명과학연구, 41(3), 79-87.
  24. 최치훈(2019), "마을어업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31(4), 179-204.
  25.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3), 국가인권지수 개발을 위한 지표선정 및 지수개발, 국가인권위원회, 1-330.
  26. 한상미.이명훈(2019), "도시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지표 적용에 관한 연구 -UN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목표 11을 중심으로-", 부동산 경영, 19, 7-27.
  27.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March 26, 2010, from http://www.undocunments.net/ocf-02 htm#1.
  28. 구글지도, https://www.google.co.kr/maps.
  29. 수협중앙회(2021), 어촌계 분류평정 및 현황.
  30. 통계지리정보서비스 https://sgis.kostat.go.kr/view/index.
  31.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2. 해양수산부 https://www.mo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