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오설미, 최송식. 노인의 디지털 정보수준이 신기술 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기술적 자기효능감과 이용성과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21;76(4):137-170. https://doi.org/10.21194/kjgsw.76.4.202112.137
- 허성호.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18(9):9-15. https://doi.org/10.14400/JDC.2020.18.9.00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보고서.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보고서 번호: 제120017호.
- 배영임, 신혜리. 코로나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경기연구원 보고서. 수원: 경기연구원; 2020 05. 보고서 번호: 416.
- 엄사랑, 신혜리, 김영선.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분석: 정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20;23(2):31-54. https://doi.org/10.22896/karis.2020.23.2.002
- Morris MG, Venkatesh V, Ackerman PL.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employee decisions about new technology: An extension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2005;52(1):69-84. https://doi.org/10.1109/tem.2004.839967
- 강한나, 안순태. 기술수용모델을 통한 노인의 건강 관련 정보통신기술 신문 보도 분석. 한국소통학보. 2019;18(2):7-45. https://doi.org/10.22902/jsmcr.2019.18.2.001
- 신혜리, 윤희정, 김수경, 김영선. 디지털 헬스기기의 통합적 고령자 기술수용도 모델.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18(8):201-215. https://doi.org/10.14400/JDC.2020.18.8.201
- Heereink M, Krose BJA, Evers V, Wielinga BJ. Assessing acceptance of assistive social agent technology by older adults: The Almer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2010;2(4):361-375. https://doi.org/10.1007/s12369-010-0068-5
- 주수산나, 최봄이, 전혜정.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 태도 및 기술사용 의향 관련 요인. 한국융합과학회지. 2021;10(5):289-309. https://doi.org/10.24826/KSCS.10.5.19
- 황남희, 김혜수, 김경래, 주보혜, 홍석호, 김주현.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보고서 번호: 2020-46.
- Parasuraman A.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a multiple-item scale to measure readiness to embrace new technologie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2000;2(4):307-320. https://doi.org/10.1177/109467050024001
- Lin JC, Hsieh P. The role of technology readiness in customers' perception and adoption of self-service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2006;17(5):479-517. https://doi.org/10.1108/09564230610689795
- 김효진, 강성배. 비대면 시대 소비자의 기술준비도가 무인점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 융합. 2021;43(11):665-686. https://doi.org/10.33645/cnc.2021.11.43.11.665
- 최자은, 유동호. 관광 산업 내 소비자의 성별과 위험 수준이 모바일앱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준비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020;27(3):23-43. https://doi.org/10.21052/KCMR.2020.27.3.02
- Ajzen I. Construct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questionnaire. TPB Questionnaire construction. 2006:1-7. https://people.umass.edu/aizen/pdf/tpb.measurement.pdf
- Francis J, Eccles MP, Johnston M, Walker AE, Grimshaw J, Foy R, et al.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anual for health services researchers. Newcastle upon Tyne, UK: Centre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2004:1-42.
- 정인구, 손조기, 윤성준. 혁신제품 수용의향에 관한 연구: 통합기술수용이론, 기술준비도와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2020;25(4):89-121. https://doi.org/10.37202/KMMR.2020.25.4.89
- 이인엽, 김동규, 최철환. 시뮬레이션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기술준비도가 기술수용의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 간 비교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2022;20(1):1-12. https://doi.org/10.46669/kss.2022.20.1.001
- Davis F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989;13(3):318-339. https://doi.org/10.2307/249008
- 정미라, 하영미, 양승경. 근로자의 건강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7(6):337-349.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6.031
- 김태중. 기술준비도 2.0과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스포츠 웨어러블기기 수용의도 예측. 한국체육학회지. 2018;57(3):193-204. https://doi.org/10.23949/kjpe.2018.05.57.3.15
- 장영은. 노인의 특성이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19;24(2):209-215. https://doi.org/10.9708/jksci.2019.24.0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