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STM 기반 배수지 수위 변화 예측모델과 적합성 평가 연구

A Study on LSTM-based water level prediction model and suitability evaluation

  • 이은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분석본부 호남지원) ;
  • 박형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분석본부 호남지원) ;
  • 김은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분석본부 호남지원)
  • 투고 : 2022.03.07
  • 심사 : 2022.05.09
  • 발행 : 2022.06.30

초록

배수지는 정수처리 된 물을 급수하기 위해 정수물을 모아두는 저장소로서, 물의 수요량에 따라 급수량을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배수지의 수위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현재 배수지 내에 수위 계측 센서를 설치하여, 가압장의 펌프운영을 통해 배수지의 최적 수위를 관리하고 있으나, 센서의 오작동 및 통신두절 등 사고대응을 관리자 감시에 의존하고 있어, 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시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하여, 배수지의 수위 변화 예측 인공지능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배수지 수위 변화 예측모델의 현장적용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위 데이터의 결측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실제 수위 변화값과 예측된 수위 변화값의 비교를 통하여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Water reservoir is defined as a storage space to hold and supply filtered water and it's significantly important to manage water level in the water reservoir so as to stabilize water supply by controlling water supply depending on demand. Liquid level sensors have been installed in the water reservoir and the pumps in the booster station facilitated management for optimum water level in the water reservoir. But the incident responses including sensor malfunction and communication breakdown actually count on manager's inspection, which involves risk of accidents. To stabilize draining facility management, this study has come up with AI model that predicts changes i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reservoir. Going through simulation in the case of missing data in the water level to verify stability in relation to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prediction model for water level changes in the reservoir, the comparison of actual change value and predicted value allows to test utility of the model.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주요사업의 과제로 수행된 연구결과이며, 2021년 지능정보시스템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배수지 수위예측 모델 적합성 평가"로 포스터 발표 논문을 확장한 것임을 밝힙니다.

참고문헌

  1. 김강민, 최정욱, 강두선, 강민구, 김병섭, "실시간 송수펌프 최적운영 시스템 개발," Water for Future, 제48권, 제12호, 43-50쪽, 2015년 12월
  2. 신강욱, 김주환, 양재린, 홍성택, "단기 물 수요예측 시뮬레이터 개발과 예측 알고리즘 성능평가," 상하수도학회지, 제25권, 제4호, 581-589쪽, 2011년 8월
  3. 안지훈, 김진화,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상수이용현황 분석 및 단기 물 수요예측 방법 비교," 한국빅데이터학회지, 제1권, 제1호, 9-17쪽, 2015년 12월
  4. 이호준, 조미규, 천세진, 한정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낙동강 하구 염분농도 예측,"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1권, 제2호, 31-38쪽, 2022년 3월
  5. 이혜승, "효율적 관망운영방법 모색을 통한 유수율 향상 방안,"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년 2월
  6. 이진현, 김선숙, 조영흠, 박경우, "다중 회귀 분석을 활용한 보일러의 공사비 예측 모델 개발,"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제14권, 제4호, 311-320 쪽, 2020년 8월
  7. 김종화, 최종후, 강창완, "순환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시계열 비교예측,"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1권, 제4호, 1771-1779쪽, 2019년 8월
  8. S. Hochreiter, J. Schmidhuber, "Long Short Term Memory," Neural Computation, Vol. 9, No. 8, pp. 1735-1780, Nov. 1997. https://doi.org/10.1162/neco.1997.9.8.1735
  9. 신성호, 이미경, 송사광, "LSTM 네트워크를 활용한 농산물 가격 예측 모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416-429쪽, 2018년 11월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416
  10. 이태석, 강승식, "LSTM 기반의 sequence-sequence 모델을 이용한 한글 자동띄어쓰기,"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4호, 17-23쪽, 2018년 12월 https://doi.org/10.30693/SMJ.2018.7.4.17
  11. 정성호, 이대업, 이기하, "딥러닝을 이용한 잠수교 수위예측",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135쪽, 경주, 대한민국, 2018년 5월
  12. 박세현, 김현재, "하천 범람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수위 예측 시스템 설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24권, 제2호, 198-203쪽, 2020년 2월 https://doi.org/10.6109/JKIICE.2020.24.2.198
  13. 정재원, 모혜림, 이준형, 유영훈, 김형수, "LSTM 기반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섬진강 구례교 지점의 홍수위 예측", 하천방재, 제21권, 제3호, 193-201쪽, 2021년 3월
  14. 이종혁, "LSTM과 양방향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주가예측모델 비교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2
  15. 임명진, 김선미, 신주현, "미세먼지와 진료과목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연관성 예측 방법,"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3호, 22-28쪽, 2018년 9월 https://doi.org/10.30693/SMJ.2018.7.3.22
  16. 조경우, 정용진, 강철규, 오창헌, "미세먼지 예측을 위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적합성 평가,"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23권, 제1호, 20-26쪽, 2019년 1월 https://doi.org/10.6109/JKIICE.2019.2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