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odern Implication and Religious Value of Medicine Buddha Faith

약사여래 신앙의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 고찰

  • 김정숙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 Received : 2022.05.11
  • Accepted : 2022.05.23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n implication and religious value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According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edicine Buddha faith was reviewed based on various literature, including Bhaisajyaguru Sutra, a representative literature on Medicine Buddha, and the two key goals of Medicine Buddha faith were set up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dern implication and religious value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the modern implication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First, the Medicine Buddha faith promotes a shift in the perspective that disease is the subject of healing, not treatment. Second, the Medicine Buddha faith expands diseases not only to medical diseases but also to disabilities and makes them an object of healing. Third, the Medicine Buddha faith promotes healing through performance that strengthens the positivity of the mind. Next is the religious value of the Medicine Buddha faith. First of all, the Medicine Buddha faith has strong religious acceptance. Second, the Medicine Buddha faith is characterized by being accepted by modern people beyond religion and s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ma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pain in their daily lives due to diseases and unnatural death.

본 연구는 약사여래 신앙의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약사여래에 관한 대표적 문헌인 『약사경』을 비롯해 여러 문헌 자료에 기초해 약사여래 신앙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을 하였고, 뒤이어 약사여래 신앙의 2가지 핵심 지향점인 질병의 치유와 횡사의 구제를 종류 및 유형, 방법으로 구분해 분석 틀을 설정한 뒤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약사여래 신앙이 갖는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약사여래 신앙이 갖는 현대적 의미이다. 약사여래 신앙은 첫째, 질병이 치료가 아닌 치유의 대상이라는 관점 전환을 촉진한다. 둘째, 약사여래 신앙은 질병을 의학적 질환뿐만 아니라 장애로까지 확대하여 치유의 대상으로 삼는다. 셋째, 약사여래 신앙은 마음의 긍정성을 강화하는 수행을 통해 치유를 도모한다. 다음 약사여래 신앙이 갖는 신앙적 가치이다. 약사여래 신앙은 첫째, 신앙적 수용성이 강력하다. 둘째, 약사여래 신앙은 종교와 종파를 뛰어넘어 현대인에게 수용되고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질병과 횡사 등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인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일묵, 사성제: 괴로움과 괴로움의 소멸, 불광출판사, 2020.
  2. 김재권, 유근자, 하유진, 유부현, 고전탐독 04: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치유하는 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8.
  3. 김은아, "통일신라 약사여래상에 대한 연구," 불교미술사학, 제19집, pp.7-38, 2015.
  4. 아라키 준, "일제강점기 경주 남산 삼릉계 약사여래좌상 반출 경위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제53권, 제4호, pp.150-168, 2020.
  5. 허형욱, 한국 고대의 약사여래 신앙과 도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 임남수, "고대한국 약사신앙의 전개양상과 조상,", 사림, 제24호, pp.73-100, 2005.
  7. 정병삼, "신라 약사신앙의 성격: 교리적 해석과 신앙활동," 불교연구, 제39호, pp.57-88, 2013.
  8. 남희근, 약사경 강의(원제: 약사경적세계관, 설순남 역), 부키(주), 2016.
  9. 김혜완, "신라의 약사신앙: 약사여래 조상을 중심으로,"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pp.317-319, 정음문화사, 1985.
  1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1. 사찰문화연구원, 갓바위 부처님: 선본사 사지, 사찰 문화연구원, 1996.
  12. 김주영, 불교의 약사경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3.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대정장」 14, 407하). "若有病人 欲脫病苦。當爲其人。七日七夜受持八分齋戒。應以飮食及餘資具。隨力所辦供養苾芻僧。晝夜六時禮拜供養彼世尊藥師琉璃光如來。讀誦此經四十九遍。然四十九燈。造彼如來形像七軀。一一像前各置七燈。一一燈量大如車輪。乃至四十九日光明不絶。造五色綵幡長四十九[打-丁+桀]手。應放雜類衆生至四十九。可得過度危厄之難".
  14.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대정장」14, 414하). "曼殊室利 若見男子女人有病苦者 應當一心為彼病人清淨澡漱 或食或藥或無蟲水呪一百八遍與彼服 食所有病苦 悉皆消滅 若有所求指心念誦 皆得如意無病延年 命終之後 生彼世界 得不退轉乃至菩提."
  15.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대정장」14, 414하). "南謨薄伽伐帝 鞞殺社窶嚕 薜琉璃缽喇婆 曷囉闍也呾他揭多也 阿囉喝帝 三藐三勃陀也呾姪他唵 鞞殺逝鞞殺逝 鞞殺社三沒揭帝 莎訶".
  16.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대정장」14, 406중). "以彼世尊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及聞名號當知是處無復橫死亦復不為諸惡鬼神奪其精氣 設已奪者還得如故身心安樂."
  17.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대정장」14, 406중)」 (「대정장」14, 406하). "若有淨信善男子善女人等欲供養彼世尊藥師琉璃光如來者應先造立彼佛形像敷清淨座而安處之 散種種花 燒種種香 以種種幢幡莊嚴其處 七日七夜受持八分齋戒 食清淨食澡浴香潔著新淨衣應生無垢濁心無怒害心於一切有情起利益安樂慈悲喜捨平等之心鼓樂歌讚右繞佛像復應念彼如來本願功德讀誦此經思惟其義演說開示. 隨所樂求一切皆遂。求長壽得長壽。求富饒得富饒。求官位得官位。求男女得男女."
  18. 석즈루, "약사불 연명신앙과 5-6세기 중국에서의 치병 및 연명에 대한 민간 신앙적 관념," 동화사 국제학술세미나 자료집, 약사신앙학회, 2013.
  19. 「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대정장」14, 402하). "此諸四衆比丘比丘尼優婆塞優婆私。及餘信心善男子善女人等。受八分齋。或復一年或復三月受持諸戒。以此善根隨所喜樂隨所願求。若欲往生西方極樂世界阿彌陀如來所者。由得聞彼世尊藥師琉璃光如來名號故。於命終時有八菩薩。乘空而來示其道徑。卽於彼界種種異色波頭摩華中自然化生.
  20. 고장원, "과학만능주의가 자초한 불행한 미래," 주간경향, 통권1349호, p.74, 2019.
  21. 정하선, 김녹현, 박선하, 이은희, 이태희, 조현정, 장애인복지론, 공동체, 2018.
  22. R. D. Wimmer and J. R. Dominick, Mass Media Research, Cengage Learning,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