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Ways of Improving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mall Rural Middle Schools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영어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 방안 사례연구

  • Received : 2022.03.10
  • Accepted : 2022.05.10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the small rural middle schools. In order to do this, the situations and demands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through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Having separated the country into 5 distinct regions and the cases of 10 small rural middle schools across these regions of the country were directly observ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following problems: 1) insufficient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of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in terms of curriculum, 2)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cultural space in rural areas in terms of local communities, and 3)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in small-scale middle schools in rural areas in terms of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Based on the discussed issu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or the improvement and support of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irstly, the autonomy in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s for small rural middle schools should be greatly expanded so that integrated schools or joint curriculums between schools can be operated in a robust manner. Secondly, it needs to strengthen the out-of-school support for small rural middle schools alongside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including the operation of Edu buses and th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educational and cultural cent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difficulties of operating circuit teachers by systematically expanding the pool of teachers and instructors, and managing teachers and instructors at the level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학생 면담과 수업관찰을 통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 2개교 씩 총10개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측면에서 통합운영학교의 학교(급) 간 교육과정 연계 미흡, 지역사회 측면에서 농어촌 지역 내 교육 시설 및 문화 공간 부족, 교사 수급 측면에서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사 수급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 필요와 같은 쟁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논의된 쟁점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내실 있는 학교(급) 간 통합운영학교 및 공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 측면에서 농어촌 지역 내 교육 시설 및 문화 공간 부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교육 및 문화 중심지로서의 학교 공간 혁신과 학생 교육활동 안전 및 편의성 증진을 위한 교통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측면에서 순회교사 운영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청 수준에서 교·강사 인력풀의 체계적인 확대 및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kess.kedi.re.kr/stats/school, 2022.2.14.
  2. 김남순, "전남지역의 소규모 학교 실태와 경영개선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연구, 제93권, pp.15-48, 1993.
  3. 박선하, "소규모학교의 통.폐합 관련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15권, 제2호, pp.44-79, 1997.
  4. 전라남도교육청, 적정규모학교 육성[학교 통.폐합] 추진 계획, 2008.
  5. 장재은,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교육 관련 제도 개선방안 연구, 2012.
  7. 강원도교육청, 2020 주요업무계획, 2020.
  8. 경상북도교육청, 2020 주요업무계획, 경북교육 2020-1, 2020.
  9. 전라남도교육청, 전남교육 2020, 2020.
  10. 교육부, 적정규모 학교 육성 및 분교장 개편 권고 기준, 학교정책과-7112, 2015.
  11. 이미숙, 조보경, 이수정, 이상아, 조기희, 농어촌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경험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9-8, 2019.
  12. 이형빈, "소규모학교 교육과정의 미래지향적 가능성 탐색," 교육비평, 제44권, pp.182-206, 2019.
  13. 이형빈,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기전문화연구, 제41권, 제2호, pp.93-116, 2020.
  14. 석혜정, 서명화, 주철안, "교육과정 운영 자율화 소규모학교의 조직 효과성 사례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제20권, 제3호, pp.1-28, 2013.
  15. 이가원,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 교사 교육의 방향 미국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다문화 교과목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473-48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473
  16. 임보현, 허근, "5-6학년군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연구: 2009년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473-483, 2020.
  17. 윤홍주, "소규모학교 교육재정의 문제와 개선방안,"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3권, pp.23-51, 2014.
  18. 정영식,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온라인수업 제도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500-50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500
  19. 면담 자료1, A중학교 교원 면담 전사자료, 2020.4.28.
  20. 면담 자료2, I중학교 교원 면담 전사자료, 2020.9.3.
  21. 수업 관찰 자료1, B중학교 수업 관찰 기록지, 2020.5.12.
  22. 수업 관찰 자료2, C중학교 수업 관찰 기록지, 2020.7.21.
  23. 수업 관찰 자료3, E중학교 수업 관찰 기록지, 2020.7.20.
  24. 민용성, 권점례, 박상복, 김영은, 조기희, 가은아, 정성수,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 및 지원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7,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