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NRF-2017S1A5B8A02072579)로 2022년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연합학술대회 포스터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참고문헌
- 강영순, 김종남 (2012). 자기이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 분노조절 및 자아분화에 미치는 효과. 뇌교육연구, 10, 106-128.
- 김경혜, 공경혜 (2004).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중심으로. 아동중심실천연구, 1(1), 113-126.
- 김선경, 안도현 (2015). 학교상담: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효과적인 학부모 상담 전략. 상담학연구, 16(5), 323-338. https://doi.org/10.15703/KJC.16.5.201510.323
- 김은영, 이재용, 박성희 (2018). 학부모 상담 과정에 관한 초등 학부모의 체험분석. 초등상담연구, 17(2), 177-200. https://doi.org/10.28972/kjec.2018.17.2.177
- 김종민, 최은아 (2018).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경향과 자기체계 역량 증진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2), 275-305. https://doi.org/10.22590/ecee.2018.22.2.275
- 김한별, 정여주 (2018).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8(16), 489-508.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6.489
- 나유미, 임연진 (2003). 자녀의 일상생활에 대한 부모의 관리와 청소년의 일탈행동,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4(3), 87-98.
- 문태형 (2002).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49-63.
- 박새롬, 이강이 (2021).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동유형에 따른 참여 결정요인 탐색. 인간발달 연구, 28(3), 167-190. https://doi.org/10.15284/kjhd.2021.28.3.167
- 박새롬, 홍예지, 이강이 (2020).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육역량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7(3), 165-184. https://doi.org/10.15284/kjhd.2020.27.3.165
- 박서이, 김영, 최지수, 이강이 (2020). 모의 자기체계능력 및 학부모교육 참여와 초등 2학년생의 학교적응변화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819-838.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819
- 박성연, 도현심, 정승원 (1996).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학지사.
- 박정란 (2002). 초등학교 학부모가 교사에게 기대하는 실제상담의 비교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서보윤 (2008). 초등학교 2-6학년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련. 초등교육연구, 21(3), 467-489.
- 신숙재, 정문자 (1998).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 연은모, 최효식 (2019).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효능감, 자녀의 집행기능곤란, 학교적응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261-285.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6.261
- 이강이, 그레이스정, 이현아, 최인숙 (2013). 2012년 학부모의 자녀교육 및 학교참여 실태조사 연구(학부모정책-수시-2013-01). 서울: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http://family-school.snu.ac.kr/new/sub3/3_2.php?mode=view&number=145&b_name=data4&page=1&keyfield=subject&key=2012에서 2022년 6월 12일 인출
- 이강이, 진미정, 이재림, 김영선 (2019).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교육참여 양상과 변화 연구(학부모정책-기본-2019-01). 서울: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http://family-school.snu.ac.kr/new/sub3/3_1.php?mode=view&number=318&page=1&b_name=data2&keyfield=subject&key=2019에서 2022년 6월 12일 인출
- 이수현, 이강이, 이재림, 김영선, 유예진 (2018).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과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양육 역량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5(3), 181-202. https://doi.org/10.15284/kjhd.2018.25.3.181
- 이은해, 이미리 (1996).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과 양육곤란도 지각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61-78.
- 장영애, 박정희 (2008).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2), 69-85.
- 장혜진, 윤은주 (2014).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실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295-317.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295
- 정계숙, 견주연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과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 삶의 만족도의 매개 효과. 인문학논총, 35, 113-143.
- 정계숙, 견주연, 최은아, 김지연 (2015).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29-15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129
- 정계숙, 고은경, 박희경, 차지량 (2014).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가정과 삶의질연구, 32(2), 53-75. https://doi.org/10.7466/JKHMA.2014.32.2.53
- 정계숙, 노진형 (2006). 부모역할에 대한 자기반성의 부모교육을 위한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79-105.
- 정계숙, 박희경, 차지량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 척도 단축형의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6(2), 535-560.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2.023
-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박희경 (2013). 메타분석을 통한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65-387.
-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 정미라, 차기주, 주연진, 김민정 (2015). 취업모의 직장 내 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433-454.
- 정은화, 김지영, 이현아, 이강이 (2020).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이 모의 양육 수행 역량에 미치는 영향: 모의 부모-자녀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41(2), 89-101. https://doi.org/10.5723/kjcs.2020.41.2.89
- 정정화, 홍예지, 이강이 (2019). 초등학교 전이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역량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추정과 영향요인 및 결과요인 검증. 인간발달연구, 26(4), 115-138. https://doi.org/10.15284/kjhd.2019.26.4.115
- 조형숙, 김명하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271-293.
- 최준섭 (2020).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정서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교육연구, 33(1), 1-30. https://doi.org/10.29096/JEE.33.1.01
- 최형성, 정옥분 (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 허승희, 박성미 (2005).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학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의 요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18(1), 19-38.
- 황성온, 박성혜 (2012).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3), 117-142.
- Barnes, J. A. (1954). Class and committees in a Norwegian island parish. Human relations, 7(1), 39-58.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102
-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 Cochran, M., Larner, M., Riley, D., Gunnarsson, L., & Henderson Jr, C. R. (1993). Extending families: The social network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Fine, M. J. & Henry, S. A. (1989). Professional issues in parent education. In M. J. Fine (Ed.),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udcation: Contemporary Perspectives (pp. 3-20). Academic Press.
- Kerr, M., & Stattin, H. (2000). What parents know, how they know it, and several forms of adolesent adjustment : Further support for a reinterpretation of monitor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6(3), 366-380. https://doi.org/10.1037/0012-1649.36.3.366
- Mitchell, J. C. (Ed.). (1969).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s: analyse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entral African town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 Rychen, D. S. & Salganik, L. H. (2000).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Retrieved June 12, 2022 from https://www.deseco.ch/bfs/deseco/en/index/02.parsys.69356.downloadList.26477.DownloadFile.tmp/2000.desecocontrib.inesg.a.pdf
- Wellman, B. (1981). Applying network analysis to the study of support.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4, 17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