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ypes of Chang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During Their Children's 2nd to 3rd Grades of Primary School and Their Predictive Factors: Focusing on the Changes in Self-System Competency,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and Social Networking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2-3학년 시기 양육역량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자기체계역량, 학교생활 파악수준, 담임교사 상담횟수 및 사회관계망 변화를 중심으로

  • 최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 조혜령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 김영선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22.05.27
  • Accepted : 2022.06.1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and predictive factors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ies during their children's second to third grades in primary school.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We classified 373 mothers into three groups, 'reduced' parenting competency, 'maintained' parenting competency, and 'increased' parenting competency, and conducted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decreased between their children's 2nd year and 3rd year in primary school. Second, the 'reduced', 'maintained', and 'increased' group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with homeroom teachers, and social networking. Thir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and social networking predicted the increas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predicted the maintenance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has revealed the chang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and its predictive factors after the second year in primary school. How to support the growth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was also discussed.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NRF-2017S1A5B8A02072579)로 2022년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연합학술대회 포스터 발표한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References

  1. 강영순, 김종남 (2012). 자기이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 분노조절 및 자아분화에 미치는 효과. 뇌교육연구, 10, 106-128.
  2. 김경혜, 공경혜 (2004).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중심으로. 아동중심실천연구, 1(1), 113-126.
  3. 김선경, 안도현 (2015). 학교상담: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효과적인 학부모 상담 전략. 상담학연구, 16(5), 323-338. https://doi.org/10.15703/KJC.16.5.201510.323
  4. 김은영, 이재용, 박성희 (2018). 학부모 상담 과정에 관한 초등 학부모의 체험분석. 초등상담연구, 17(2), 177-200. https://doi.org/10.28972/kjec.2018.17.2.177
  5. 김종민, 최은아 (2018).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경향과 자기체계 역량 증진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2), 275-305. https://doi.org/10.22590/ecee.2018.22.2.275
  6. 김한별, 정여주 (2018).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담임교사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8(16), 489-508.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6.489
  7. 나유미, 임연진 (2003). 자녀의 일상생활에 대한 부모의 관리와 청소년의 일탈행동,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4(3), 87-98.
  8. 문태형 (2002).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49-63.
  9. 박새롬, 이강이 (2021).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동유형에 따른 참여 결정요인 탐색. 인간발달 연구, 28(3), 167-190. https://doi.org/10.15284/kjhd.2021.28.3.167
  10. 박새롬, 홍예지, 이강이 (2020).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육역량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7(3), 165-184. https://doi.org/10.15284/kjhd.2020.27.3.165
  11. 박서이, 김영, 최지수, 이강이 (2020). 모의 자기체계능력 및 학부모교육 참여와 초등 2학년생의 학교적응변화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819-838.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819
  12. 박성연, 도현심, 정승원 (1996).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학지사.
  13. 박정란 (2002). 초등학교 학부모가 교사에게 기대하는 실제상담의 비교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서보윤 (2008). 초등학교 2-6학년 아동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련. 초등교육연구, 21(3), 467-489.
  16. 신숙재, 정문자 (1998).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17. 연은모, 최효식 (2019).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효능감, 자녀의 집행기능곤란, 학교적응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261-285.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6.261
  18. 이강이, 그레이스정, 이현아, 최인숙 (2013). 2012년 학부모의 자녀교육 및 학교참여 실태조사 연구(학부모정책-수시-2013-01). 서울: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http://family-school.snu.ac.kr/new/sub3/3_2.php?mode=view&number=145&b_name=data4&page=1&keyfield=subject&key=2012에서 2022년 6월 12일 인출
  19. 이강이, 진미정, 이재림, 김영선 (2019).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교육참여 양상과 변화 연구(학부모정책-기본-2019-01). 서울: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http://family-school.snu.ac.kr/new/sub3/3_1.php?mode=view&number=318&page=1&b_name=data2&keyfield=subject&key=2019에서 2022년 6월 12일 인출
  20. 이수현, 이강이, 이재림, 김영선, 유예진 (2018).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과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양육 역량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5(3), 181-202. https://doi.org/10.15284/kjhd.2018.25.3.181
  21. 이은해, 이미리 (1996).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과 양육곤란도 지각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61-78.
  22. 장영애, 박정희 (2008).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2), 69-85.
  23. 장혜진, 윤은주 (2014).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실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295-317.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295
  24. 정계숙, 견주연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과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 삶의 만족도의 매개 효과. 인문학논총, 35, 113-143.
  25. 정계숙, 견주연, 최은아, 김지연 (2015).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29-15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129
  26. 정계숙, 고은경, 박희경, 차지량 (2014).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가정과 삶의질연구, 32(2), 53-75. https://doi.org/10.7466/JKHMA.2014.32.2.53
  27. 정계숙, 노진형 (2006). 부모역할에 대한 자기반성의 부모교육을 위한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79-105.
  28. 정계숙, 박희경, 차지량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 척도 단축형의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6(2), 535-560.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2.023
  29.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박희경 (2013). 메타분석을 통한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65-387.
  30.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31. 정미라, 차기주, 주연진, 김민정 (2015). 취업모의 직장 내 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433-454.
  32. 정은화, 김지영, 이현아, 이강이 (2020).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이 모의 양육 수행 역량에 미치는 영향: 모의 부모-자녀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41(2), 89-101. https://doi.org/10.5723/kjcs.2020.41.2.89
  33. 정정화, 홍예지, 이강이 (2019). 초등학교 전이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역량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추정과 영향요인 및 결과요인 검증. 인간발달연구, 26(4), 115-138. https://doi.org/10.15284/kjhd.2019.26.4.115
  34. 조형숙, 김명하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271-293.
  35. 최준섭 (2020).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정서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교육연구, 33(1), 1-30. https://doi.org/10.29096/JEE.33.1.01
  36. 최형성, 정옥분 (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37. 허승희, 박성미 (2005).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학부모, 교사 및 학교행정가의 요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18(1), 19-38.
  38. 황성온, 박성혜 (2012).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3), 117-142.
  39. Barnes, J. A. (1954). Class and committees in a Norwegian island parish. Human relations, 7(1), 39-58.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102
  40.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41. Cochran, M., Larner, M., Riley, D., Gunnarsson, L., & Henderson Jr, C. R. (1993). Extending families: The social network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Fine, M. J. & Henry, S. A. (1989). Professional issues in parent education. In M. J. Fine (Ed.),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udcation: Contemporary Perspectives (pp. 3-20). Academic Press.
  43. Kerr, M., & Stattin, H. (2000). What parents know, how they know it, and several forms of adolesent adjustment : Further support for a reinterpretation of monitor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6(3), 366-380. https://doi.org/10.1037/0012-1649.36.3.366
  44. Mitchell, J. C. (Ed.). (1969).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s: analyse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entral African town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5. Rychen, D. S. & Salganik, L. H. (2000).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Retrieved June 12, 2022 from https://www.deseco.ch/bfs/deseco/en/index/02.parsys.69356.downloadList.26477.DownloadFile.tmp/2000.desecocontrib.inesg.a.pdf
  46. Wellman, B. (1981). Applying network analysis to the study of support.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4, 17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