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Studies on Scientific Research of Mycologist Sam Soon KIM

균학자 김삼순 연구활동의 과학사적 접근

  • 선유정 (경남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
  • 김근배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Sam Soon KIM was a female scientist who pioneered mycology in South Korea. She not only created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nd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but also achieved extraordinary results in the studies of mycology. After returning from Kyushu University in Japan in 1966, she turned her attention to the applied research of microorganisms. Kim pursued an earnest exploration of the practical values of bacteria in addition to those of fungi and mushrooms. Then, with the foun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in 1972, she emerged as the central figure in the rare academia of mycology. Particularly, mushroom research, which had been stagnant, became revitalized by the joining of researchers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aking this as momentum, Kim moved beyond applied research, such as mushroom cultivation, and led the mushroom name unification plan from 1978. She also studied mushroom classification and eventually launched publishing an illustrated book of mushrooms. These fruits of her long-term research trajectory led her to be known as a mushroom expert.

Keywords

References

  1. 새가정사 편집부. 농학박사 김삼순씨. 새가정 1975;243:66-7.
  2. Sun YJ. The emergence of a pioneering female scientist in Korea: Biographical Research on Sam Soon Kim. Asian Women 2019;35:69-89. https://doi.org/10.14431/aw.2019.12.35.4.69
  3. 선유정. 일제강점기 일본과 조선의 여성과학자-쓰지무라 미치요와 김삼순의 비교연구. 아시아문화연구 2021;55:107-39. https://doi.org/10.34252/ACSRI.2021.55..005
  4. 선유정, 김근배. 한국에서의 느타리버섯 연구 궤적-재배기술의 돌파구를 연 김삼순. 한국과학사학회지 2022;44:35-64.
  5. 김희숙. 버섯 연구 공간의 형성: 한국균학회 창립과 초기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Tomita G, Kim SS. Substrate effect on heat inactivation of Taka-amylase A. Nature 1965;205:46-8. https://doi.org/10.1038/205046a0
  7. Tomita G, Kim SS. Inhibition of photo-inactivation of Taka-amylase A by halogen ions. Nature 1965;207:975-6. https://doi.org/10.1038/207975a0
  8. 박승엽 외. 우리나라 연구기관의 연구능력 조사에 관한 연구: 연구소 편. 과학기술처 1972;135:319-320.
  9. 응용미생물연구소. 서울여자대학 응용미생물연구소. 1971.
  10. 半澤九. 半澤洵先生小伝(2)-応用菌学講座の創設と納豆菌純粋培養法の確立. 北海道大學總合博物館 ポランティア ニユース 2019;54:5-9.
  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 제7절 버섯. 한국농정50년사 제2권 상. 농림부 1999;1689-92.
  12. 강춘기. 배양종균에 의한 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법. 육림 1958;22:24-30.
  13. 이태수. 미루나무버섯 인공재배와 균사발육에 대한 실험적 고찰. 충북대학교논문집 1960;1:10-6.
  14. 서울여자대학 미생물연구소. 버섯재배에 관한 조사연구. 과학기술처 1968.
  15. 서울여자대학 부설 미생물연구소. 버섯 Pleurotus ostreatus 재배에 관한 조사연구 제2보 농학. 문교부 1969.
  16. 김삼순. 취원회고록. 나의 걸어온 길. 대한민국학술원 1983.
  17. 김대겸. 신년특별대담: 한국 버섯발전 선구자 김삼순 박사 한국버섯연구회장 차동열 박사. 월간 버섯 1999;1:33.
  18. 이항민. 최신 느타리버섯 재배법. 농림신문사출판부 1971.
  19. 김수영, 김재욱. 납두 제조중의 단백질 peptide 및 amino acid의 변화에 관한 연구. 농화학회지 1967;8:11-20.
  20. 박계인, 성현순. 청국장 제조에 관한 연구 (제1보) 유효세균의 분리.동정 및 우수균주 선정. 한국미생물학회지 1971;9:74-85.
  21. 김삼순. 한국산 Natto 제조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논문집 1971;1:177-84.
  22. 김삼순, 박성오, 이지열. 죽림 토양생 균류 자원의 연구. 서울여자대학논문집 1972;2:147-61.
  23. 고황경. 머리말. 농촌발전연구총서. 서울여자대학 농촌발전연구소 1974;2:1.
  24. 서울여자대학. 농촌발전연구소. 1981.
  25. 서울여자대학. 서울여대 20년사. 서울여자대학 출판부 1985;88.
  26. 문교부. 학술연구 조성비에 의한 연구보고서 색인 (1971-1973). 1972-1974.
  27. 김삼순. 일본의 식용버섯 실태조사. 한국균학회지 1973;1:39-43.
  28. 김삼순. 일본의 식용버섯 실태조사. 농촌발전연구총서. 서울여자대학 농촌발전연구소 1974;2:87-97.
  29. 石川達芳. マツタケ施業林分の環境因子解析に関する研究 1. 岡山大学農学部学術報告 1966;27:17-26.
  30. 石川達芳. マツタケ施業林分の環境因子解析に関する研究 2,3. 岡山大学農学部学術報告 1967;29:9-26.
  31. 김삼순. 송이버섯 발생림의 환경해석에 관한 연구 (제1보). 농촌발전연구총서. 서울여자대학 농촌발전연구소 1974;2:62-85.
  32. 김삼순, 김기주. 야생 버섯의 인공재배 가능성 검토.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1981;9:109-16.
  33. 김삼순, 김정균, 김기태. 고능력 Methane Gas 생성균에 관한 연구. 농촌발전연구총서. 서울여자대학 농촌발전연구소 1974;2:8-33.
  34. 김찬조, 최우영. Cellulase 생성균에 관한 연구 (제1보) 유용균의 분리 및 그 배양조건에 대하여. 농화학회지 1969;11:83-8.
  35. 정동효. Studies on cellulase Part 1. Isolation of cellulase forming microorganisms and properties of crude enzymes. 농화학회지 1969;11:109-17.
  36. 박성오, 김삼순, 김기주, 이지열. 농산물 폐물을 이용한 농후사료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1975;1:15-23.
  37. 김삼순, 김기주. 담자균류(擔子菌類)에 의한 섬유질류 분해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1975;3:1-6.
  38. 김삼순, 안용태. Chicory의 연화에 관한 연구. 농촌발전연구총서. 서울여자대학 농촌발전연구소 1975;3:36-40.
  39. 鹿島正安, 海考原謙. 紅茶きのに健康法. 主婦之友 1975;3.
  40. 박무일. 인기폭발! "홍차버섯" 배양에서 복용까지. 주간경향 1975;350:24-6.
  41. 김삼순. 홍차버섯. 한국균학회지 1975;3:35-7.
  42. 김삼순. 학회와 나-한국균학회 편. 과학과 기술 1975;8:51.
  43. 김삼순. 성지 김삼순 박사 회고록. 균학회소식 1989;1:6.
  44. 강미화. 한국 과학자사회와 정부의 관계 변화-1960-70년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5;113-8.
  45. 한국미생물학회. 한국미생물학회 50년사, 1959-2009. 2009;37-9.
  4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0년사(1973-2003). 2003;3-5.
  47. 이지열. 버섯생활백과. 경원미디어 2007;345-9.
  48.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 회원명부. 한국균학회지 1973;1:47-8.
  49.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 창립 25년사 (발전사, 인명록, 논문목록 및 색인, 1972-1997). 1997;9-10.
  50. 김삼순 외. 한국말 버섯 이름 통일안. 한국균학회지 1978;6:43-55.
  51. Singer R. The Agricales in modern taxonomy. Koeltz Scientific Books 1962.
  52. 今關六也, 本鄕次雄. 續原色日本菌類圖鑑. 保育社 1965.
  53. 김양섭. The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Amanita in Korea.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54. 김양섭과의 인터뷰 (2021. 5. 28; 2021. 12. 9).
  55. Kim SS, Lee JY, Cho DH. Notes on Korean higher fungi (III). The Journal of Seoul Women's College 1978;7:333-47.
  56. Cho DH, Kim SS, Lee JY, Kim BK. Notes on Korean higher fungi (V). Kor J Mycol 1979;7:75-82.
  57. Kim SS, Kim YS, Chung HC. Floral investigation of higher fungi in Korea. 학술원논문집 1979;18:31-43.
  58. Kim YS, Chung HC, Park YH, Kim SS. Floral investigation of higher fungi in Korea (II). 학술원논문집 1981;20:105-114.
  59. Kim SS, Kim YS. Ultrastructural observation of Basidiospores-1. 학술원논문집 1982;21:33-137.
  60. 이지열, 홍순우. 한국동식물도감 제28권 고등균류편 (버섯류). 문교부 1985.
  61. 이지열. 원색한국버섯도감. 아카데미서적 1988.
  62. 김삼순, 김양섭. 한국산 버섯도감. 유풍출판사 1990.
  63. 정후섭. 김삼순 명예 회장님을 추모함-김삼순 박사(1909~2001). 한국균학회지 2002;30:i.
  64. 박택규. 원로와의 대담: 우리나라 여성농학박사 1호 김삼순 박사. 과학과 기술 1993;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