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국방부 유해발굴단을 통해 발굴된 지역 유품 중 지상작전 사령부 전시관에 소장된 7건(정화제병, 독수리문양 단추, 계급장, 반합, M1 Grand-총기손질도구, 카빈완탄, 탄통)의 6·25 전사자 유품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FT-IR 분석 결과 정화제병 내부 잔존물이 Trisodium phosphate와 유사 스펙트럼으로 확인되어 전쟁 시 식수 및 식품 정화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3차원 디지털 촬영기법을 통해 육안으로 관찰이 어려운 탄통의 각인된 명문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미경 및 육안 관찰 등을 기초로 한 상태조사를 진행하여 각각의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을 수립하고 안정적인 처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다양한 전쟁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is and preservation treatment for the local 7 relics (depurator bottle, eagle patten button, rank insignia, mess tin, M1 Grand-gun cleaning tool kit, Carbine bullet, cartridge) of the fallen of Korean War excavated through the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 that are possessed in the exhibition hall of the Ground Operations Command. FT-IR analysis results show that remainder of depurator bottle is assumed to play a role of water and food purifier during the war for its spectrum similar to Trisodium phosphate, and inscription carved on the cartridge that is hard to observe with naked eyes was also confirmed through 3D digital shooting method. This study also established directivity of preservation treatment of relics for stable treatment by carrying out a survey of conditions based on the microscope and visual observation.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f future directivity of preservation treatment for a variety of war rel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