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al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for Single-Parent Families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 Song, Hyerim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
  •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Kang, Eunjoo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은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22.03.21
  • Accepted : 2022.05.09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family strength of single-parent families. We analyzed the everyday life and demands of single-parent families using the theory of family strength to draw 78 items that encompass family basis, relationships, roles, social networks and family culture. Using a sample of 286 single-parent families through an online survey platform, we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tems and selected 48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riterion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lso examined. The final scale comprised of five domains ; basis, parents' role, work-life balance, social network, lifestyle and household management. This scale can be used as an assessment measure of the family strength of single-parent families for consulting, case management and suggesting various programs in the field. This merit will help enhance the quality of programing for single-parent families at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scales for various types of families.

이 연구는 다양한 가정의 건강성 증진 이라는 건강가정정책 및 제 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강조점에 주목하여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 지표를 통해 현장의 한부모가족 사업 효율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개발한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는 특히 현장을 방문한 가족이 건강성 지표를 측정하여 강점과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컨설팅과 사례관리, 교육/상담/자조모임 등 프로그램과의 연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맞춤형의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방법과 절차로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가정의 건강성, 한부모가족의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의 영역을 검토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건강성 지표 초안을 마련하였고, 본조사의 결과를 통계분석하여 지표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 영역(기본적 토대, 부모역할, 일-생활 균형, 사회적 네트워크, 라이프스타일, 가정경영과 생애설계)5개 영역, 총 48개 항목으로 구성된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를 확정하였다. 이 연구가 개발하여 제시한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는 생활과학이나 가정관리학, 가정복지학 등의 고유한 관점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가정의 건강성은 생활과학, 가정관리학, 가정복지학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주제이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센터와 같은 현장에서 사업을 할 때 건강성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다른 기관 사업과의 차별화를 모색할 수 있다. 나아가 맞벌이가정, 다문화가족, 조손가족, 분거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정에게 적용할 수 있는 건강성 지표 개발의 선행 자료로서의 유용성도 함께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2. 고선강(2018). 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99-118.
  3. 고선강(2021).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의 부모와 10대 자녀의 가사노동 비교. 생활과학연구논총, 25(3), 13-29.
  4. 국가법령정보센터. 한부모가족지원법. https://www.law.go.kr.
  5. 김승희.이한나(2018). 한부모가족 형성과정에서 주거상태 변화와 주거이동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6(4), 167-188.
  6. 김태명.이은주(2017).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24(3), 313-333.
  7. 김행섭.김진숙(2008). 자녀 스트레스가 여성 한부모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9(4), 1567-1584. https://doi.org/10.15703/KJC.9.4.200812.1567
  8. 노영희.김상인(2016). 한부모의 자녀양육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9. 문무경(2017). 한부모가정의 자녀양육관 및 양육지원 요구 분석.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10. 박주연(2012).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한부모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23-46.
  11. 배다영, 진미정(2011). 한부모의 성별 및 가구구성별 경제적 여건의 차이. 가정과삶의질연구, 29(5), 11-140.
  12. 배윤진.조숙인.장문영(2017). 돌봄 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III): 한부모가족 특성별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13. 서울특별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2021). 한부모가족에게 꼭 필요한 맞춤형 정보 길라잡이.
  14. 서현석.진미정.도유록(2014). 한부모가족의 '학부모참여' 실태와 자녀교육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한부모가족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2), 181-201.
  15. 송혜림(2021). 대전시 1인가구, 건강가정지원센터(가족센터) 서비스 지원방안. 제 3회 대전가족포럼 기조강연.
  16. 송혜림(2022). 가족센터 프로그램 개발과 기획. 서울시센터 신규직원 역량강화교육 자료집.
  17. 송혜림.박정윤.진미정.고선강(2021). 1인가구 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5(1), 35-45. DOI : 10.22626/jkfrma.2021.25.1.003.
  18.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19. 여성가족부(2012). 제2차 가족실태조사. 서울 : 여성가족부.
  20. 여성가족부(2021a). 2020년 가족실태조사 분석보고서.
  21. 여성가족부(2021b). 2021년 가족사업안내(I)(II).
  22. 여성가족부(2021c). 2021년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23. 여성가족부(2021d). 제 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24. 오성은.김한성(2020). 사회적 배제가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31(1), 207-226.
  25.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26.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27. 유영주.이인수.김순기.최희진(2013).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II(KFSS-II)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13-129.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113
  28. 유호실.양세정(2019). 가계재무종합지수(HFCI)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12(1), 133-159. https://doi.org/10.36029/fpr.2019.02.12.1.133
  29. 윤소영(2013).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 행복한 생활을 위한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18.
  30. 윤소영.박두용(2014).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학연구, 12(1), 149-173. https://doi.org/10.22879/SLOS.2014.12.1.149
  31. 임춘희.고현(2021).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가족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6(3), 483-517.
  32. 전겸구.최상진.양병창(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6(1), 59-76.
  33. 정영금.박정윤.송혜림(2011).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77-197.
  34. 조병희(2015).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서울.
  35.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 신정 : 출판사.
  36. 최홍철.최현자(2014).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와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3), 93-125.
  37. 최희진.유영주(2003). 한국형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15-28.
  38. 통계청(2021a).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보도자료.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91020.
  39. 통계청(2021b). 2020년 혼인 이혼 통계.
  40.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2020.12.17).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보도자료.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59/view.do?nttId=10061804&menuNo=200690.
  41. 한경미(1992). 시간관리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논집, 2, 43-55.
  42. 한국 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2021.05). 2018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https://www.nypi.re.kr/archive/mps에서 인출.
  43. 허묘연(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44. 현은민(2004). 한부모가 인지한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자원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1(2), 167-189.
  45. 현은민(2019). 부자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관계: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30(1), 101-115.
  46. 현은민.임보래.장경문(2006).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관련 특성과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23-38.
  47. 황해익.송연숙.최혜진.손원경(2008). 영유아.아동 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서울 : 창지사.
  48. Hanson, T., McLanahan, S. & Thomson, E.(1998). Windows on Divorce: Before and After. Social Science Research, 27, 329-349. https://doi.org/10.1006/ssre.1998.0625
  49. Lyubomirsky, S. & Lepper, H. S.(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https://doi.org/10.1023/A:100682410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