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Use of Smart Devices by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노인의 스마트기기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자영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2.02.04
  • Accepted : 2022.03.17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ffect of the elderly's smart device use on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Institute in 2021. The responses of 3,211 people in their 60s or older who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tiliz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smart device utilization averaged 2.13 points out of 5, indicating that the actual utilization level was less than half. The use of smart device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which is a parameter, has been verified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at smart device use affect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to increase the smart device utilization rate of the elderly in Korea, improv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o that they can spend a happy old age.

본 연구는 노인의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미디어 패널조사를 활용하여 2차 자료분석 실시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60대 이상 3,21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기기 활용은 5점 만점 중 평균 2.13점으로 실제 활용 수준은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스마트기기 활용은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은 스마트기기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노인들의 스마트기기 활용율을 높이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행복한 노년을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 /859471.html
  2. 통계청, 2021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21.
  3.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3호, pp.305-332, 2011.
  4.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호, pp.125-158, 2008. https://doi.org/10.21194/KJGSW..41.200809.125
  5. 김동배, 박은영,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8호, pp.339-358, 2007. https://doi.org/10.21194/KJGSW..61.201309.339
  6. 김수봉,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제47호, pp.95-111, 2010. https://doi.org/10.21194/KJGSW..47.201003.95
  7. 김정헌, 오현숙, 송건섭, "노인복지 만족요인분석과 지방정부의 정책방향," 한국정책학회보, 제13권, 제1호, pp.133-155, 2004.
  8.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35732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20.
  10. 손연기,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 노인복지연구, 제8호, pp.7-29, 2000.
  11. 정승호, 김원택, "노인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신체 인지적 특성과 개념, 용어, 기술 이해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연구, 제13권, 제2호, pp.277-295, 2014.
  12. 이명성, 정보화 사회에서 스마트폰 이용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3.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14. 강월석, 스마트폰 정보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5. 박남영, 노인의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6. 백기훈, 봉진숙, 신용태,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보과학회논문지, 제42권, 제10호, pp.1207-1221, 2015.
  17. 이승민, "미국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 pp.29-52, 2012. https://doi.org/10.16981/kliss.43.2.201206.29
  18. 한국갤럽, 2012-2021 스마트폰 사용률 & 브랜드,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에 대한 조사, 2021.
  19. 조주은, "노인의 휴대전화 수용: 사용용이성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533-561, 2010.
  20. M. J. Salamon and V. A. Conte, The Salamon-Conte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Scale,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981.
  21. R. Schalock, Quality of Life, New York: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1996.
  22. 허준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4호, 여름호, pp.127-151, 2004.
  23.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24. 임주영, 전귀연,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 유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71-87, 2004.
  25. 김철진, 전남 영광지역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종교생활의 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6. 임우석, 사회적 자본과 노인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7. 이승명, 노인의 정보기술 활용이 여가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8. 김수경, 신혜리, 김영선,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3호, pp.23-34, 2020. https://doi.org/10.14400/JDC.2020.18.3.023
  29. C. Bothorel, C. Lohr, A. Thepaut. F. Bonnaud, and G. Cabasse, "From individual communication to social networks: Evolution of a technical platform for the elderly,"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6719, pp.145-152, 2011.
  30. 김학실, 심준섭,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30권, 제2호, pp.153-180, 2020. https://doi.org/10.23036/KAPAE.2020.30.2.006
  31.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 image, Princeton, New Yok: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se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1967.
  33. 김수연, 채명신, 정창덕, 홍유식, "모바일 통신기기 사용이 노인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TV학회 논문지, 제9권, 제6호, pp.219-226. 2009.
  34. R. Hoyle, M. Kernis, M. Leary, and M. W. Baldwin, Selfhood: Identity, esteem, regulation, Boulder, Colo.: Westview, 1999.
  3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6. 김이형, 농촌노인의 스마트폰 활용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 :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37.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article/201909131328001#c2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