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 /859471.html
- 통계청, 2021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21.
-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3호, pp.305-332, 2011.
-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호, pp.125-158, 2008. https://doi.org/10.21194/KJGSW..41.200809.125
- 김동배, 박은영,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8호, pp.339-358, 2007. https://doi.org/10.21194/KJGSW..61.201309.339
- 김수봉,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제47호, pp.95-111, 2010. https://doi.org/10.21194/KJGSW..47.201003.95
- 김정헌, 오현숙, 송건섭, "노인복지 만족요인분석과 지방정부의 정책방향," 한국정책학회보, 제13권, 제1호, pp.133-155, 2004.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3573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20.
- 손연기,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 노인복지연구, 제8호, pp.7-29, 2000.
- 정승호, 김원택, "노인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신체 인지적 특성과 개념, 용어, 기술 이해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연구, 제13권, 제2호, pp.277-295, 2014.
- 이명성, 정보화 사회에서 스마트폰 이용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강월석, 스마트폰 정보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박남영, 노인의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백기훈, 봉진숙, 신용태,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보과학회논문지, 제42권, 제10호, pp.1207-1221, 2015.
- 이승민, "미국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 pp.29-52, 2012. https://doi.org/10.16981/kliss.43.2.201206.29
- 한국갤럽, 2012-2021 스마트폰 사용률 & 브랜드,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에 대한 조사, 2021.
- 조주은, "노인의 휴대전화 수용: 사용용이성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533-561, 2010.
- M. J. Salamon and V. A. Conte, The Salamon-Conte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Scale,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981.
- R. Schalock, Quality of Life, New York: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1996.
- 허준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4호, 여름호, pp.127-151, 2004.
-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 임주영, 전귀연,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 유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71-87, 2004.
- 김철진, 전남 영광지역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종교생활의 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임우석, 사회적 자본과 노인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이승명, 노인의 정보기술 활용이 여가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김수경, 신혜리, 김영선,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3호, pp.23-34, 2020. https://doi.org/10.14400/JDC.2020.18.3.023
- C. Bothorel, C. Lohr, A. Thepaut. F. Bonnaud, and G. Cabasse, "From individual communication to social networks: Evolution of a technical platform for the elderly,"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6719, pp.145-152, 2011.
- 김학실, 심준섭,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30권, 제2호, pp.153-180, 2020. https://doi.org/10.23036/KAPAE.2020.30.2.006
-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 image, Princeton, New Yok: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se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1967.
- 김수연, 채명신, 정창덕, 홍유식, "모바일 통신기기 사용이 노인의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TV학회 논문지, 제9권, 제6호, pp.219-226. 2009.
- R. Hoyle, M. Kernis, M. Leary, and M. W. Baldwin, Selfhood: Identity, esteem, regulation, Boulder, Colo.: Westview, 1999.
-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김이형, 농촌노인의 스마트폰 활용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 :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article/201909131328001#c2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