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Organized Shortform Contents

재가공형 숏폼 콘텐츠의 특성 연구

  • 이진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윤현정 (강남대학교 글로벌문화학부) ;
  • 윤혜영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22.02.07
  • Accepted : 2022.05.05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re-organized shortform contents, which is centered on media companies to edit and service existing broadcast content. For this, KBS, MBC, SBS, JTBC, and tvN's entire drama videos and representative entertainment programs opened on the Naver TV platform from 2014 to 2021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a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 was conducted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was made, with the number and form of videos provided by both dramas and entertainment programs diversifying from a synchronic approac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ecial videos, the meaning as independent content was also strengthened, such as sequencing centered on characters, themes, and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umbnails and titles were also formalized as tags as paratexts that act as curation for searches.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it was found that re-organized shortform contents is considered to be character-oriented contents and independent viewing context through comparison with real-time views and original video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n attempt to capture the meaning and phase change of shortform contents, which was considered incidental.

본 연구는 미디어 기업이 중심이 되어 기존의 방송 콘텐츠를 짧은 분량으로 편집하여 서비스하는 재가공형 숏폼 콘텐츠의 의미와 특성을 밝힘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네이버 TV 플랫폼에 개설된 지상파 3사와 JTBC, tvN의 드라마 채널 전체 영상과 대표 예능 프로그램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통시적, 공시적 접근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통시적 관점에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모두 제공 영상의 개수와 형태가 다양해지는 등 양적, 질적 확장이 이루어졌다. 특히 기획형 영상의 경우 캐릭터, 주제, 소재 중심의 계열화가 나타나는 등 독립적 콘텐츠로서의 의미 역시 강화되고 있었다. 썸네일과 제목 역시 검색의 태그이자 큐레이션 역할을 하는 파라텍스트로 정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시적 관점에서는 실시간 조회수와 원본 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재가공형 숏폼 콘텐츠가 독립적인 시청 맥락을 가진 콘텐츠이자 캐릭터 중심의 콘텐츠로 여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수적으로 여겨지던 숏폼 콘텐츠의 의미와 위상 변화를 포착하는 시도로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방송실연자권리협회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 제58호, p.124, 2020.
  2. 강정빈, 이상원, "숏폼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pp.13-28, 2021.
  3. 유현중, 정해원, "숏폼 콘텐츠 유형과 청소년의 이용 동기가 콘텐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제7권, 제8호, pp.53-67, 2021.
  4. 서보윤, 장윤경, "숏폼 동영상 콘텐츠 표현 전략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49권, pp.127-147, 2021.
  5. 유남규, 김성훈, "가상현실(VR)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숏폼 동영상 콘텐츠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7권, 제1호, pp,261-270, 2021.
  6.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285, 2004.
  7.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284, 2004.
  8. 아즈마 히로키, 장이지 역,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현실문화연구, 2012.
  9. I. Bogost, Unit Operation: An Approach to Videogame Criticism, MIT Press, p.3, 2006.
  10. 최의식, "파라텍스트 분석에 의한 번역비평 시론 -발자크의 고리오 영감을 중심으로," 프랑스학연구, No.57, p.196, 2011.
  11. I. Bogost, Unit Operation: An Approach to Videogame Criticism, MIT Press, p.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