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Flourish and 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Child

보육교사의 플로리시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간 영향 관계에서 자기주도직무설계의 조절효과 탐색

  • 이재무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
  • 조경서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22.01.13
  • Accepted : 2022.02.16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e importance of the child-care teacher's job has recently been greatly emphasized due to changes in the transitional social environment, but the performance conditions are poor, requiring management of various job factor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practical appli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related to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selected Flourish, 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Child, and Job Crafting to verify the functional impact relationship and effectiveness. Since there are no domestic studies on child-care teachers using these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223 child-care teachers to obtain initi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ly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found in terms of Flourish according to age and Negative Job Demand Reduction according to working hours. And it was found that the Enhancement of Social Job Resources had a moderating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new job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study and to develop a highly effective reinforcement program for each factor.

보육교사 직무의 중요성은 최근 대전환적 사회 환경 변화로 인해 크게 부각되고 있지만 수행 여건이 상당히 열악하여 다양한 직무요인 측면의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관련된 실무적 활용과 제도적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플로리시,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자기주도직무설계를 선택하여 기능적 영향관계와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들 변수를 활용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내 연구가 부존하기 때문에 보육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위계적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시초적 정보를 취득하였다. 분석결과, 연령대에 따른 플로리시, 근무시간에 따른 부정적 직무요구 감소만 집단별 평균 차이가 확인되었고, 플로리시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선행하며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자기주도직무설계 중 사회적 직무자원 증진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직무 관리 전략을 새롭게 마련하고 실효성 높은 요인별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무, 조경서,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행동 간 영향 관계에서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574-586,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574
  2. C. Howes and M. Oerik,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Child Development, Vol.57, pp.202-216, 1986. https://doi.org/10.1111/j.1467-8624.1986.tb00021.x
  3. B. Spodekm,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114, No.1, pp.65-79, 1995. https://doi.org/10.1080/0300443951140106
  4. 이재무, 조성명, 송영선, "보육교사의 경력과 근무여건에 따른 조직신뢰가 어린이집 내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제13권, 제3호, pp.71-93, 2013.
  5. 이재무, 박용성, "보육교사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1-28, 2017. https://doi.org/10.5718/KCEP.2017.11.1.1
  6. 이재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신뢰에 미치 는 영향과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51-82, 2016.
  7. 이재무, 조경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4호, pp.509-519,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509
  8. W. Glasser, The quality school teacher, New York: Mcgraw-Hill Book, 1993.
  9. 고영자, 이완정, "유아교사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 유아와 교사의 권리 증진을 위한 일 연구," 아동과 권리, 제10권, 제1호, pp.1-22, 2006.
  10.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3권, 제3호, pp.215-232, 2009.
  11. 정효선, 윤혜현, "특급 호텔 종사원의 자기주도적 직무설계가 종사원의 열의, 혁신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4권, 제8호, pp.11-20, 2018. https://doi.org/10.20878/CSHR.2018.24.8.002
  12. 김성용, 배성현, 김현근, 안성익, "혁신행동에 대한 자기주도직무설계(Job Crafting) 행위의 효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3권, 제5호, pp.1-26, 2016.
  13. A. B. Bakker and M. P. Leiter,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2010.
  14. M. Tims, A. B. Bakker, and D. Derks, "Daily job crafting and the self-efficacy-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9, No.5, pp.490-507, 2014. https://doi.org/10.1108/JMP-05-2012-0148
  15. M. E. Seligman,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2002.
  16. M. E. Seligman,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Simon & Schuster, 2012.
  17.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135-159, 2016.
  18. 황해익, 탁정화,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pp.153-177, 2014.
  19. 임소성, 김진숙, "한국판 대학생 안녕감 척도 타당화 연구: 플로리싱과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상담학연구, 제19권, 제3호, pp.51-72, 2018. https://doi.org/10.15703/KJC.19.3.201806.51
  20. B. L. Fredrickson and M. F. Losada,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Vol.60, No.7, pp.678-686, 2005. https://doi.org/10.1037/0003-066X.60.7.678
  21. F. A. Huppert, "Psychological well being: Evidence regarding its causes and consequences," Applied Psychology: Health and Well Being, Vol.1, No.2, pp.137-164, 2009. https://doi.org/10.1111/j.1758-0854.2009.01008.x
  22. C. L. Keyes,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3, No.3, pp.539-548, 2005. https://doi.org/10.1037/0022-006X.73.3.539
  23. 장영숙,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및 교수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23호, pp.263-288, 2017.
  24. C. L. Keyes,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3, No.2, pp.207-222, 2002. https://doi.org/10.2307/3090197
  25. E. Diener, D. Wirtz, W. Tov, C. Kim-Prieto, D. W. Choi, S. Oishi, and R. Biswas-Diener, "New well-being measures: Short scales to assess flourishing and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97, No.2, pp.143-156, 2010. https://doi.org/10.1007/s11205-009-9493-y
  26. F. A. Huppert and T. T. So, "Flourishing across Europe: Application of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defining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10, No.3, pp.837-861, 2013. https://doi.org/10.1007/s11205-011-9966-7
  27. 김미진, 김병만, "유아교사용 다차원적 플로리시 척도의 타당화," 교사교육연구, 제58권, 제2호, pp.237-252, 2019. https://doi.org/10.15812/TER.58.2.201906.237
  28. 김미진,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사용 다차원적 플로리시 척도 개발," 아동교육, 제27권, 제3호, pp.5-29, 2018.
  29. 채혜경, 황해익,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7호, pp.1205-1232, 2020.
  30. 김진숙, 서영숙, "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8권, 제3호, pp.133-162, 2012.
  31. 김진숙,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2. G. Lansdown, The evolving capacities of the child. Florence, Italy: UNICEF Innocenti Reseach Centre, 2006.
  33. 임지영,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이 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 워라벨과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34.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179-201, 2001. https://doi.org/10.2307/259118
  35. M. Tims and A. B. Bakker,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6, No.2, pp.1-9, 2001.
  36. 이수연, 주52시간제 도입에 따른 변화된 업무강도와 자기주도 직무설계에 대한 연구 : 조직 및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37. 강혜정, 유연근무제가 근로자의 일 삶 양립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주도 직무설계(Job Crafting)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8. 김성용, 자기주도 직무설계(job crafting) 행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39. 원융희, 관광이미지, 백산출판사, 2003.
  40. P. Baiden and E. Fuller-Thomson, "Factors associated with achieving complete mental health among individuals with lifetime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46, No.4, pp.427-446, 2016. https://doi.org/10.1111/sltb.12230
  41. C. L. Keyes and G. J. Westerhof, "Chronological and subjective age differences in flourishing mental health and major depressive episode," Aging & mental health, Vol.16, No.1, pp.67-74, 2012. https://doi.org/10.1080/13607863.2011.596811
  42. 김혜진, 다차원 플로리시 척도 타당화 연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43. 강현미, 황해익,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1권, 제4호, pp.167-187,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