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lter Bubble Phenomenon by Echo Chamber in Social Media

소셜미디어에서 에코챔버에 의한 필터버블 현상 개선 방안 연구

  • 조진형 (숭실대학교 글로벌미디어학부) ;
  • 김규정 (숭실대학교 글로벌미디어학부)
  • Received : 2022.02.22
  • Accepted : 2022.04.17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information encountered on social media, algorithm-based recommendation formats selectively provide inform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which often causes a filter bubble effect by an Echo Chamber. Eco-chamber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beliefs are amplified or strengthened by communication only in an enclosed system, and filter bubbles refer to a phenomenon in which information providers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interests, and users encounter only filtered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efficiently selecting information as a way to improve the filter bubble phenomenon by such an echo chamber. The research progress method analyzed recommended algorithms used on YouTube, Facebook and Amazon. In this study, humanities solutions such as training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ocial media users and strengthening objective ethical standards according to self-preservation laws, and technical solutions of model-based cooperative filtering or cross-recommendation methods were presented. As a result, recommended algorithms should continue to supplement technology and develop new techniques, and humanities should make efforts to overcome cognitive dissonance and prevent users from falling into confirmation bias through critical thinking training and political communication education.

최근 소셜미디어로 접하는 정보 증가로 알고리즘 기반 추천 형식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선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알고리즘은 자주 에코챔버(Echo Chamber)에 의한 필터버블(FilterBuble) 효과를 일으킨다. 에코챔버는 밀폐된 시스템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으로 인해 신념이 증폭되거나 강화되는 현상을 의미하고 필터버블은 정보 제공자가 이용자의 관심사에 맞춰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는 필터링된 정보만 접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에코챔버에 의한 필터버블 현상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정보를 효율적으로 선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진행 방법은 유튜브, 페이스북, 그리고 아마존에서 사용되는 추천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천 알고리즘으로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서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비판적 사고능력 훈련이나 자기보존법칙에 따른 객관적 윤리 기준 강화 등의 인문학적 해결 방안과 모델 기반 협력 필터링이나 교차적 추천 방식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추천 알고리즘은 지속적 기술 보완과 새로운 기법 개발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소셜미디어를 대하는 사용자는 비판적 사고 훈련과 정치적 의사소통 교육을 통해 인지부조화를 이겨내고 확증편향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인문학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지원, 김규정, "소셜미디어(Social Media)에서 집단지성에 의한 사이버불링 현상에 관한 다학제적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4, pp.269-283, 2019.
  2. https://www.mk.co.kr/news/it/view/2021/06/580149/, 2022.4.14
  3. 오지희, "사회불안감이 가짜뉴스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6, pp.179-191, 2021.
  4. 임원혁, 한국의 여론양극화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KDI, pp.137-140, pp.225-230, 2019.
  5. Barry Schwartz, 선택의 패러독스, 형선호 옮김, 웅진닷컴, 2004.
  6.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 최광열 옮김, 아름다운날, pp.205-237, 2014.
  7. 프랜시스 베이컨, 베이컨 신논리학, 홍성자 외 옮김, 주니어김영사, pp.90-106, 2019.
  8.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하태환 옮김, 민음사, pp198-207, 2001.
  9. 최은영, 금희조, "소셜 미디어 뉴스콘텐츠 선호에 대한 선택적 노출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연구: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21, No.6, pp.1079-1089, 2020.
  10. 김효정, "원자력 발전에 대한 수용자의 기존 태도와 정치적 성향이 원자력 에너지 기사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선택적 노출 이론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Vol.21, No.4, pp.56-78, 2017. https://doi.org/10.15814/JPR.2017.21.4.56
  11. 유병호, 황조혜,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셜미디어 신뢰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Vol.19, No.2, pp.69-90, 2018. https://doi.org/10.15813/kmr.2018.19.2.004
  12. 언론중재위원회, 언론사람 10월호(vol.256), 언론중재위원회, p.6, 2021.
  13. 전준영, 황소윤, 윤영미. "개인화 알고리즘으로 필터버블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검증,"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1, No.3, pp.369-381, 2018.
  14. 언론중재위원회, 언론사람 10월호(vol.256), 언론중재위원회, pp.6-7, 2021.
  15. Bakshy, Eytan (1-FACEB) ; Messing, Solomon (1-FACEB) ; Adamic, Lada A. (1-FACEB) Exposure to ideologically diverse news and opinion on Facebook. (English. English summary)
  16. Seth Flaxman, Sharad Goel, and Justin M. Rao, "Filter Bubbles, Echo Chambers, and Online News Consumption," Public Opinion Quarterly, Vol.80, Issue S1, pp.298-320. 2016. https://doi.org/10.1093/poq/nfw006
  17. https://trendmonitor.co.kr/tmweb/trend/allTrend/detail.do?bIdx=2219&code=0404&trendType=CKOREA, 2022.4.14
  18. http://m.knnews.co.kr/mView.php?idxno=1325476&gubun=, 2022.4.14
  19. 심재웅, "뉴스 소비자의 소셜 미디어 이용 현황 : 소셜 미디어, 뉴스 소비문화를 바꾸다," 신문과 방송. 통권484호, pp.24-27, 2011.
  20. 이민규, 한성렬, "중앙일보.한겨레 공동기획 '사설 속으로'에 나타난 의견다양성 효과 연구 : 해설관련성과 신문교육(NIE)경험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Vol.16, No.4, pp.221-253, 2016.
  21. Prerna Juneja and Tanushree Mitra, "Auditing E-Commerce Platforms for Algorithmically Curated Vaccine Misinformation,"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Vol.1, 2021.
  22.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2016년 4+5월호(vol.05), 한국콘텐츠진흥원, pp.19-24, 2016,
  23. 강영계, 철학이야기, 가서원, pp.171-173, pp.210-211,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