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Continuity betwee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Intelligent Life Curric ulum and Sc ienc e Curric ulum for Grades 3-4

2015 개정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Received : 2022.04.27
  • Accepted : 2022.05.12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between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for grades 1-2 and the science curriculum for grades 3-4 with a focus on knowledge and inquiry process skil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ontents related to science in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consisted of only 10 out of 32 elements. Five elements were related to the science curriculum for grades 3-4 and limited to the 'life sciences' area. Particularly,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did not address topics related to 'matter' and 'motion and energy'. Developmental connection was established in the 'life sciences' area and dramatic changes were noted for the topics related to 'earth and space' area. In terms of inquiry process skills, the levels of observation, measurement, inference, and communication naturally increased, whereas a developmental connection was noted between the intelligent life and science curricula. Classification can be viewed as a developmental link; however, viewing the classification as scientific from the epistemic perspectives was insufficient. In the case of expectation, a gap was observed in both curricula due to the absence of expectation activities in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a.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lligent life and science curricula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슬기로운 생활 내에서의 과학 관련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정리하고, 두 교과의 교육과정 연계성을 지식 측면과 탐구 기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 내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내용은 32개의 내용 요소 중 10개에 불과하였다. 이 중 5개의 내용 요소가 3~4학년군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었으며, 모두 생명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영역에 대한 내용은 슬기로운 생활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생명 영역은 발전적으로 연계되고 있었으며, 지구와 우주 영역은 급변적으로 연계되고 있었다. 탐구 기능의 경우, 관찰과 측정, 추리, 의사소통은 슬기로운 생활과 과학과가 수준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면서 반복되는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다. 분류는 기능적 활동 측면에서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나 명확한 인식적 목적 없이 단순히 무리지어 보는 분류 활동에 그치고 있었다. 반면, 예상 활동은 슬기로운 생활에서는 제시되지 않다가 3~4학년군 과학에서 제시되기 시작하므로 격차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교육부(2015b).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권점례, 이광우, 신호재, 김종윤, 김정효(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계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7-8-2.
  4. 남경희, 남호엽(2004). 교육과정 논쟁으로 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정체성. 사회과교육, 43(2), 47-64.
  5. 민용성, 정영근, 이주연, 노은희, 신호재, 양성현, 유창완, 이경언, 김자영, 곽영순, 전재호, 이효인, 박지만, 길현주(2018).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C 2018-22.
  6.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 오필석(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7. 신이섭, 권기석, 장미숙, 황혜정, 김동원, 이동환, ..., 송혜진(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8. 심왕섭, 이현동, 박경숙(2017). 중학교 과학 및 기술.가정 교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화와 에너지 단원의 내용 중복 및 연계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1(1), 1-15. https://doi.org/10.21796/JSE.2017.41.1.1
  9. 오필석(2020).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141-150.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141
  10. 우현주, 차희영(2013). 제7차와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중, 고등학교 교과서 내 진화단원의 연계성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1(4), 618-637. https://doi.org/10.15717/BIOEDU.2013.41.4.618
  11. 유광찬(2018).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 비교연구: 슬기로운 생활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0(2), 323-336.
  12. 유영의, 김은정(2013).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3(4), 241-265.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4.011
  13. 윤현진, 이재봉, 김용진, 백성혜, 이기영(2009).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3-4.
  14. 이영애(2016). 슬기로운 생활과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효녕, 김진숙, 박병열, 전재돈(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달과 암석의 순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5(4), 677-689.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677
  16. 정광순(2015). 2015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고찰. 통합교육과정연구, 9(1), 1-18.
  17. 조상연, 이주한(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내용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1-2학년군 교과-성취기준의 연계성 분석. 초등교육연구, 33(4), 297-326.
  18. 주형미, 김종윤, 배화순, 변희현, 유금복, 서지영, 장근주, 박소영, 배주경(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수학,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6-2.
  19. 최혜윤(2020).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연구: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341-363.
  20.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21). Australian F-10 curriculum. Learning areas: Science (Version 8.4). Retrieved from https://www.australiancurriculum.edu.au/f-10-curriculum/science/ (2021. 12. 22. 검색)
  21.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ducation (2016). British Columbia's curriculum. Area of Learning: Science. Retrieved from https://curriculum.gov.bc.ca/ (2021. 12. 22. 검색)
  22. Ginsburg, H. P., Klein, A., & Starkey, P. (1998).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Connecting research with practice. In W. Damon, I. E. Sigel, & K. A. Renning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pp. 401-476). John Wiley & Sons Inc.
  23. Grandy, R. E., & Duschl, R. A. (2007). Reconsidering the Character and Role of Inquiry in School Science: Analysis of a Conference. Science & Education, 16(2), 141-166. https://doi.org/10.1007/s11191-005-2865-z
  24. Nicolescu, B. N., & Petrescu, T. C. (2015). On the continuity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80, 871-877. https://doi.org/10.1016/j.sbspro.2015.02.231
  25.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8: Science and technology. Queen's Printer for Ontario. Retrieved from http://www.edu.gov.on.ca/eng/curriculum/elementary/scientec.html (2021. 12. 22. 검색)
  26. Schiro, M. (2007). Curriculum theory: Conflicting vision and enduring concer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